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퍼커넥트, 임직원 가족과 함께한 ‘핼러윈 홈커밍 행사’ 성황리 마무리
글로벌 영상 채팅 플랫폼 기업 하이퍼커넥트가 지난 1일 삼성동 아셈타워 오피스에서 임직원 가족 및 지인과 함께한 ‘핼러윈 홈커밍 행사’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창의적이고 활기찬 조직문화 조성을 위해 마련된 이번 행사는 오피스 전체를 핼러윈 콘셉트로 꾸미고 스티커사진 부스, 인형 뽑기, 팝콘 기계, 모루 인형 만들기 등 다채로운 즐길 거리를 제공했다. 참석자들은 케이터링과 핼러윈 웰컴 기프트를 받았으며, 사내 퀴즈 세션 등을 통해 회사에 대한 이해와 친밀감을 높이는 시간을 가졌다. 같은 오피스에서 근무하는 ‘틴더 서울’ 및 ‘매치그룹 AI’ 등 매치그룹 산하 브랜드 직원들도 함께 참여하여 글로벌 기업 문화의 개방적이고 유연한 분위기를 공유했다. 강혁모 커뮤니케이션 디렉터는 이번 행사가 임직원뿐 아니라 가족 및 지인까지 함께 참여해 하이퍼커넥트의 핵심 가치인 ‘연결’을 즐겁게 느낄 수 있었던 뜻깊은 자리였다고 밝혔다.

스포티파이, 음악 팬들을 위한 ‘스포티파이 하우스 서울’ 개최
글로벌 오디오·음원 스트리밍 플랫폼 스포티파이가 오는 11월 13일부터 15일까지 서울 성수동 앤더슨씨에서 음악 팬들을 위한 특별한 오프라인 이벤트 ‘스포티파이 하우스 서울’을 개최한다. 작년에 이어 두 번째로 서울을 찾는 이번 행사는 힙합, R&B, 팝, 인디 등 다양한 장르를 아우르는 라이브 공연과 인터랙티브 체험존, 몰입형 공간으로 구성된다. 더 키드 라로이, 박재범과 롱샷, 비비, 자이언티, 그루비룸, 장기하, 카더가든, 이승윤, 주니, 한로로 등 국내외 아티스트들이 참여하며, 첫날 깜짝 무대도 마련된다. 방문객들은 ‘블렌드’, ‘잼’, ‘플레이리스트 믹싱’, ‘데이리스트’ 등 스포티파이의 핵심 기능을 직접 체험하고, 플레이리스트에서 영감을 받은 스낵과 음료, 한정판 브랜드 협업 컬렉션도 만날 수 있다. 스포티파이는 이번 행사를 통해 음악 팬들이 아티스트 및 음악과 더욱 깊게 연결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라이브 공연 관람을 위해서는 사전 등록이 필요하며, 자세한 정보는 스포티파이 코리아 공식 채널을 통해 추후 공개될 예정이다.

대원씨티에스, 마이크론 크루셜 DDR5 Pro OC 6400 CL32 게이밍 메모리 출시
IT 기기 수입·유통 전문 기업 대원씨티에스는 마이크론의 컨슈머 메모리 브랜드 크루셜의 신제품 ‘마이크론 Crucial DDR5 Pro Overclocking(OC) 6400 CL32’ 게이밍 메모리를 한국 시장에 공식 출시했다. 이 제품은 16GB 단일 모듈 2개로 구성된 32GB KIT 용량이며, 6400MT/s의 전송 속도와 CL32의 낮은 지연시간을 자랑한다. 하이엔드 게이밍 및 크리에이터 워크로드에서 뛰어난 반응성과 처리 성능을 제공하며, 카무플라주 모티프의 세련된 히트스프레더 디자인이 특징이다. 또한, Intel XMP 3.0 및 AMD EXPO 프로파일을 지원하여 최신 인텔 및 AMD 플랫폼과 완벽하게 호환된다. DDR5 세대의 구조적 이점을 통해 다중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 처리량을 높이고, 온다이 ECC(On-Die Error Correction)로 신뢰성을 강화했다. 1.1V 저전력 설계로 발열과 소비 전력을 낮춰 안정적인 동작을 유지한다.

메가존클라우드, 미국 텍사스대 학생 대상 양자컴퓨팅 체험 프로그램 진행
AI·클라우드 선도 기업 메가존클라우드가 미국 텍사스대(UT)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양자컴퓨팅 이론 및 실습 기회를 제공하는 국제 교류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진행했다. 10월 31일 과천 메가존산학연센터에서 열린 ‘Megazone–UT Quantum & Cloud Experience Day’ 행사에서 참가 학생들은 양자컴퓨팅의 핵심 개념을 이해하고 에뮬레이터를 활용한 실습을 통해 양자 연산 과정을 체험했다. UT 국제협력 담당 수석 부총장 소니아 파이겐바움 박사는 메가존클라우드와의 협력을 통해 학생들이 클라우드 및 양자컴퓨팅 기술을 직접 체험하며 새로운 시각과 영감을 얻는 교육적·문화적 경험을 했다고 밝혔다. 메가존클라우드 김동호 CQO는 이번 프로그램이 학생들이 AI·클라우드와 결합된 차세대 기술 혁신의 방향을 체감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하며, 미래 기술을 선도할 인재 양성에 지속적으로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메가존클라우드는 2000여 명의 클라우드 및 AI 기술 전문가를 보유한 기업으로, 국내외 8,000여 고객사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고 있다.

AI 저작권 안내서 영문본 발간
문화체육관광부는 생성형 인공지능 결과물의 저작권 등록과 분쟁 예방을 위한 안내서 2종의 영문본을 제작해 전 세계에 배포한다고 밝혔다. 이번 안내서는 AI 기술 확산에 따른 저작권 이슈에 대응하고, 국제적 논의에 기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마련됐다. 등록 안내서에는 AI 결과물의 저작권 등록 가능성과 절차, 사례가 담겼으며, 분쟁 예방 안내서에는 침해 판단 기준과 주체별 유의사항이 포함됐다. 문체부는 12월 세계지식재산기구 회의에서 해당 자료를 소개하고, 주요국과의 면담을 통해 정책 협력도 추진할 계획이다. 안내서는 문체부와 한국저작권위원회, 한국문화홍보서비스 영문 누리집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벤처기업협회, 창업지원 우수기관 발굴 나선다
벤처기업협회는 대한민국 창업생태계 발전에 기여한 공공기관 및 정부출연연구기관을 발굴하기 위해 ‘제2회 대한민국 창업지원 우수기관 선정’ 공모를 11월 18일까지 진행한다고 3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우수사례를 공유하여 벤처·스타트업 창업문화를 확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신청 대상은 창업 활성화 및 창업기업 성장 지원, 창업 문화 확산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하는 공공기관과 정부출연연구기관이다. 최종 선정된 기관은 12월 2일 ‘벤처 30주년 기념식’에서 시상될 예정이다. 자세한 내용은 벤처기업협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콘진원, 게임문화포럼으로 포용성과 확장성 조명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오는 11월 14일부터 15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2025 게임문화포럼’을 개최한다. 이번 포럼은 게임 접근성과 사회적 포용성, 이스포츠의 문화적 확산 가능성을 중심으로 구성됐다. 첫날은 장애인의 게임 접근성 개선 사례와 인공지능 기반 서비스 소개, 현장 전문가 토론이 진행되며, 둘째 날은 이스포츠 팬덤과 선수 육성, 게임의 인지능력 향상 효과 등을 주제로 발표와 패널 토론이 이어진다. 콘진원은 이번 행사를 통해 모두가 즐길 수 있는 게임문화 생태계 조성과 K-게임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한다. 포럼은 무료로 개방되며 다양한 참여 이벤트도 마련된다.

웰빙200, ‘만먹설’ 일본 케어센터 시장 첫 공개
그린바이오 소셜벤처 웰빙200이 치매 예방 솔루션 ‘만먹설’을 일본 케어센터 시장에 처음 선보였다. KOTRA 나고야무역관의 지원으로 ‘2025 FOOD STYLE Chubu’ 전시회에 참가한 웰빙200은 만먹설을 건강한 노화를 위한 식전 섭취식품으로 소개했다. 헬스케어스파산업진흥원과의 2년간 공동 연구를 통해 브로콜리새싹의 설포라판 함량을 극대화하는 조건을 확인했으며, 이 연구 결과는 최근 ‘2025 한국식품영양과학회 학술대회’에서 발표됐다. 웰빙200 박현준 대표는 만먹설이 초고령사회에서 치매 예방을 위한 실행 가능한 선택지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종이빨대 업계, 정부 정책 철회로 줄도산 위기 호소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종이빨대 제조업체 리앤비 최광현 대표는 정부의 일회용컵 보증금제 및 종이빨대 정책 철회로 인해 업계가 줄도산 위기에 처했다고 호소했다. 최 대표는 정부를 믿고 친환경 정책에 투자했으나, 정책 변경으로 매출이 절반으로 줄고 직원 수가 4분의 1토막 나는 등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고 밝혔다. 강득구 의원은 정부의 일관성 없는 정책 추진을 비판하며 긴급 경영안정자금 등 실질적인 지원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은 정책 변경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 점을 인정하며 지원 방안을 협의하겠다고 답했다.

우아한청년들, ‘더 새로워진 배달고수클럽’ 경상도 시범운영 진행
우아한청년들은 라이더 의견을 적극 반영해 보상 혜택을 강화한 ‘더 새로워진 배달고수클럽’을 11월 17일부터 경상도에서 시범 운영한다. 이후 전국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이번 개편은 간단명료한 ‘운행포인트제’ 도입, ‘등급별 할증보상’, ‘2주 단위 등급갱신’ 등을 특징으로 한다. 배달을 많이 수행한 라이더일수록 빠르게 상위 등급에 오르고 보상 수준도 높아지는 구조다. 특히 등급 산정 주기를 2주로 단축해 신규 라이더도 쉽게 보상받을 수 있도록 했다. 우아한청년들은 이번 개편을 통해 라이더들의 실질적인 소득 향상을 기대하고 있다.

원스톱 지원센터 명칭 공모
중소벤처기업부와 창업진흥원이 스타트업 원스톱 지원센터 개소를 앞두고 명칭과 캐치프레이즈 공모전을 개최한다. 이번 공모는 센터의 정체성과 비전을 담은 창의적 표현을 발굴하기 위한 것으로, 창업에 관심 있는 국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분야별로 3개 작품씩 총 6점을 선정하며, 수상작은 센터 운영과 홍보에 활용될 예정이다. 지원센터는 창업기업의 법률, 세무, 경영 등 다양한 애로사항을 해결하는 온·오프라인 종합 서비스로, 11월 말 오프라인 개소 후 내년 초 온라인 서비스도 시작된다. 공모 접수는 K-스타트업 누리집을 통해 11월 12일까지 진행된다.

메디스비, CLAAS서 로봇 치료 비전 제시
메디스비 임준열 대표가 대만 가오슝에서 열린 CLAAS 2025 학회에서 정형외과 수술 전후 전주기 로봇 치료 시스템을 발표하며 주목을 받았다. 임 대표는 12개국 85명의 연자 중 유일하게 로봇 보조 시스템을 주제로 발표했으며, 관절경 수술의 로봇 적용 가능성과 어깨 인공관절 수술, 재활 치료, 재생의학 접목 등 네 가지 주제를 다뤘다. 특히 메디스비의 로봇 재활 시스템은 기존 치료 대비 60% 향상된 운동 범위 개선 효과를 보였고, 의료진의 노동 시간을 최대 90%까지 줄일 수 있는 효율성을 입증했다. 메디스비는 향후 Physical AI 기반의 전주기 의료 시스템 구축과 글로벌 상용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오션-밸류업 제주 데모데이’ 성료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는 지난 10월 31일 J-Space에서 해양수산 분야 유망 스타트업들의 투자유치를 위한 ‘2025 해양수산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오션-밸류업 제주 데모데이’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이번 행사에는 제주소금, 메가플랜, 토버스 등 10개 스타트업이 참여해 용암해수·해조류 활용, 해양환경 보호, 어업 생산성 향상 등 제주의 해양 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주제로 IR 피칭을 진행했다. 심사 결과 ㈜메가플랜이 대상(상금 1,500만원), 토버스가 최우수상(1,000만원)을 수상했으며, 오션브릭과 ㈜위드라이크가 우수상(각 700만원)을 받았다. 센터는 수상 기업에게 상금과 함께 후속 성장 프로그램을 지원할 예정이다. 제주센터 관계자는 “이번 데모데이가 해양수산 스타트업들이 투자자와 직접 소통하며 실질적인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장이었다”며, 앞으로도 해양수산 산업 전반에서 혁신 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속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AI서머리] 경기도, 스타트업 미국 진출 지원‧경북창경, TIPS 운영사 선정](https://startuprecipe.co.kr/wp-content/uploads/2025/11/251103_Busan-Metropolitan-City_500235-350x250.jpg)
![[AI서머리] 노타, 코스닥 신규 상장‧한국사회투자, 중기부 팁스 운영사 최종 선정](https://startuprecipe.co.kr/wp-content/uploads/2025/11/251103_nota.ai_50050205-350x250.jpg)
![[이번주행사] 2025년 아트스타트업 데이‧2025 블록체인 진흥주간 X 웹3.0 컨퍼런스](https://startuprecipe.co.kr/wp-content/uploads/2025/11/251103_event_000004-350x250.jpg)
![[AI서머리] 로켓십 IR 4회차 참가기업 모집‧와이즈에이아이, AI통화 서비스 출시](https://startuprecipe.co.kr/wp-content/uploads/2025/11/251103_bizhouse_00000235-350x250.jpg)
![[AI서머리] 프리미엄 자산보관 서비스 ‘볼트1932’ 투자 유치‧부산창경, 팁스 운영사 선정](https://startuprecipe.co.kr/wp-content/uploads/2025/10/251030_asan-nanum.org_0502053-350x250.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