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단25’서 AI 전략 두 축 공개…서비스 ‘에이전트N’과 ‘제조업 AX’ 집중
네이버는 11월 6일 통합 컨퍼런스 ‘단25’를 개최하고 서비스와 B2B를 아우르는 ‘AI 전략의 두 축’을 발표했다. 핵심은 사용자 경험을 현실 세계로 확장하는 ‘에이전트N’과 제조업의 AI 전환(AX)을 담당할 ‘소버린 AI 2.0’ 전략이다. ‘에이전트N’은 내년 1분기 쇼핑, 2분기 통합검색 ‘AI탭’에 적용돼 서비스 성장을 이끌 예정이다. 김범준 COO는 AI 시대를 맞아 네이버의 모든 서비스를 하나의 유기적인 에이전트로 고도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에이전트 N은 지도, 쇼핑, 금융 등 폭넓은 서비스 생태계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탐색 과정에 자연스럽게 녹아들어 제안과 실행을 수행한다. LLM을 활용한 정교한 초개인화와 함께, 실구매자 리뷰 등 다양한 메타데이터를 통해 정보의 신뢰성까지 확보하는 것이 차별화 포인트다. 네이버클라우드는 반도체, 자동차 등 핵심 제조 산업의 AX 경쟁력을 높이는 데 주력한다. 또한 네이버는 2026년까지 1조원 이상 GPU 투자, 내년 2,000억원 규모의 창작자 보상 및 콘텐츠 투자 계획을 밝히며, 풀스택 AI 역량을 바탕으로 대한민국이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는 데 기여하겠다는 포부를 강조했다.

네이버클라우드 김유원 대표, “자체 기술·인프라로 산업 AI 전환 주도”
네이버클라우드는 6일 통합 컨퍼런스 ‘DAN25’에서 김유원 대표가 ‘AI, 모두를 위한 도전’을 주제로 발표하며 자체 기술 기반의 산업 AI 전환에 대한 의지를 재차 강조했다. 김 대표는 AI를 산업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인프라로 규정하고, 기존 소버린 AI를 산업 전반으로 확장한 ‘소버린 AI 2.0’의 방향을 제시했다. 하이퍼클로바X는 앞으로 ‘Any-to-Any’ 옴니 파운데이션 모델로 진화하여 클라우드용 대형 모델부터 피지컬 AI용 경량 모델까지 산업별 맞춤형 AI 혁신을 지원한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조선, 에너지 등 국내 주요 산업에 특화된 ‘버티컬 AI’ 생태계를 확장하고, 사우디, 태국, 일본 등으로 AI 모델 수출을 가속화해 산업 AI의 글로벌 레퍼런스를 넓힐 계획이다. 이와 함께 AI 혜택이 닿기 어려운 분야까지 기술 접근성을 높여 포용적 성장에 기여하겠다고 덧붙였다.
채널코퍼레이션, 상담 AI 에이전트 ‘알프v2’ 출시…CS 완전 자동화 구현
(주)채널코퍼레이션이 6일 자체 콘퍼런스 ‘채널콘 2025’를 개최하고 자율 업무 수행 능력을 대폭 강화한 상담 AI 에이전트 ‘알프v2’를 공개했다. 알프v2는 단순히 고객의 질문에 답하는 수준을 넘어 예약, 주문 변경/취소, 교환/반품 등 상담사가 직접 처리해야 했던 다양한 업무를 자동화해 CS(고객 서비스)의 완전 자동화를 실현했다. 이를 위해 엑셀, PDF, 웹사이트까지 폭넓은 데이터를 참조할 수 있도록 ‘지식(Knowledge)’ 기능을 강화했으며, ‘태스크(Tasks)’ 기능을 신설해 AI가 주문 정보 조회 및 직접 변경 처리 같은 능동적인 업무를 수행하도록 지원한다. 채널코퍼레이션은 비공개 베타 테스트에서 AI 상담 해결률을 80%까지 끌어올린 성과를 바탕으로, 고객 불편 사항의 근본적 해결을 주도하는 AI 상담 업무 생태계를 조성할 계획이다.
리빌더AI, CES 2026 혁신상 2관왕… AI로 디자인 제조 혁신
리빌더AI가 내년 1월 개최될 세계 최대 IT 전시회 ‘CES 2026’에서 패션테크 및 인공지능(AI) 부문 혁신상을 동시에 수상했다. 2관왕의 영예를 안은 솔루션 ‘VRING:ON’은 디자인 스케치부터 실제 공장 생산에 이르는 복잡한 패션 제조 과정을 하나의 통합 플랫폼으로 연결하는 혁신을 선보였다. 이 솔루션은 신발, 주얼리 등 몰드 설계가 필수적인 산업을 타깃으로, 단순히 이미지를 생성하는 기존 AI와 달리 ‘제조 가능성’과 ‘판매 페르소나’를 고려한 디자인 생성에 집중한다. VRING:ON은 기존 금형 산업 내 디자인과 제조 간의 간극을 해소하고 생산 비용과 시간을 획기적으로 절감하는 구조적 문제를 해결했다. 리빌더AI는 이번 수상을 통해 AI 기술이 디자인-제조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이끌 수 있음을 입증했으며, 향후 글로벌 브랜드 및 제조업체와의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딥엘, 업무 자동화 AI 솔루션 공식 출시
글로벌 AI 기업 딥엘이 지난 5일(현지시간) 독일 베를린 ‘딥엘 다이얼로그’를 통해 차세대 언어 AI 솔루션인 ‘딥엘 에이전트’와 ‘커스터마이제이션 허브’를 공식 출시했다. 자율형 AI 에이전트인 딥엘 에이전트는 사용자의 지시 없이 추론, 계획, 실행을 수행하여 반복적인 업무를 자동화함으로써 지식 근로자의 생산성을 혁신할 전망이다. 신규 통합 플랫폼 커스터마이제이션 허브는 용어집, 스타일 가이드 등을 한곳에서 통합 관리하며 브랜드 언어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번역 품질과 속도를 높이는 기능을 제공한다. 딥엘은 더불어 70개 이상의 신규 언어를 추가해 총 100개 이상의 언어를 지원하게 됐다고 밝히며, 기업의 다국어 커뮤니케이션 효율성을 높이는 데 집중하겠다는 의지를 강조했다.

카카오, 수능·빼빼로데이 맞춤 선물 이벤트
카카오는 수능과 빼빼로데이를 맞아 응원과 감사의 마음을 전할 수 있는 시즌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수능 이벤트는 ‘합격기원’, ‘행운가득’ 등 다섯 가지 테마로 구성돼 인기 교환권과 배송 브랜드 중심의 선물 큐레이션을 제공하며, 가격대별 가이드도 함께 마련됐다. 빼빼로데이 기획전은 친구 초대형 이벤트로, 초대 성공 횟수에 따라 최대 200만 쇼핑포인트 등 다양한 경품이 증정된다. 캐릭터 콜라보 상품과 감성 브랜드 배송상품, 1+1 및 할인 혜택이 적용된 교환권도 함께 선보이며, 카카오는 이번 프로모션을 통해 따뜻한 마음을 나누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

디비디랩, B2B SaaS ‘유저스푼’에 ‘브랜드 패널’ 정식 출시
디비디랩(대표 강지수)이 자사 B2B SaaS ‘유저스푼(user spoon)’의 핵심 기능인 ‘브랜드 패널’을 정식 출시했다. 유저스푼은 기업이 리서치를 더 자주, 더 저렴하게, 더 신뢰성 있게 수행하도록 돕는 ‘리서치 운영 인프라’ 솔루션을 지향한다. 이번에 선보인 브랜드 패널은 기업이 자사 고객의 자발적인 참여를 바탕으로 전문 패널 집단을 직접 구축하고, 단일 대시보드에서 타겟팅, 응답자 모집, 보상 집행 등 리서치 워크플로 전체를 일원화해 관리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솔루션을 도입한 기업들은 평균 2주가 소요되던 리서치 운영 시간을 48시간 이내로 단축하고, 비용을 60% 이상 절감하는 효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들은 수집된 응답 데이터를 활용해 AI 페르소나(AI 패널)를 생성, 제품 개발 및 마케팅 전략에 즉시 활용할 수 있다. 디비디랩은 브랜드 패널 출시를 기념해 초기 도입 기업에 특별 할인과 맞춤형 온보딩을 제공한다.

이피에스리소스,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ISCC PLUS 인증
자원순환 기후테크 기업 이피에스리소스(EPSresource)가 유기성 폐기물 기반의 국제 지속가능성 인증 ‘ISCC PLUS’를 국내 최초로 획득했다. 이 인증은 하수 슬러지, 음식물 폐기물 등을 활용해 바이오가스, 바이오원유, 바이오차 세 가지 탄소중립 자원을 동시에 생산하는 연속 열분해 단일 공정에 주어진 첫 사례다. 회사는 소각 및 매립 중심의 기존 방식을 넘어 지자체의 폐기물 처리 부담을 줄이고, 자원 수요 기업의 ESG 경영과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기여하는 지속 가능한 자원화 솔루션을 국내외 시장에 선보일 계획이다. ISCC PLUS 인증을 통해 당사 기술이 글로벌 대체 자원 공급망에 편입되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아이젠사이언스, 과기정통부 ‘AI 특화 파운데이션 모델’ 사업 공동연구기관 선정
AI 신약 개발 선도 기업 아이젠사이언스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 주관 ‘인공지능(AI) 특화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의 공동연구개발기관으로 최종 선정됐다. 아이젠사이언스는 루닛이 주도하는 ‘의과학’ 분야 컨소시엄에 핵심 공동연구개발기관으로 합류해 총 23곳의 산·학·연·병 기관과 협력한다. 이번 정부 프로젝트는 의료 등 주요 산업별 특화 AI 모델을 개발해 국가 AI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아이젠사이언스는 이번 사업을 통해 신약 개발 및 의과학 R&D 전반에 활용될 ‘의과학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을 담당한다. 특히, 미국 및 한국 의사 면허시험 벤치마크에서 최고 수준의 성능을 입증한 의생명 특화 소형언어모델(sLLM) ‘미어캣’ 기술력과 신약 개발 가설 생성 및 검증을 자율적으로 수행하는 ‘의생명과학 AI 연구동료(BMCS)’ 에이전틱 플랫폼 개발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강재우 아이젠사이언스 대표는 “이번 사업이 국내 AI 신약 개발이 진정한 ‘전주기 혁신’으로 나아가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포부를 밝혔다.
광주창경센터, RISE BM 경진대회 마무리
광주창조경제혁신센터는 10월 28일 호남대학교 RISE 사업의 일환으로 ‘BM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호남대, 광주보건대, 남부대가 공동 주관한 이번 대회에는 비즈니스모델 고도화 교육을 수료한 7개 팀이 참가해 창업 아이디어를 발표했다. 최우수상은 호남대 ‘레시피어’ 팀이, 우수상은 광주보건대 ‘아이디어뱅크’와 남부대 ‘플럭스룸’ 팀이 수상했다. 이번 대회는 실무형 창업교육과 전문가 멘토링을 기반으로 참가자들의 사업모델 완성도를 높이는 데 중점을 뒀으며, 수상팀에는 후속 멘토링이 연계 지원될 예정이다. 광주창경센터는 지역대학과 협력해 청년 창업 역량 강화를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조선대 RISE 창업경진대회 성료
광주창조경제혁신센터는 10월 30일 조선대학교 RISE 사업의 일환으로 ‘창업아이디어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조선대, 조선이공대, 광주여대가 공동 주관한 이번 대회에는 창업 교육과 멘토링을 수료한 지역 일반인 5개 팀이 참가해 창의적 사업 아이디어를 발표했다. 최우수상은 ‘트립룩’ 팀이, 우수상은 ‘시골메이트’와 ‘자미정미소’ 팀이, 장려상은 ‘빛나무’와 ‘구음 리듬 APP개발’ 팀이 수상했다. 이번 대회는 실무형 창업교육과 전문가 멘토링을 통해 참가자들의 사업화 전략 완성도를 높이는 데 중점을 뒀으며, 수상팀에는 후속 멘토링이 연계 지원될 예정이다. 광주창경센터는 지역대학과 협력해 청년 창업 역량 강화를 지속 추진할 방침이다.

![[AI서머리] 콘진원, 콘텐츠 수출보험 지원 본격화‧세종시, 2025 창업한마당 개최](https://startuprecipe.co.kr/wp-content/uploads/2025/11/251106_Gwangju-Metropolitan-City_000002-350x250.jpg)
![[AI서머리] 부산창경, 창업기업 싱가포르 진출 견인‧CIEE, 韓대학생 대상 美인턴십 프로그램 확대](https://startuprecipe.co.kr/wp-content/uploads/2025/11/251106_Busan-Center-for-Creative-Economy-Innovation_000346-350x250.jpg)

![[AI서머리] 마케마케, 팁스 선정‧찜카, 국내 숙소 예약 서비스 신규 론칭](https://startuprecipe.co.kr/wp-content/uploads/2025/11/251106_babblee.net_5000634-350x250.jpg)
![[AI서머리] 프리미엄 자산보관 서비스 ‘볼트1932’ 투자 유치‧부산창경, 팁스 운영사 선정](https://startuprecipe.co.kr/wp-content/uploads/2025/10/251030_asan-nanum.org_0502053-350x250.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