인수된 비트토렌트와 ‘분산형 인터넷’
암호화폐 트론(TRON)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분산 프로토콜을 이용해 데이터를 자유롭게 올리거나 소유할 수 있게 해주는 콘텐츠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이다. 그런데 트론을 ...
이메일로 만나보는 스타트업 가이드
투자, 행사, 정부사업 등 스타트업 생태계 소식을 이메일로 편하게 받아보세요.
‘생활 속 기술 레시피’ ‘현재와 미래를 이어주는 기술 레시피’를 소개합니다. 따끈따끈한 기술이 어떻게 세상을 바꿔갈지 알려주는 세상을 바꿀 레시피가 여기 있습니다.
암호화폐 트론(TRON)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분산 프로토콜을 이용해 데이터를 자유롭게 올리거나 소유할 수 있게 해주는 콘텐츠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이다. 그런데 트론을 ...
퀄컴이 7월 23일(현지시간) 5G 통신용 5G 밀리미터파(mmWave) 안테나를 발표했다. 이번에 선보인 제품은 세계에서 처음으로 5G NR밀리미터파 통신에 필요한 장비를 통합한 ...
롤스로이스홀딩스(Rolls-Royce Holdings)가 비행기 엔진 내부에 들어가서 마치 바퀴벌레처럼 엔진 상태를 검사할 수 있는 초소형 로봇을 개발한다고 발표했다. 이 같은 구상은 ...
아마존이 지난 6월 발표한 파이어TV 큐브(Fire TV Cube)는 아마존이 선보인 인공지능 도우미 알렉사(Alexa)를 내장한 TV 셋톱박스다. 알렉사를 통해 TV를 음성 ...
구글이 독일 막스플랑크신경생물학연구소(Max Planck Institute of Neurobiology)와 공동으로 뇌와 신경을 연결 정보를 고해상도로 이미지화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두뇌와 신경 연결을 ...
암호화폐는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는 만큼 자칫 잘못된 형태로 거래를 하려고 하면 사방에서 거래를 확인하는 만큼 부정적 행위가 어려운 구조라고 알려져 ...
전 세계 자동차 업계가 2020년대에는 실제 도로에 투입할 목표를 세우고 자율주행 차량 개발 경쟁에 나서고 있다. 그렇다면 실제로 도로에 자율주행 ...
왜 콜드 월렛(Cold Wallet)을 찾을까. 암호화폐는 개인 키(private key)를 필요로 한다. 이런 개인 키를 보관할 수 있는 게 바로 지갑, ...
호주연방과학원 CSIRO(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가 뎅기열이나 지카바이러스, 치쿤구니야열의 매개체로 알려져 있는 이집트 숲 모기(Aedes aegypti) 수컷 생식 능력을 ...
매직리프(Magic Leap)는 구글과 퀄컴, 알리바바 등 쟁쟁한 글로벌 기업으로부터 무려 22억 달러(한화 2조 4,800억원대)에 달하는 투자를 받아 시선을 끈 기업이다. ...
투자, 행사, 정부사업 등 스타트업 생태계 소식을 이메일로 편하게 받아보세요.
스타트업레시피는 최초 회원 가입 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이용자로부터 아래와 같은 개인 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이용자는 본 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서에 따른 동의를 하면 ‘필요한 최소한의 정보 외에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하지 아니할 권리가 있습니다.
개인정보 취급 및 처리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사이트 하단에 공개한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참조하십시오. 다만 본 동의서 내용과 상충되는 부분은 본 동의서의 내용이 우선합니다.
1.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및 이용목적
1) 수집항목 및 목적 (필수)
□ 뉴스레터 수신: 이메일
※ 귀하께서는 필수항목 수집·이용에 대한 동의를 거부하실 수 있으나, 이는 서비스 제공에 필수적으로 수집해야 하는 정보이므로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뉴스레터 구독을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2.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회원의 개인정보는 뉴스레터 수신을 거부하면 자동으로 파기됩니다.
다만, 스타트업레시피는 관련법령의 규정에 의해 개인정보를 보유할 필요가 있는 경우, 해당 법령에서 정한 바에 의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보유할 수 있습니다.
– 계약 또는 청약철회 등에 관련 기록 : 5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 신용정보의 수집/처리 및 이용 등에 관한 기록 : 3년
– 표시/광고에 관한 기록 : 6개월
– 이용자의 인터넷 등 로그기록/ 이용자의 접속지 추적자료 : 3개월
– 그 외의 통신사실 확인 자료 : 12개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