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이메일로 만나보는 스타트업 가이드

투자, 행사, 정부사업 등 스타트업 생태계 소식을 이메일로 편하게 받아보세요.

2025년 제2차 서울바이오허브(홍릉 바이오·의료 R&D 앵커시설) 입주기업 모집 공고

서울특별시에서 조성하고 한국과학기술연구원ㆍ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운영하는 「홍릉 바이오·의료 R&D 앵커시설」에 입주할 창업기업을 아래와 같이 모집하오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2025년 09월 26일
서울바이오허브

신청방법 및 대상

  • 신청기간

    2025.09.26(금) 15:00 ~ 2025.10.21(화) 18:00 까지

  • 신청방법

    온라인 접수 : 접수 바로가기

    <!– 접수 바로가기 –>

  • 신청대상

    의약, 의료기기, 디지털 헬스케어 등 레드바이오 분야 창업기업

  • 제외대상

    -「중소기업창업지원법 시행령」 제 4조 각 항에 해당하는 창업기업
    – 금융기관 등으로부터 채무불이행으로 규제중인 자 또는 국세 또는 지방세를 체납
    중인 자. 다만, 신용회복위원회의 사전채무조정(프리워크아웃), 개인워크아웃에서
    채무조정합의서를 체결한 경우, 법원의 개인회생제도에서 변제계획인가를 받거나
    파산면책 선고자, 회생인가를 받은 기업, 중소기업진흥공단 등으로부터 재창업자
    금을 지원받은 경우, 세금분납 계획에 따른 성실 납부기업(인), 정부지원 협약 전
    까지 세금완납기업(인), 정부‧공공기관으로부터 재기지원 필요성을 인정받은 기업
    (인), 건강관리시스템기업구조 개선 진단을 통한 정상화 의결기업은 신청 가능
    – 입주신청일 현재 휴‧폐업 상태인 경우
    – 금융신용도 불량자, 관련법규나 사회 통념상 문제가 있는 경우
    – 폐수, 소음, 진동 등 공해 다발업종 사업자
    – 접수기간 내 사업계획서 및 관련서류 미제출, 제출양식 미준수인 경우
    – 허위 그 밖에 부정한 방법으로 신청 서류를 제출한 경우
    – 타인의 특허, 실용신안 등 지식재산권을 침해하거나 침해할 우려가 있는 아이템
    – 기타 서울시장, 한국과학기술연구원장이 참여제한의 사유가 있다고 인정하는 자

  • 신청 시 요청하는 정보(개인정보포함)는 사업운영기관에서 관리되오니 이점 반드시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제출서류

  • 지원신청서 및 사업계획서 등 공통서류 및 추가서류(해당시)

  • 제출하신 서류는 사업운영기관에서 관리되오니 서류 반환 등 문의는 해당 기관으로 하시기 바랍니다.

선정절차 및 평가방법

  • 서류심사 – 발표심사

입주모집개요

  • 모집개요

    ○ 모집기간 : 2025. 9. 26. (금) ∼ 10. 21. (화) 18:00까지 (26일간)
    ○ 모집규모 : 최대 35개사(글로벌센터 11개실, 연구실험동 1개실, 산업지원동 3개실, 지역열린동 2개실, 서울바이오혁신커뮤니티센터 10개실, BT-IT융합센터 8개실)
    ○ 모집대상 : 의약, 의료기기, 디지털 헬스케어 등 레드바이오 분야 창업기업
    ○ 신청방법 : 서울바이오허브 홈페이지(www.seoulbiohub.kr) 접속 후 신청서 및 제반서류 온라인 제출
    ○ 공고링크 : https://www.seoulbiohub.kr/front/supportManageReq/supportManageView.do?seq=724&gubun=12&&&&link_g_topmenu_id=310&link_g_submenu_id=310&link_g_homepage=F
    ※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 내 공고문 참조

  • 소재지

    – 글로벌센터, 연구실험동, 산업지원동, 지역열린동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로 117-3
    – 서울 바이오 혁신커뮤니티센터 : 서울특별시 성북구 종암로 18
    – BT-IT융합센터 : 서울특별시 성북구 오패산로 3길 12길

  • 공간구성

    ○ 시설별 상이 : 글로벌센터, 연구실험동, 산업지원동, 지역열린동, 서울 바이오 혁신커뮤니티센터, BT-IT 융합센터
    – 공고 홈페이지 내 공고문 참조 : https://www.seoulbiohub.kr/front/supportManageReq/supportManageView.do?seq=724&gubun=12&&&&link_g_topmenu_id=310&link_g_submenu_id=310&link_g_homepage=F

  • 입주기간

    – 스타트업 트랙 : 최초 임대차 계약기간 1년(창업일로부터 10년까지 연장 가능)
    – 스케일업 트랙 : 최초 임대차 계약기간 1년(최초입주일로부터 최대 4년까지 연장 가능)

  • 입주비용

    ○ 시설별 상이 : 글로벌센터, 연구실험동, 산업지원동, 지역열린동, 서울 바이오 혁신커뮤니티센터, BT-IT 융합센터
    – 공고 홈페이지 내 공고문 참조 : https://www.seoulbiohub.kr/front/supportManageReq/supportManageView.do?seq=724&gubun=12&&&&link_g_topmenu_id=310&link_g_submenu_id=310&link_g_homepage=F

  • 입주공간 확인자료

    https://www.seoulbiohub.kr/front/intropage/intropageShow.do?page_id=2818b5f28de5437a9e58145ddb10b61a

  • 상기 일정은 사업운영기관의 내부사정으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지원내용

  • 입주기업 지원 혜택

    Ⅰ. 기반 인프라 제공
    ▪입주 공간 및 공용시설 지원
    – 독립형 입주공간(Wet Lab 설치 가능 또는 사무공간 전용, 시설별 상이) 제공
    – 회의실, 공용 공간, 휴게실, 체력단련실 등 편의시설 제공
    ▪공용 연구시설 및 장비 이용 가능
    – 109종 249점의 공용 연구장비 이용 가능(입주기업 이용료 30% 할인)
    – 분야별 장비 전담인력 및 전문가를 통한 이용자교육 제공
    – 내/외부 전문가를 연계한 연구장비 이용지원 서비스 제공
    – 유형별 기본 실험환경을 갖춘 공용실험실 이용 가능
    – 의료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AI) 기술에 기반한 보건·의료 융합연구를 위한 고성능 컴퓨팅 자원 제공
    Ⅱ. 이노베이션 역량 지원
    ▪ 「학‧연 혁신네트워크」 기관과 연계/협업 기회 제공
    – 우수 인재 확보(계약학과), 공동 연구(LINC) 기회 제공
    – 다양한 분야별 전문가(Ph.D.) 및 임상의(M.D.)를 통한 전문성 연계 지원(기술자문) 제공
    ▪병원기반 의료데이터 활용 지원
    – 전국 43개 의료데이터 중심병원의 의료데이터를 활용한 임상의-창업기업 간 공동연구 지원
    – 창업기업의 의료데이터 중심병원 임상데이터 접근성 장애 개선 지원
    – 병원의 임상데이터 및 첨단 기술 기반의 보건의료 혁신 지원
    ▪바이오-AI 융복합 지원
    – 보건‧의료 산업 분야 창업기업의 AI기술 활용(적용) 및 융복합 R&BD 지원
    ▪보건‧의료 산업 분야 수요기반 실무 역량강화 교육 제공
    – 실무역량 강화교육(실무진 대상), 최고경영자과정(최고경영진 대상)
    Ⅲ. 비즈니스 성장 지원
    ▪투자유치 및 기업 홍보 지원
    – 초기성장단계 기업을 위한 투자코칭 멘토링 및 피치덱 컨설팅 지원
    – 성장단계별 특화 IR 행사 진행
    – 투자 가능성 제고를 위한 투자기관 및 지원기관과 전략적 협업
    – 입주기업의 성과 및 테마별 기획보도를 통한 전략적 언론홍보 지원
    – SMK 제작지원
    ▪BD(Business Development) 지원 프로그램
    – 국내외 대기업 등과 오픈이노베이션 기회 제공
    ·국내 : 셀트리온, 대원제약, 메디톡스 등
    ·국외 : 노바티스, 로슈진단, BMS, 로토제약, 바젤대학교, 드레이퍼스타트업하우스 등
    – 투자 연계형 컨설팅 사업 참여 기회 제공
    – 국내외 바이오·의료 네트워킹 확대 지원(허브토크데이, 세미나, 국내외 박람회
    및 파트너링 지원 등)
    – 글로벌 진출 지원 사업 참여 기회 제공
    Ⅳ. 제도적 지원
    ▪서울홍릉강소연구개발특구 기업 혜택(서울 바이오 혁신커뮤니티센터 제외)
    – 규제샌드박스 제도 적용 가능 및 다양한 강소특구 사업 참여

문의처

  • 서울바이오허브 사업운영팀 이승훈 과장, 김래현 전문원

    02-2200-3333, 3334
    hope@kist.re.kr, raehyun@kist.re.kr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 참조 및 문의처로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뉴스 레터 구독하기

Related Posts

Next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