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넷플릭스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2025년 6월 20일 전 세계에 공개된 이래 문화적 아이콘으로 급부상했다. 개봉 48시간 만에 26개국에서 1위를 차지하고 93개국에서 넷플릭스 TOP 10에 진입했으며 넷플릭스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영화 중 역대 최고인 96% 로튼 토마토 점수를 기록했다. 이 영화는 단순한 히트를 넘어 영화, 음악, 팬덤 문화, 마케팅 전략 전반에 걸쳐 완벽하게 활성화된 엔터테인먼트 생태계를 구축했다.
한편 국내에서 제작한 종교 기반 애니메이션 영화 ‘킹 오브 킹스(The King of Kings)’ 역시 북미 시장에서 성공을 거두며 엔터테인먼트 시장의 특정 수요를 명확히 입증했다. 두 애니메이션은 서로 다른 장르와 타깃층을 가졌지만 유사한 성공 전략과 시장 역학을 통해 큰 성공을 거뒀다. 이들의 공통적인 성공 비결은 뭘까.
◇ 방치됐던 수요 자극‧매체 강점 활용=첫 번째는 방치됐던 거대 관객층 수요 충족. 더 킹 오브 킹스는 엄청난 규모로 방치되고 충족되지 않았던 거대한 관객층, 그러니까 신앙 기반 콘텐츠와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재미있고 매력적인 영화를 찾는 가족 단위 관객 수요를 충족시켰다. 전문가는 신앙 기반 콘텐츠에 대한 엄청난 갈망이 있다고 언급했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K-Pop 팬덤이라는 특정하면서도 강력한 글로벌 커뮤니티 수요를 공략했다. 많은 스튜디오가 K-Pop IP를 개발하려 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던 상황에서 이 영화는 K-Pop과 악마 사냥이라는 독특한 조합으로 성공적인 니치를 찾아낸 것.
2번째는 애니메이션 매체가 지닌 강점 활용. 두 영화 모두 애니메이션이라는 매체 특성을 활용했다. 애니메이션은 본질적으로 일상생활에서 벗어나 정제되고 단순화되어 있어 실사 영화보다 오래도록 신선함을 유지하며 반복 시청에 적합하다는 이점이 있다.
더 킹 오브 킹스는 가족 관객이 영화와 장기적인 관계를 맺고 싶어한다는 점을 반영해 반복 시청을 통해 부모가 가족에게 적합한 영화를 계속해서 틀어주는 심리에 부합한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스파이더버스에서 영감을 받은 독특한 비주얼 스타일과 K-Pop 콘서트 연출을 모방한 정교한 안무를 통해 시각적으로 아이코닉하고 매력적인 애니메이션을 선보였다.
3번째는 고품질 콘텐츠 및 매력적인 스토리텔링. 더 킹 오브 킹스는 찰스 디킨스 책을 바탕으로 한 친근한 스토리텔링 프레임 그러니까 아버지가 아들에게 이야기해주는 방식과 오스카 아이작, 피어스 브로스넌, 마크 해밀 등 유명 배우 목소리 연기를 통해 영화에 매력을 더했다. 단순히 종교적 메시지를 넘어 신앙, 이타심, 모두를 위한 옳은 일을 하는 것과 같은 긍정적인 가치를 전달하는 훌륭한 모험 이야기로 기능하는 것. 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실제 K-Pop 보컬리스트와 테디 박(Teddy Park) 같은 유명 프로듀서가 참여해 음악적 완성도를 높였고 음악이 단순히 배경 음악이 아닌 이야기의 핵심 요소이자 캐릭터 감정선과 연결되는 방식으로 사용됐다. 또 모험의 모든 걸 갖춘 매력적인 이야기로 평가된다.

◇ 전략적 마케팅과 장기적 관계 형성과 확산=4번째는 전략적인 마케팅 및 배급. 더 킹 오브 킹스는 앙헬 스튜디오(Angel Studios)의 혁신적인 페이-잇-포워드(pay-it-forward) 크라우드펀딩 모델과 성인 티켓 구매 시 어린이 티켓을 무료로 제공하는 아이 동반 무료(Kids Go Free) 프로모션을 통해 가족 관객 유치에 성공했다. 개봉 시기를 부활절과 성주간에 맞춰 종교적 명절 분위기를 활용했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사운드트랙 싱글을 티저, 뮤직비디오, 인터뷰 영상과 함께 공개하는 단계적 발매 전략과 댄스 챌린지, AR/VR 라이트스틱 필터, 팬 투표/이벤트 등 팬덤 참여 유도를 통해 실제 아이돌처럼 취급하는 마케팅을 펼쳤다. 영화는 다중 플랫폼에서 확산되도록 설계됐고 애니메이션, 음악, 안무, 마케팅 부서 간 긴밀한 협업이 성공의 핵심이었다.
5번째는 커뮤니티 기반 구전 마케팅 및 장기적 관계 형성. 더 킹 오브 킹스는 부모가 서로에게 영화를 추천하는 게 할리우드에서 가장 강력한 마케팅 동력이며 이 영화가 가족 생활 리듬과 주기 일부가 되어 집에서의 놀이나 그림, 노래 등을 통해 아이 일상에 스며든다는 점이 강조된다. 이는 공동체 형성의 힘을 바탕으로 수년간 영화가 계속 시청될 이유가 된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팬아트, 댄스 리크리에이션, 코스프레, 토론 포럼 등 온라인 팬덤 활동이 폭발적으로 일어나며 영화 바이럴 확산에 기여했다. 이는 팬과의 장기적인 몰입형 관계를 형성하고 속편에 대한 높은 기대감으로 이어진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성공은 넷플릭스가 추구하는 광범위한 콘텐츠 전략과도 일맥상통한다. 넷플릭스는 데이터 분석을 활용해 콘텐츠 획득을 안내하며 시청자 데이터, 시장 동향, 경쟁 분석, 문화적 관련성을 중요한 고려 사항으로 삼는다. 넷플릭스는 또 사용자 중심 마케팅에 중점을 두어 데이터와 분석을 활용해 맞춤형 추천, 예고편, 홍보 자료를 제공하며 시청 경험을 개인화한다. 스트리밍 시대에 살아남기 위한 이 같은 넷플릭스의 전략은 글로벌 콘텐츠 시장을 공략하려는 국내 콘텐츠 제작자에게도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고 할 수 있다.
![[AI서머리] 로버스, 20억 프리시리즈A‧게임화 커머스 ‘빰!’ 시드 투자 유치](https://startuprecipe.co.kr/wp-content/uploads/2025/07/250714_Stratasys_60060346-75x75.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