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수증도 이젠…中 블록체인 광폭 행보
중국 심천에서 디지털 영수증이 블록체인으로 발행됐다고 한다. 궈마오 식당(Guomao Rotary Restaurant)이라는 곳이 10일(현지시간) 중국에선 처음으로 블록체인 디지털 영수증을 이용하면서 심천이 ...
이메일로 만나보는 스타트업 가이드
투자, 행사, 정부사업 등 스타트업 생태계 소식을 이메일로 편하게 받아보세요.
‘생활 속 기술 레시피’ ‘현재와 미래를 이어주는 기술 레시피’를 소개합니다. 따끈따끈한 기술이 어떻게 세상을 바꿔갈지 알려주는 세상을 바꿀 레시피가 여기 있습니다.
중국 심천에서 디지털 영수증이 블록체인으로 발행됐다고 한다. 궈마오 식당(Guomao Rotary Restaurant)이라는 곳이 10일(현지시간) 중국에선 처음으로 블록체인 디지털 영수증을 이용하면서 심천이 ...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 이사를 맡고 있는 데이비드 마커스(David Marcus) 페이스북 부사장이 코인베이스 이사를 사임했다. 그는 지난 2017년 12월 코인베이스 이사직을 ...
블록체인 버전 위키백과를 표방하는 에브리피디아(Everipedia)가 지난 8월 9일(현지시간) 서비스를 시작했다. 에브리피디아는 광고나 기부금이 필요 없는 자동 백과사전 시스템으로 설계했다. 이오스 ...
비트코인 30억 달러(한화 3조 4,000억 원대)에 달하는 초대형 사기가 인도에서 발생했다. 이 거액 사기는 인도 구자라트주 총리 관저에서 부동산업자가 경찰에 ...
플레이코인이 코인웨더 서비스를 출시했다. 코인웨더는 데일리 코인 기상 캐스터를 슬로건으로 내건 인공지능 기반 암호화폐 시세 정보 서비스. 코인 시장 동향과 ...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오는 8월 27일까지 ‘인디아티스트를 위한 블록체인’ 프로젝트 참가자를 모집한다. 인디아티스트를 위한 블록체인은 인디아티스트를 발굴해 콘텐츠 제작과 유통, 팬덤까지 인디 ...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P2P 게임 아이템 대여 마켓 기능을 제공하는 게임이 나온다. 엔진이 스페이스파이어릿게임즈가 개발 중인 판타지 롤플레잉 어드벤처 게임 ...
제넥시가 자사의 핵심 플랫폼 MVP(Minimum Viable Product)를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 세계를 대상으로 8월 20일 출시한다고 밝혔다. 제넥시는 블록체인 기반 바이오테크 ...
아마존이 자동차 제조사가 자사의 음성인식 비서 기능인 알렉사를 도입할 수 있게 해주는 소프트웨어개발키트인 알렉사 오토 SDK(Alexa Auto SDK)를 깃허브에 공개했다. ...
라스트 마일(Last Mile)을 잡아라. 전 세계적으로 물류 혁신을 위한 기술 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이 중 눈길을 끄는 대상 가운데 하나는 ...
투자, 행사, 정부사업 등 스타트업 생태계 소식을 이메일로 편하게 받아보세요.
스타트업레시피는 최초 회원 가입 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이용자로부터 아래와 같은 개인 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이용자는 본 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서에 따른 동의를 하면 ‘필요한 최소한의 정보 외에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하지 아니할 권리가 있습니다.
개인정보 취급 및 처리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사이트 하단에 공개한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참조하십시오. 다만 본 동의서 내용과 상충되는 부분은 본 동의서의 내용이 우선합니다.
1.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및 이용목적
1) 수집항목 및 목적 (필수)
□ 뉴스레터 수신: 이메일
※ 귀하께서는 필수항목 수집·이용에 대한 동의를 거부하실 수 있으나, 이는 서비스 제공에 필수적으로 수집해야 하는 정보이므로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뉴스레터 구독을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2.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회원의 개인정보는 뉴스레터 수신을 거부하면 자동으로 파기됩니다.
다만, 스타트업레시피는 관련법령의 규정에 의해 개인정보를 보유할 필요가 있는 경우, 해당 법령에서 정한 바에 의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보유할 수 있습니다.
– 계약 또는 청약철회 등에 관련 기록 : 5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 신용정보의 수집/처리 및 이용 등에 관한 기록 : 3년
– 표시/광고에 관한 기록 : 6개월
– 이용자의 인터넷 등 로그기록/ 이용자의 접속지 추적자료 : 3개월
– 그 외의 통신사실 확인 자료 : 12개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