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roll to top
© 2020, Startuprecipe theme by Rssow
Share

[AI서머리] 포퓰릭스, 430만 달러 규모 시리즈B 투자 유치‧콘진원, 두바이에 ‘코리아 360 UAE’ 개관


이석원 기자 - 2025년 4월 15일

오성 오에스씨, 16V 전동공구 2종 출시

오성 오에스씨가 16V 건타입 임팩트 드라이버와 해머 드릴 드라이버를 새롭게 출시했다. 이번 신제품은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 사용자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강력한 성능과 휴대성을 동시에 갖춘 것이 특징이다. OGW-1656HL 임팩트 드라이버는 최대 토크 170Nm으로 강력한 체결력을 자랑하며, OGH-1657KL 해머 드릴 드라이버는 최대 토크 60Nm으로 단단한 소재에도 손쉬운 작업이 가능하다. 두 제품 모두 2.5Ah 배터리를 기본 제공하며, 인체공학적 디자인과 LED 라이트를 장착해 사용자 편의성을 높였다. 또한, 기존 20V 제품 대비 무게가 가벼워 작업 피로도를 줄였으며, 가격과 유지보수 비용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오성 오에스씨는 이번 신제품 출시를 통해 건설 및 DIY 시장에서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하며, 앞으로도 사용자들의 피드백을 반영해 더욱 발전된 기술과 혁신적인 제품을 선보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포트3 네트워크, AI 기반 소셜 데이터 분석 도구 ‘Rankit’ 출시

포트3 네트워크가 인공지능 기반 소셜 데이터 분석 도구 ‘Rankit’을 출시하며 웹3 시대 데이터 분석에 새로운 바람을 불어넣고 있다. Rankit은 전 세계 사용자들의 소셜 활동 데이터를 집약,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시장 반응과 커뮤니티 열기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AI 기술을 활용해 실시간 프로젝트 인기도와 사용자 참여도를 정량적으로 제공하며, 주요 블록체인 생태계에 특화된 소셜 랭킹도 지원한다. 웹 브라우저와 텔레그램 미니앱으로도 접근 가능해 사용자 편의성을 높였다. 200개 이상의 프로젝트가 이미 Rankit 플랫폼에서 분석되고 있으며, 사용자들의 긍정적인 반응이 이어지고 있다.

AI 챗봇, 웹툰 소비 촉진 효과 입증

네이버웹툰의 AI 챗봇 서비스 ‘캐릭터챗’이 원작 웹툰 소비를 늘리는 데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이버웹툰이 자체 분석한 결과, 캐릭터챗을 이용한 독자들의 원작 웹툰 열람 횟수가 챗봇 출시 전후 대비 최대 97% 증가했다. 또한, 챗봇 이용자들은 앱 방문 및 작품 소비 빈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지난해 6월 4개 캐릭터로 시작한 캐릭터챗은 현재 12개 캐릭터로 확대되었으며, 누적 메시지 수가 7천만 건을 넘어섰다. 특히, 15일 새롭게 추가된 ‘천령’과 ‘테르데오’ 챗봇은 운세 제공, 친밀도에 따른 대화 태도 변화 등 새로운 기능을 선보여 이용자들의 기대를 모으고 있다. 네이버웹툰은 이번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AI와 IP 결합을 더욱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오케스트로, 220억 규모 K-클라우드 과제 수주

클라우드 소프트웨어 전문 기업 오케스트로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이 추진하는 ‘AI반도체를 활용한 K-클라우드 기술개발 R&D 사업’에서 총 220억 원 규모의 연구개발 과제 2건을 수주했다. 오케스트로는 이번 과제를 통해 국산 AI반도체 기반의 클라우드 플랫폼 기술 개발에 본격적으로 착수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K-클라우드 시장에서의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고, 초거대 AI 생태계 조성에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오케스트로는 AI반도체 컴퓨팅 자원분해 및 자원풀링 기술 개발 과제와 AI반도체 클라우드 플랫폼 구축 및 최적화 기술 개발 과제에 참여한다.

포퓰릭스, 430만 달러 규모 시리즈B 투자 유치

알토스벤처스가 인도네시아 AI 기반 리서치 스타트업 포퓰릭스가 430만 달러 규모의 시리즈B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고 15일 밝혔다. MSW벤처스가 투자를 주도했으며 인투도 벤처스, 알토스 벤처스, 에이크루 캐피탈이 공동 참여했다. 포퓰릭스는 이번 투자 유치를 통해 AI 모델 개발 및 학습에 박차를 가하고 리서치 과정을 자동화할 계획이다. 또한, AI 머신러닝 기반의 합성 응답자 개발에도 힘을 쏟을 예정이다. 이 두 가지 기술 개발을 통해 산업계 및 정책결정자들이 AI를 리서치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포퓰릭스는 2023년 정책 및 사회 리서치 서비스를 출시했으며 최근에는 AI기반 리서치 어시스턴트인 ‘넥사’를 개발했다.

한국 웹툰, 중동 시장 첫 진출… 아랍어 서비스 개시

사우디아라비아의 콘텐츠 기업 망가 아라비아가 한국 인기 웹툰을 아랍어로 번역해 중동 시장에 최초로 선보인다. 4월 15일부터 ‘망가 아라비아 유스 앱’을 통해 공식 서비스가 시작된다. 이번 프로젝트는 키다리 스튜디오와 브이-브로스의 정식 라이선스 계약을 기반으로 진행되며, 웹툰의 세로 스크롤 방식과 색감, 스토리텔링이 중동의 젊은 독자층에게 신선한 경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망가 아라비아는 글로벌 시장 확대를 위해 일본 도쿄에 자회사 ‘망가 인터내셔널’을 설립하고 현지 창작자 및 스튜디오와 협업을 진행 중이다. 이번 웹툰 서비스 출시를 계기로 아랍과 한국 간 문화교류가 더욱 활성화될 전망이다.

피아이이, 토모큐브와 MOU 체결… 홀로토모그래피 검사 사업 확대

AI 소프트웨어 기업 피아이이가 3D 세포 이미징 기술을 보유한 토모큐브와 홀로토모그래피 기반 검사 기술 개발 및 사업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홀로토모그래피는 홀로그래피와 토모그래피를 결합한 광학 이미징 기술로, 생물학뿐만 아니라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산업 정밀 검사 분야에서도 활용된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기술 개발 및 사업화를 공동 추진하며, 시장 확대와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 구현을 위한 협력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피아이이는 검사 소프트웨어 개발과 시스템 설계를 담당하며, 토모큐브는 기술 개발 및 공급을 맡는다. 양사는 첨단 제조 공정 최적화를 통해 산업 경쟁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젝시믹스, 몽골 울란바토르에 2호점 오픈

글로벌 애슬레저 브랜드 젝시믹스가 몽골 수도 울란바토르에 2호점을 열었다. 신규 매장은 이마트 칭기스점 1층에 입점해 쇼핑객들에게 다양한 애슬레저 제품을 선보인다. 몽골은 한류 영향으로 한국 패션과 미용 브랜드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는 추세다. 젝시믹스는 2021년 자이산 스타 백화점 입점을 시작으로 팝업스토어, 인플루언서 협업 등 다양한 마케팅을 펼쳐왔다. 앞으로도 도심 핵심 상권을 중심으로 브랜드 인지도를 확장하고, 현지 고객과의 접점을 확대할 계획이다.

콘진원, 두바이에 ‘코리아 360 UAE’ 개관… K-콘텐츠 중동 진출 본격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페스티벌 시티몰에 한국 브랜드 상설 홍보관 ‘코리아 360 UAE’를 개관했다. 이번 홍보관은 K-콘텐츠와 연관 산업을 체험·전시·판매하는 공간으로, 총 158개 브랜드의 700여 종 제품이 소개된다. 개관 행사에는 엑소 첸, CIX, 가호 등의 K-팝 공연과 <이태원 클라쓰> 웹툰 작가와의 만남 등이 진행돼 현지 관람객 1만여 명이 방문했다. 콘진원은 이번 홍보관을 통해 K-콘텐츠의 중동 시장 확대를 지원할 계획이며, 두바이를 거점으로 글로벌 진출 전략을 강화할 방침이다.

2025년 3월 ICT 수출 9.4% 증가… 83.7억 달러 흑자 기록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3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이 205.8억 달러로 전년 대비 9.4% 증가했으며, 수입은 122.1억 달러로 6.8% 늘어났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무역수지는 83.7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반도체(11.8%↑), 휴대폰(14.5%↑), 컴퓨터·주변기기(28.1%↑) 등 주요 품목의 수출이 늘었으며, 지역별로는 미국(19.4%↑), 베트남(14.6%↑), 일본(3.3%↑)에서 증가세를 보였다. 반면, 중국과 유럽연합 수출은 감소했다. 정보통신산업(ICT) 수입에서는 시스템반도체(23.1%↑)를 중심으로 증가세가 두드러졌으며, 글로벌 인공지능 및 데이터센터 투자 확대가 주요 요인으로 분석됐다.

Author avatar

이석원 기자

월간 아하PC, HowPC 잡지시대를 거쳐 지디넷, 전자신문인터넷 부장, 컨슈머저널 이버즈 편집장, 테크홀릭 발행인, 벤처스퀘어 편집장 등 온라인 IT 매체에서 '기술시대'를 지켜봐 왔다. 여전히 활력 넘치게 변화하는 이 시장이 궁금하다.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