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탯카운터가 공개한 미국 내 데스크톱 OS 점유율 추이에 따르면 미국 내 리눅스 데스크톱 점유율은 점차 증가해 2025년 6월에는 5.03%에 도달했다고 합니다.
클라우드플레어 분석 결과도 미국 내 1년간 데스크톱 OS 점유율 추이를 보면 리눅스 점유율은 2024년 7월 1일 기준 2.7%였지만 올해 7월 1일에는 4.4%로 증가했는데요. 물론 스탯카운터 조사 결과와 달리 아직 5%에는 미치지 못했지만 상당한 상승폭인 건 분명합니다.
구글 검색에 탑재된 AI 검색 시스템인 AI 모드에서 최신 모델인 제미나이 2.5 프로 이용 가능해졌다고 합니다. 이로써 텍스트, 음성, 이미지, 영상 등 다양한 형태 정보를 AI 추론 능력으로 분석할 수 있는 고도화된 모델이 검색 기능에 도입된 것인데요. 다만 이번에 제미나이 2.5 프로가 적용된 AI 모드는 구글 AI 프로 또는 구글 AI 울트라라는 유료 구독 서비스 가입자이면서 구글랩스 참여자에게만 제공됩니다.
미국 정부가 2022년부터 시행해온 중국향 AI 칩 수출 규제를 일부 완화하면서 엔비디아와 AMD에 대한 중국 시장 판매가 재개될 전망입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과의 회담을 계기로 미국 정부는 두 기업에 수출 라이선스를 승인했고 이로 인해 각사는 중국 공급을 곧 재개할 계획이라고 발표한 것인데요. 엔비디아는 중국에 대한 H20 판매를 재개하며 중국 규제에 완전히 부합하는 신규 GPU도 개발 중이라고 발표했습니다. AMD도 중국 수출용으로 성능을 조정한 AI 칩 MI308 라이선스 신청이 심사 단계에 들어섰다고 밝혔습니다.
메타가 향후 AI 인프라스트럭처에 대한 투자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메타는 슈퍼인텔리전스 구현을 목표로 향후 수년간 기가와트급 AI 인프라스트럭처를 여러 개 가동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이를 위해 멀티기가와트급 AI 인프라스트럭처 프로메테우스를 2026년 가동을 목표로 건설 중인데요. 또 수년 내에 5기가와트급 AI 인프라스트럭처인 하이퍼리온을 가동 시작할 계획인데 하이퍼리온은 뉴욕 맨해튼 섬을 뒤덮을 정도 넓이가 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중국 AI 개발기업 문샷AI가 대규모 언어모델 Kimi K2를 7월 12일 출시했습니다. Kimi K2는 DeepSeek 같은 오픈 모델을 뛰어넘는 성능을 갖추고 있으며 다수 테스트에서 GPT-4.1이나 클로드 소넷 4 등 상용 모델 점수를 상회한다고 합니다. 한편 오픈AI가 2025년 7월 중 예정되어 있던 오픈모델 출시를 연기한다고 발표하자 출시 직전 Kimi K2가 등장해 오픈AI가 오픈모델 성과가 빛이 바래는 걸 우려했던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기도 했습니다.
한편 xAI는 7월 10일 새로운 AI 모델인 그록4를 공개했는데요. xAI와 머스크는 이 모델을 전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AI 모델이라며 대대적으로 홍보했으며 독립 기관이 실시한 성능 테스트에서도 최고 수준 성능이 입증됐다고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다만 편향된 의견을 내놓는다는 지적도 제기되기도 했습니다. 그록4는 이전 모델에 비해 추론 능력이 10배 향상됐다고 하는데요. 그록4 API 요금은 입력 100만 토큰당 3달러, 출력 100만 토큰당 15달러입니다. 감사합니다.
![[AI서머리] 매스어답션 시리즈 A‧데이티움, 프리시리즈A 투자 유치](https://startuprecipe.co.kr/wp-content/uploads/2025/07/250721_vircle.co_.kr_003046-75x75.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