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Recipe] 기업형벤처캐피털 활성화 정책…어디까지 왔나
기업형벤처캐피털 활성화 정책...어디까지 왔나 중소벤처기업부가 한국벤처캐피탈협회 산하 CVC 협의회 2024년 4분기 정례 회의에 참석, 국내 기업형벤처캐피털(CVC) 제도개선 추진 현황과 향후 정책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정부는 2021년 말 도입된 ...
이메일로 만나보는 스타트업 가이드
투자, 행사, 정부사업 등 스타트업 생태계 소식을 이메일로 편하게 받아보세요.
기업형벤처캐피털 활성화 정책...어디까지 왔나 중소벤처기업부가 한국벤처캐피탈협회 산하 CVC 협의회 2024년 4분기 정례 회의에 참석, 국내 기업형벤처캐피털(CVC) 제도개선 추진 현황과 향후 정책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정부는 2021년 말 도입된 ...
국가 전략 프로젝트 진행...100억 지원 받는 6개사는? 중소벤처기업부가 민·관 합동으로 최대 100억원 내외 자금을 받을 전략기술 테마별 프로젝트(DCP, Deep-tech Challenge Project) 수행 ...
오픈이노베이션 실제 성과 살펴봤다...우수사례는? 서울창업허브가 17일 공덕 서울창업허브에서 오픈이노베이션 성과공유회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올해 서울창업허브가 대기업/중견기업과 진행한 오픈이노베이션 우수 사례를 ...
정부, 내년 기후위기 대응에 2조 7,000억 투입 정부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기술 개발을 본격화하기 위해 내년 올해보다 3.9% 늘어난 2조 7,496억 ...
글로벌에서도 통한다...K-뷰티 60개사 선정 중소벤처기업부가 13일 아마존 글로벌셀링 코리아·코스맥스·한국콜마, 올리브영, 신세계디에프·이마트와 함께 ‘K-뷰티·푸드 우수 중소벤처기업 시상식’을 개최했다. 시상식에서는 K-뷰티 크리에이터 ...
도전! K-스타트업 2024 왕중왕전...3억 가져간 기업은? 서울 코엑스에서 컴업 2024과 연계해 개최된 국내 최대 스타트업 경진대회 도전! K-스타트업 2024 왕중왕전에서 ...
컴업2024 개막...올해 화두는 '지속 가능한 혁신' 국내 최대 스타트업 페스티벌 ‘컴업(COMEUP) 2024’이 12월 11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막했다. 올해 컴업 2024는 ...
내년 중기부 예산 15조 2,488억 확정...5대 중점 투자 방향은? 2025년 중소벤처기업부 예산안이 15조 2,488억원으로 확정됐다. 2024년 본예산(14조 9,497억원) 대비 2,991억원 ...
CES에 역대 최대 규모 '서울통합관' 운영...104개 참여 서울시가 세계 최대 가전·정보통신기술(ICT) 전시회인 ‘CES’에서 전년 대비 50% 이상 확대된 1,040㎡(315평) 규모 ...
서울형 R&D 지원 받고 상장까지..우수 기업 5곳 서울시가 서울형 R&D 성과공유회를 개최하고 우수 기업 사례와 향후 지원 계획 등을 공유하는 ...
투자, 행사, 정부사업 등 스타트업 생태계 소식을 이메일로 편하게 받아보세요.
Copyright 2020 © Media Recipe. All Rights Reserved.
스타트업레시피는 최초 회원 가입 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이용자로부터 아래와 같은 개인 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이용자는 본 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서에 따른 동의를 하면 ‘필요한 최소한의 정보 외에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하지 아니할 권리가 있습니다.
개인정보 취급 및 처리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사이트 하단에 공개한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참조하십시오. 다만 본 동의서 내용과 상충되는 부분은 본 동의서의 내용이 우선합니다.
1.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및 이용목적
1) 수집항목 및 목적 (필수)
□ 뉴스레터 수신: 이메일
※ 귀하께서는 필수항목 수집·이용에 대한 동의를 거부하실 수 있으나, 이는 서비스 제공에 필수적으로 수집해야 하는 정보이므로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뉴스레터 구독을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2.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회원의 개인정보는 뉴스레터 수신을 거부하면 자동으로 파기됩니다.
다만, 스타트업레시피는 관련법령의 규정에 의해 개인정보를 보유할 필요가 있는 경우, 해당 법령에서 정한 바에 의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보유할 수 있습니다.
– 계약 또는 청약철회 등에 관련 기록 : 5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 신용정보의 수집/처리 및 이용 등에 관한 기록 : 3년
– 표시/광고에 관한 기록 : 6개월
– 이용자의 인터넷 등 로그기록/ 이용자의 접속지 추적자료 : 3개월
– 그 외의 통신사실 확인 자료 : 12개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