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이메일로 만나보는 스타트업 가이드

투자, 행사, 정부사업 등 스타트업 생태계 소식을 이메일로 편하게 받아보세요.

미국 수출 규제로 인해 중국에서는 AI용 고성능 반도체 입수가 어려워지고 있다. 그런 중국에 엔비디아 일반용 플래그십 그래픽카드인 지포스 RTX 5090을 AI용으로 마개조하고 있는 업체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빌리빌리에 알라온 영상에는 수출 규제 대상인 지포스 RTX 5090에서 GPU 다이를 추출해 커스텀 기판에 장착하는 전 과정이 담겨 있다.

작업장에 산더미처럼 쌓인 이노3D 지포스 RTX 5090 탑재 보드 패키지를 보면 이들 보드는 중국용 성능 제한판인 지포스 RTX 5090 D가 아니라 풀 성능 지포스 RTX 5090다.

지포스 RTX 5090 탑재 보드는 개조 전에 동작 점검을 통해 통과한 개체만이 개조 공정으로 진행된다. 개조 시에는 먼저 지포스 RTX 5090 GPU 다이를 추출하기 위해 보드를 분해한다. 이어서 기판에서 GPU 다이를 분리한다. 분리한 GPU 다이는 개조 업체 전용 기판에 이식된다.

다음으로 정밀 기계를 사용해 기판에 GPU 다이를 장착한다. GPU 다이를 장착한 뒤에는 고정밀 센서를 사용해 제품 점검을 실시한다. 점검을 통과한 GPU 다이 장착 완료 기판에 독자 설계 외장과 백플레이트를 장착한다. 이를 통해 마개조판 지포스 RTX 5090 탑재 보드가 완성된다.

테스트를 통과한 보드를 박스에 포장하는데 패키지에는 레디포AI(Ready For A.I)라고 적혀 있다. 마개조판 지포스 RTX 5090 탑재 보드가 지닌 큰 특징은 2슬롯에 수납되는 얇은 두께와 외부 배기다. 일반 지포스 RTX 5090 탑재 보드는 케이스 내부로 방열하는 내부 배기식 냉각 구조를 갖추고 있어 케이스 내에 그래픽카드 여러 대를 설치하는 용도에서는 불리하다. 반면 마개조판은 케이스 밖으로 열을 배출하는 구조를 채택해 머신 1대에 대량 그래픽카드를 탑재해 병렬 처리를 실행하는 AI 워크플로에 적합하다는 것이다. 관련 내용은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뉴스 레터 구독하기

Related Posts

No Content Available
Next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