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이스X가 위성 인터넷 서비스인 스타링크(Starlink) 위성이 10월 20일 발사를 통해 1만 기에 도달했다고 보고했다.
스페이스X는 1세대 스타링크 4,400기를 발사하는 계획을 2018년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로부터 승인받았으며 이후 2022년 12월에는 제2세대 스타링크 위성 7,500기를 발사하는 계획이 승인됐다. 2024년 9월에는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에서 스타링크 위성 21기가 팔콘9 로켓으로 발사되어 스타링크 위성 발사 수가 7,000기를 맞이했으며, 머스크는 지구를 도는 모든 활성 위성 3분의 2를 스타링크 인공위성이 차지했다고 발표했다.
그리고 10월 20일 스페이스X는 플로리다와 캘리포니아에서 스타링크 위성 56기 발사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발사로 스타링크 위성 발사 총수가 1만 기를 돌파한 것으로 밝혀졌다.
https://platform.twitter.com/widgets.jsSpaceX has now launched more than 10,000 Starlink satellites to date, enabling reliable high-speed internet for millions of people all around the world 🛰️🌎❤️ https://t.co/RDBIjiGcrK
— Starlink (@Starlink) October 19, 2025
캘리포니아주 밴든버그 우주군 기지에서 발사된 28기 중에 1만 번째 스타링크 위성이 포함되어 있으며 스페이스X 발사 생중계에서 틴틴부터 1만 기까지 힘내라 스타링크라는 안내 방송이 있었다고 한다. 틴틴(Tintin)은 2018년에 발사된 스타링크 프로토타입 이름으로 프로젝트 시작부터 1만 기까지 도달한 걸 축하하는 의미다.
다만 스타링크 위성 1만 기가 지구를 돌고 있다는 의미는 아니다. 스타링크 위성 설계 수명은 5년에서 7년 정도로 알려져 있으며 2018년 발사된 프로토타입과 2019년부터 발사가 시작된 1세대 위성은 단계적으로 폐기가 진행되고 있다.
https://platform.twitter.com/widgets.jsFalcon 9 completes a double-header launch day, taking 56 @Starlink satellites to orbit from Florida and California pic.twitter.com/SGC8Jf3Sle
— SpaceX (@SpaceX) October 19, 2025
스타링크 위성이 얼마나 발사되었고 어느 지역을 비행하고 있는지는 천체물리학자 조나단 맥도웰이 자신의 사이트에서 스타링크 위성 운용 현황을 집계·공개하고 있으며 스타링크 인공위성이 지금 어디를 비행하고 있는지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지도(STARLINKMAP.ORG)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위성 추적 시스템에 따르면 발사에 성공한 위성 1만 기 중 2025년 10월 시점에 운용되고 있는 건 8,600기라고 한다.
스타링크는 사용자 수 증가와 함께 통신 속도가 저하됐다고 보도된 적도 있어 더 많은 스타링크 위성으로 집단군(constellation)을 형성하는 건 고속 저지연 인터넷을 전 세계에 제공하기 위해 중요하다. 스페이스X는 10월 시점 위성 1만 2,000기를 발사하는 승인을 받았지만 최종 계획에서는 3만 기 이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 10월 20일 시점 연내 팔콘9 로켓 발사 횟수는 132회에 도달해 2024년 기록과 동률을 이루고 있어 앞으로 페이스가 더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관련 내용은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AI서머리] 제3회 ‘서울퀀텀플랫폼 포럼’ 개최‧에니아이 햄버거 패티 굽는 로봇, 뉴욕 매장에](https://startuprecipe.co.kr/wp-content/uploads/2025/10/251022_sba.seoul_.kr_000412-75x75.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