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이메일로 만나보는 스타트업 가이드

투자, 행사, 정부사업 등 스타트업 생태계 소식을 이메일로 편하게 받아보세요.

기존 연구에서 음모론을 믿기 쉬운 사람은 자신의 인지능력을 과신하는 경향이 있으며 피해의식이 강한 경향이 나타난다는 게 밝혀졌다. 새로운 연구에서는 경제적으로 혜택받지 못한 상황을 경험하거나 자신이 가난하다고 느끼는 게 반이민적인 음모론을 조장한다는 사실이 판명됐다.

기존 연구에서는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이 증가하거나 사회 분열이 진행된 시점에서 음모론이 번성하기 쉽다는 게 밝혀졌으며 경제적 스트레스도 특정 집단에 대한 원한이나 불신감을 조장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나타났다. 하지만 이런 요인이 반이민적인 음모론을 조장하는지 여부를 조사한 연구는 없었다고 한다.

이에 영국 노팅엄대학교 사회심리학자인 다니엘 졸리 부교수 등 연구팀은 경제적으로 곤궁한 상황이 사회 규범 붕괴를 의미하는 아노미의 감각을 증대시키고 그게 사회 문제 원인이 이민자에게 있다고 믿어버리는 음모론적 사고 수용성을 높이는지 여부를 조사했다.

먼저 연구팀은 영국과 아일랜드에 거주하는 성인 984명을 대상으로 경제상황이나 사회 쇠퇴에 관한 인식, 반이민적 음모론에 대한 신념, 비유럽계 이민자에 관한 정책이나 행동에 대한 지지에 대해 질문했다. 이런 질문에는 난민의 복지 접근 제한, 폭력행위의 정당화 등도 포함되어 있었다고 한다.

질문 결과 피험자가 인식하고 있는 경제적 곤란과 현실에서 일어나고 있는 경제적 곤란 모두가 높은 수준의 아노미와 관련되어 있다는 게 나타났다. 또 아노미는 이민자가 은밀하게 국가 가치관이나 경제를 손상시키려 하고 있다는 음모론을 믿는 경향과 강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이런 음모론을 믿는 이들은 차별적인 정책을 지지하거나 폭력을 용인하거나 스스로 폭력에 관여할 의도를 표명할 가능성이 높았다고 한다.

실제로 영국에서 경제적으로 혜택받지 못한 지역과 부유한 지역에 거주하는 피험자 760명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도 빈곤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아노미 수준이 높고 반이민 음모론에 대한 신념이 강하며 이민정책에 대한 지지가 낮다고 보고됐다.

이어서 연구팀은 자신이 고소득층 또는 저소득층에 속하는 가상의 사회를 피험자에게 상상하게 한 뒤 아노미나 이민자와 관련된 음모론에 대해 답하게 하는 실험도 실시했다. 그 결과 역시 저소득층에 속한다고 상상한 피험자는 아노미를 느끼는 경향이 강하고 이민자에 관한 음모론을 믿으며 이민자에 대한 폭력이나 항의 활동도 강하게 지지한다는 게 나타났다.

마지막 실험에서는 피험자에게 자신이 고소득층 또는 저소득층에 속하는 가상 사회를 상상하게 하는 것에 더해 일부 피험자에게 비유럽계 이민자가 은밀히 경제를 불안정화시키려 한다는 걸 시사하는 조작된 뉴스 기사를 보여줬다. 그 결과 음모론 기사를 읽은 피험자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더 강한 음모론에 대한 신념과 이민자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 그리고 폭력적 행동에 대한 의욕 증가를 보였다. 이는 저소득층에 할당된 피험자에게서 두드러졌다고 한다.

졸리 교수는 이런 연구를 통해 경제적 곤란이 사회의 결속을 약화시키고 비유럽계 이민자에 관한 음모론적 신념을 조장할 가능성이 있다는 명확한 증거를 찾았다며 이런 신념은 반이민적인 태도나 폭력의 의도에까지 연결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중요한 건 이 결과가 외국인 혐오에는 그 태도에 직접 대처하는 것 뿐 아니라 빈곤이나 사회가 붕괴하고 있다는 감정이라는 근본 원인에도 대처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다시 말해 반이민적인 음모론 확산을 방지하려면 단지 외국인 혐오 그 자체에 대처하는 것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빈곤이나 사회질서 유지 등 측면에도 힘을 쏟아야 한다는 것이다. 졸리 교수는 작성한 정책문서에서는 경제적 곤란이 물질적인 빈곤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사회 결속과 정치적 리터러시를 손상시킨다고 주장했다. 이번 정책 제언은 외국인 배척에 기반한 폭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모든 전략 일환으로 이런 근저에 있는 사회적·경제적 불평등에 대처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관련 내용은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뉴스 레터 구독하기

Related Posts

No Content Available
Next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