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스 벤처가 신흥 시장에 풀베팅하는 이유
찰리 그래햄 브라운 시드스타즈(Seedstars) 파트너는 시드스타즈 창립 파트너로 신흥 시장에 초점을 맞춘 투자 전문가이자 창업가다. 시드스타즈는 스위스에 기반한 글로벌 투자 ...
이메일로 만나보는 스타트업 가이드
투자, 행사, 정부사업 등 스타트업 생태계 소식을 이메일로 편하게 받아보세요.
찰리 그래햄 브라운 시드스타즈(Seedstars) 파트너는 시드스타즈 창립 파트너로 신흥 시장에 초점을 맞춘 투자 전문가이자 창업가다. 시드스타즈는 스위스에 기반한 글로벌 투자 ...
미카엘 클라크 대표는 베터바이트벤처스 창립 파트너로 20년 넘게 스타트업을 운영하며 투자해왔으며 그 중 상당 부분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 포진되어 있다. ...
Z벤처캐피털(Z Venture Capital)은 Z홀딩스 산하 기업형 벤처캐피털(CVC)다. 지주사인 Z홀딩스는 야후재팬, 라인, 페이페이, 조조타운, 잇큐닷컴 등 여러 서비스를 보유하고 있다. Z벤처캐피털 ...
레이첼 라우(Rachel Lau)는 RHL벤처스 매니징파트너로 지난 15년간 글로벌 투자 회사에서 주요 임원으로 활동한 투자 전문가다. RHL벤처스는 말레이시아 기반 벤처캐피털로 동남아시아를 ...
제인캐피털(Zayn Capital)은 파키스탄 기반 초기 스타트업 벤처캐피털이다. 핀테크, 이커머스, 여행 등 분야 구분 없이 투자하고 있지만 이들의 투자 철학은 핀테크 ...
두벤처스는 베트남에 기반한 초기 스타트업 벤처캐피털로 분야 구분없이 유망 초기 스타트업에 투자하고 있다. 현재는 교육과 HR SaaS 분야에 큰 관심을 ...
알타라벤처스는 동남아시아 싱가포르를 기반으로 한 초기 단계 벤처캐피털로 시리즈A와 시리즈B 단계에 주로 투자한다. 지역 특성상 자연스럽게 동남아시아 테크 생태계에 초점을 ...
크리스틴 싸이(christine tsai)는 500스타트업으로 불렸던 500글로벌 CEO다. 500글로벌은 글로벌 벤처캐피털로 2010년 설립 이후 지난 12년간 글로벌 기업에 수많은 투자를 진행해왔다. ...
화이트스타캐피털은 초기 단계 벤처캐피털로 북미와 유럽, 아시아에 주로 투자하고 있다. 미국, 캐나다. 런던, 파리, 스웨덴, 베를린과 도쿄, 홍콩, 싱가포르 등을 ...
탐타오는 중국계 미국인으로 벤처캐피털 고비파트너스의 대표이자 공동 창업자다. 2002년 말레이시아에서 설립돼 올해 20년이 된 고비파트너스는 15억 달러 규모 AUM을 보유한 ...
신유근 대표는 중동에서 가장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는 시드 투자사인 쇼룩파트너스 대표로 이집트, 파키스탄, 사우디, UAE 등 지역에서 시드에서 시리즈A 단계 ...
에릭킴 대표는 2014년 설립된 굿워터캐피털의 공동창업자이자 매니징 파트너로 그 전에는 매버릭캐피털(Maverick Capital) 전무 이사로 재직하며 카카오와 쿠팡 투자를 주도한 바 ...
https://youtu.be/ahpVxpymxLY 허진호 대표는 1994년 첫 창업 이후 스타트업계에서만 20년 이상 일해 왔다. 그가 투자업계에 들어선 건 2015년 세마트랜스링크를 공동 설립하면서 ...
https://youtu.be/2YxFm85jmqg 소픙벤처스는 사회 문제를 해결하려는 창업가나 비즈니스 방법을 사회 문제 해결에 쓰려는 기업가정신을 갖고 있는 이들에게 투자하고 이들을 단기간에 성장할 ...
https://youtu.be/F73bWrUFu48 하태훈 위벤처스 대표는 1998년에 투자 업계에 진입해 LB인베스트먼트 등을 거쳐 2012년엔 DSC인베스트먼트를 공동창업했고 2019년 위벤처스를 설립해 제조부터 ESG까지 다양한 ...
https://youtu.be/LZctjC1iBkg 제현주 인비저닝파트너스(Envisioning Partners) 대표는 옐로우독 팀과 자산을 2021년 8월 옮겨오면서 인비저닝파트너스를 설립해 지방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다. 물론 옐로우독 시절과 ...
https://youtu.be/1na3OvmGWTA 정신아 카카오벤처스 대표는 컨설턴트 출신으로 카카오벤처스 전신인 케이큐브벤처 파트너를 거쳐 카카오벤처스에서 ICT 분야 초기 스타트업을 발굴, 투자하고 있다.
https://youtu.be/xa-HNsroy-o 임정민 시그나이트파트너스 투자 총괄(상무)은 2000년 미국에서 대학을 마치고 닷컴 버블 시절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스타트업에 합류했다. 2005년 국내로 돌아온 그는 ...
https://youtu.be/8efRflfPoVY 매쉬업엔젤스는 IT 분야에 특화한 초기 스타트업 전문 투자사다. 초기 스타트업을 위한 동반자로 8년째를 맞았다. 매쉬업엔젤스 이택경 대표 파트너는 이렇게 ...
https://youtu.be/1dkIJJ03gnw 롯데벤처스는 롯데그룹이 운영하는 벤처캐피털, CVC다. 액셀러레이터와 CVC 역할을 함께 하는 투자 회사로 2016년 시작해 6년 가량 업력을 쌓았다. 이곳에서 ...
https://youtu.be/7pI2uT8Sg60 이용관 블루포인트파트너스 대표는 기술 스타트업을 운영하다가 엑싯을 하고 나니 기술기업 상담 요청이 늘었고 상담을 하던 중 많은 기업이 자신이 ...
https://youtu.be/3MQGVikDLIE 2021년 기준으로 설립 4년차를 맞은 뮤렉스파트너스가 현재 운용 중인 AUM(Asset Under Management)은 2,000억 원 가량이다. 주로 초기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
https://youtu.be/C3vBHPzDoCY D3쥬빌리파트너스는 임팩트 벤처캐피털이다. 임팩트 벤처캐피털은 임팩트 투자를 벤처 투자에 적용하는 걸 말한다. 벤처 투자는 혁신에 자금을 공급하는 것이지만 임팩트 ...
https://youtu.be/AktgoJu2b-k 이강수 컴퍼니케이파트너스 투자 부문 대표는 1997년 말 투자 업무를 시작했다. 당시만 해도 벤처라는 말도 없었던 시절이었던 만큼 빨리 시작한 ...
https://youtu.be/7nN5bwPBSAA 유승운 스톤브릿지벤처스 대표는 2000년부터 벤처캐피털 업에 종사해왔다. 스톤브릿지벤처스 합류 전에는 카카오벤처스에 이어 소프트뱅크벤처스에서 근무하기도 했다. 유승운 스톤브릿지벤처스 대표는 1999년 ...
https://youtu.be/lMeaDC9Qh9s 양정규 지유투자 대표가 처음 벤처캐피털에 흥미를 느껴 시작하게 된 동기는 주식 관련 사업을 하던 부친 영향이 컸다. 그러던 중 ...
https://youtu.be/C5xDgugrq7E 네이버 D2SF(NAVER D2 Startup Factory)는 네이버가 만든 CVC다. 2015년부터 기술 기반 스타트업에 투자하면서 성장 지원은 물론 네이버와 시너지를 만들기 ...
투자, 행사, 정부사업 등 스타트업 생태계 소식을 이메일로 편하게 받아보세요.
Copyright 2020 © Media Recipe. All Rights Reserved.
스타트업레시피는 최초 회원 가입 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이용자로부터 아래와 같은 개인 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이용자는 본 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서에 따른 동의를 하면 ‘필요한 최소한의 정보 외에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하지 아니할 권리가 있습니다.
개인정보 취급 및 처리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사이트 하단에 공개한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참조하십시오. 다만 본 동의서 내용과 상충되는 부분은 본 동의서의 내용이 우선합니다.
1.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및 이용목적
1) 수집항목 및 목적 (필수)
□ 뉴스레터 수신: 이메일
※ 귀하께서는 필수항목 수집·이용에 대한 동의를 거부하실 수 있으나, 이는 서비스 제공에 필수적으로 수집해야 하는 정보이므로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뉴스레터 구독을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2.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회원의 개인정보는 뉴스레터 수신을 거부하면 자동으로 파기됩니다.
다만, 스타트업레시피는 관련법령의 규정에 의해 개인정보를 보유할 필요가 있는 경우, 해당 법령에서 정한 바에 의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보유할 수 있습니다.
– 계약 또는 청약철회 등에 관련 기록 : 5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 신용정보의 수집/처리 및 이용 등에 관한 기록 : 3년
– 표시/광고에 관한 기록 : 6개월
– 이용자의 인터넷 등 로그기록/ 이용자의 접속지 추적자료 : 3개월
– 그 외의 통신사실 확인 자료 : 12개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