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roll to top
© 2020, Startuprecipe theme by Rssow
Share

[StartupRecipe] 투자사가 보는 지표 1순위는 바로 이것

2025년 1월 31일

[1월 4주차] 1월 넷째 주에는 투자금을 공개한 10개 기업이 1,875억원을 유치했습니다.

기업명분야투자금단계투자사
아모지무탄소 발전 시스템816억원아람코벤처스, SV인베스트먼트, 테마섹, 미쓰이오에스케이라인즈, 얀마, AP벤처스, 마루노우치이노베이션파트너스, 삼성중공업, BHP, 한화투자증권, AFW파트너스, 퀀텀벤처스코리아, 키보인베스트, 서울투자파트너스
스튜디오갈릴레이모빌리티 플랫폼비공개프리시리즈A2씨엔티테크, NBH캐피탈, 코스넷기술투자,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신용보증기금, IBK캐피탈-인탑스인베스트먼트
스킨서울크로스보더 커머스비공개프리시드500글로벌, 블루프린트벤처스
텍트그룹글로벌 뷰티 브랜드비공개시드베이스벤처스, 카카오벤처스
마인드풀커넥트멘탈헬스비공개시드엠와이소셜컴퍼니
나눔비타민기부 스타트업비공개프리시리즈A서울대기술지주
옐로우버스통학 차량 솔루션비공개인수합병더스윙
수집글로벌 팬덤 커머스 플랫폼비공개지원금팁스
FNCT바이오텍바이오테크60억원시리즈A메리츠증권, IBK기업은행, 프리미어파트너스, BSK인베스트먼트
팬텀모바일 게임 개발비공개인수합병넵튠
큐어버스뇌질환 신약 개발250억원시리즈B스틱벤처스, 대교인베스트먼트, UTC인베스트먼트, 유안타인베스트먼트, 그래디언트, 솔리더스인베스트먼트, 파트너스인베스트먼트, KB증권, IBK기업은행
덱사스튜디오게임 개발사비공개액션스퀘어
메디큐스타AI 헬스케어비공개시리즈A패스파인더
비비던트캐릭터 IP20억원시드해시드, 매쉬업벤처스, 더벤처스, 모드하우스, 스페르미온, 제트벤처캐피탈, 데시마펀드, 타이탄 펀드
프리딕션전기차 배터리 진단비공개시드블루포인트파트너스
에어빌리티항공기 개발25억원프리시리즈A삼호그린인베스트먼트, 베이스벤처스, 스톤브릿지벤처스, 매쉬업벤처스
루트파인더즈시각장애인 전용 멀티미디어 플랫폼비공개시드엠와이소셜컴퍼니, 더웰스인베스트먼트
비바랩스시니어 맞춤 근력운동비공개시드개인
온클레브가상자산 레크테크비공개시드엠와이소셜컴퍼니
비욘드알XR B2B 솔루션비공개지원금팁스
주미당콘텐츠‧관광비공개시드아이디어파트너스
원유니버스메타버스개발사100억원액션스퀘어
메디아크바이오비공개제이엔피글로벌
무븐트댄스 IP 인프라비공개지원금팁스
두잇배달 앱306억원시리즈A굿워터캐피탈, SBVA, 베이스벤처스, 해시드, 비디씨랩스
인핸스AI 에이전트170억원시리즈B현대기술투자, L&S벤처캐피탈, KDB캐피탈, 타임폴리오, AOA캐피탈파트너스, 산업은행, KT인베스트먼트
케이워크파트너스외국인 플랫폼8억원시드카이스트청년창업투자지주
올라핀테크선정산 서비스120억원시리즈BKB국민카드, 알타라벤처스, 두벤처스
프리딕티브AI유전체분석비공개지원금딥테크팁스
니즈외식업 재고·발주 관리 솔루션비공개시드엠와이소셜컴퍼니
베어로보틱스자율주행 로봇비공개인수합병LG전자
셀타스퀘어AI 약물 감시92억원시리즈AKB인베스트먼트, 한국투자파트너스, 유안타인베스트먼트, SJ투자파트너스, 젠엑시스
 
 

#스타트업 투자 유치

  • 암모니아 기반 무탄소 발전 시스템 아모지가 5,600만달러(820억원)투자 유치. 누적 투자 2억 7,000만달러(3947억원) 확보. 투자금은 해운 발전 등 주요 기술 상용화를 가속화하고 연구개발 역량을 강화하는 데 활용할 계획.
  • 무료 배달앱 두잇이 120억원 투자를 유치하고 누적 306억 원 확보. 최소 주문 금액 9,000원으로 1인분도 무료배달이 가능한 서비스 운영. 투자금을 커뮤니티 조성, 1인 소비 영역 서비스 카테고리 다각화에 활용.
  • AI 에이전트 전문 기업 인핸스가 170억원 투자를 유치. 전 세계 상품 정보를 실시간으로 처리하고 AI로 분석한 뒤 자동화하는 AI Agent Platform(AIAP) 기술 개발. 투자금으로 인재 채용 계획.
  • 올라핀테크가 120억원 투자를 완료하고 누적 165억 투자금 확보. 온라인 쇼핑몰 판매자 정산 지연 문제를 해결하는 올라 선정산 서비스 제공. 중소사업자 자금 경색을 도울 수 있는 서비스 출시 계획.
  • 25년 1월 4주차 위클리 스타트업 리포트 무료 다운로드하기
 
 

#트렌

투자사가 보는 지표 1순위는?

벤처 투자 환경이 스타트업에 우호적이지 않은 상황에서 투자자가 스타트업에게 가장 중요하게 보는 건 뭘까요. 스타트업레시피가 초기부터 성장 단계 투자자 29명을 대상으로 투자 시 살펴보는 5가지 지표 순위도를 물어봤는데요. 이 가운데 1순위로 선택된 지표는 바로 팀이었습니다. 이어 시장 규모, 수익 모델, 기술, 글로벌 확장성으로 순으로 투자 시 중요도를 두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팀은 투자 단계와 상관없이 가장 많은 이들이 선택했습니다. 중기, 성장 단계 투자사는 시장 규모와 기술을 1순위로 뽑기도 했는데요. 흥미로운 점은 투자자가 보수적으로 변하면서 수익 모델이 가장 주요시될 것으로 예상됐지만 오히려 성장 단계에 투자하는 투자자는 확실한 수익 모델을 가장 후순위에 두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투자사는 시장 규모도 중요하다고 꼽았는데요. 상대적으로 큰 자금을 투입하는 이들은 시장 확장성에 주목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기업, 빅테크 산하 투자사는 모두 글로벌 확장성을 1순위로 꼽은 점도 주목할 만합니다. 이들은 지난 몇 년간 국내 스타트업 투자를 큰 폭으로 줄이고 해외 스타트업 투자 등 해외에서 투자 기회를 엿보고 있는데요. 시장 변화와 함께 나타난 투자 전략 변화가 나타난 것으로 보입니다.

글로벌 진출이 필수가 된 시점에서 투자자는 스타트업의 글로벌 역량도 주의 깊게 살펴보고 있는데요. 국내 스타트업 경쟁력을 평가한 투자사 35%가 5점 만점에 3점을 선택했고 28%는 4점을 줘 높은 수치가 나타났습니다. 대다수 투자자는 글로벌 시장에서 성공할 아이템으로 AI를 비롯한 메가트렌드와 한국이 강점을 보이고 있는 분야라고 봤습니다. 그 중에서도 우리나라가 강점을 가진 제조 분야를 기반으로 한 산업 중에서도 K-뷰티, 그러니까 화장품 영역 제조와 여기에서 파생될 수 있는 이커머스 등 밸류체인 자체에서 글로벌 경쟁력이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또 글로벌 향으로 우리나라가 강점을 가지는 컨슈머 서비스, 뷰티, 콘텐츠, 딥테크 일부 분야 중심으로 투자가 이어질 것으로도 봤습니다. 이런 흐름 속에서 글로벌 인재 확보에 경쟁력을 갖춘 기업과 그렇지 못한 기업 간 성장 격차가 더 벌어질 것으로도 예측됩니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 역시 투자 시장 환경은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는데요. 2025년을 전망한 투자사는 다음과 같은 전망을 내놨습니다.
 

  • 글로벌 진출 가능성이 높은 회사들에 대한 투자는 매력적일 수 있겠지만 사업성이 쉽게 보이지 않는 회사들은 많은 어려움이 예상됨.
  • 매크로 측면에서 여전히 어려울 것으로 판단. 특히 최근의 정치적 불안정성이 더해져 해외 자금의 국내 유입도 당분간 관망 상태.
  • 내년 경제 전반 상황에 대한 부정적 우려가 매우 높은 수준으로 스타트업 투자 시장도 영향을 받을 것.
  • 불확실성이 매우 고조되어 내년 상반기에도 투자사는 매우 방어적/소극적으로 투자할 것. 그 중에서도 여러 산업 정책 일관성/선명성이 중요한데 이 부분 역시 기대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투자에 있어서 양극화는 계속 심화될 것.
  • 북미를 중심으로 하는 자본 및 기술 혁신 시장과 더 큰 격차만을 느끼게 될 것이고 국내에서도 입지를 잃어가는 대형 VC가 조금씩 나타나게 될 것.
  • 한국 기업 가치가 높게 인정을 받지 못하는 상황에서 정치적 불안이 가중되며 당분간 상장 시장은 물론 비상장 시장까지도 어려울 전망. 어려운 가운데 극초기/초기 투자 수요는 지속되거나 높아질 것으로 보고 있음.
  • 고환율과 고금리가 유지되는 한 작년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 이럴때일수록 자체적인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있는 수익 모델을 갖추는게 중요.
  • 여전히 글로벌 성장성, AI, 그리고 수익성을 증명해나가는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 집중도가 높아질 것으로 판단.
  • 전형적인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일어나고 있음. 성장 산업 영역(AI, 우주, 기후에너지, 의료 등) 분야에서 기술력과 글로벌 역량이 뛰어난 팀은 투자자가 몰리는 현상 발생 예상. 하이리스크 하이리턴 식으로 분산 투자 방식에서 로우 리스크 로우 리턴으로 집중 투자 방식이 선호될 전망.
  • 동남아시아의 경우 엑싯 시장 한계로 인해 당분간은 VC의 펀드레이징이 쉽지 않을 전망. 따라서 VC는 더 보수적으로 드라이파우더를 소진할 것으로 보이며 이는 초기 스타트업에게는 어려운 시장 환경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
 
 

#국내 스타트업 주요 소식

  • AI 분야 청년인재를 양성하는 2025년 스타트업 AI 기술 인력 양성 사업(이어드림스쿨) 교육생을 이곳에서 모집.
  • 창의적 소상공인을 기업가형 소상공인으로 성장할 수 있게 지원하는 2025년 강한 소상공인 성장 지원 사업에 참여할 기업을 2월 27일까지 이곳에서 모집.
  •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 사업이 23일부터 이곳에서 모집. 10대 분야 딥테크 스타트업을 선정해 글로벌 진출을 집중 지원하는 사업.
  • 정부가 아기유니콘 육성사업에 참여할 기업을 2월 14일까지 이곳에서 모집.
  • 중소벤처기업부가 청년창업사관학교, 글로벌창업사관학교로 구성돼 910개사를 지원할 예정. 신청은 이곳에서 가능.
  • 코리아스타트업포럼이 20일 서울 역삼 팁스타운S6에서 2025년 코스포 신년회를 개최(관련 기사 : 코스포가 일본 가는 이유).
  
 

#지원사업

  • 혁신기술 기반의 경쟁력있는 해양수산 벤처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오션테크 스타트업 챌린지 참여 기업을 이곳에서 모집. 대상은 해양수산 분야 청년 창업자, 창업 7년 이내 기업 중 창업자(대표자)가 만 39세 이하 청년.

# 정부사업 공고

전국 | 창업교육 2025년 상반기 특허정보검색 및 전자출원 무료 교육 2차 수요조사 안내
한국특허정보원 | 대상: 전체 | 연령: 전체
2025-02-03 ~ 2025-02-2218:00
충청북도 | 시설ㆍ공간ㆍ보육 충북대학교 『글로벌(G)테크벤처센터(BI) 』 입주기업 모집
충북대학교 | 대상: 대학생, 일반인, 대학, 연구기관, 일반기업, 1인 창조기업 | 연령: 전체
2025-02-01 ~ 2025-02-2818:00
전국 | 시설ㆍ공간ㆍ보육 송파구 사회적경제지원센터 가상오피스 지원 대상자 모집
송파구청 | 대상: 대학생, 일반인, 대학, 연구기관, 일반기업, 1인 창조기업 | 연령: 만 20세 이상 ~ 만 39세 이하, 만 40세 이상
2025-02-05 ~ 2025-02-0718:00
충청남도 | 시설ㆍ공간ㆍ보육 2025년 제2차 국립공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신규 입주기업 모집
국립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대상: 대학생, 일반인 | 연령: 전체
2025-01-27 ~ 2025-02-2823:59
전국 | 시설ㆍ공간ㆍ보육 [공고 연장] 2025년 상반기 광진경제허브센터 독립형 신규 입주기업 모집
엔슬파트너스 | 대상: 전체 | 연령: 전체
2025-01-25 ~ 2025-01-3123:59
 
 

#이벤트#웨비나

  • 서울시가 2월 11일 코엑스에서 AI SEOUL 2025를 개최. AI 미래를 선도하는 전문가가 참여하는 행사로 네이버, 카카오 등 글로벌 기업, 국내외 인공지능 산업 및 기술 분야 전문가가 참여하는 콘퍼런스. 신청은 이곳에서 가능.

뉴스 레터 구독하기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