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당국이 엔비디아 GPU에 백도어가 숨겨져 있다고 주장한 사안에 대해 엔비디아는 백도어나 킬스위치, 스파이웨어는 있을 수 없다며 이를 전면 부인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반면 트럼프 행정부는 AI 반도체를 추적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또는 물리적 수단을 검토 중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미국은 중국에 대한 반도체 수출을 강력히 규제해왔지만 지난 7월 엔비디아와 AMD는 중국 시장에 AI 칩 판매가 허가되면서 중국 내 판매를 재개했다. 하지만 중국 사이버보안 규제 당국은 미국 AI 전문가가 엔비디아 컴퓨팅 칩에는 위치 추적 기능이 있으며 원격으로 기술을 정지시킬 수 있다고 밝혔다고 주장하며 엔비디아에 문제에 대한 해명과 관련 자료 제출을 요구했다.
이에 대해 엔비디아는 자사 공식 블로그를 통해 자사 GPU 제품에는 킬스위치, 백도어, 스파이웨어 같은 기능이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앞으로도 포함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하게 주장했다.
엔비디아는 반도체에 제어 기능을 내장할 경우 이는 해커나 적대적 공격자에게 악용될 수 있는 취약점이 되며 전 세계 디지털 인프라를 위협하고 미국 기술에 대한 신뢰를 훼손하는 행위라며 이런 기능은 사이버보안 기본 원칙에 반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엔비디아가 이처럼 하드웨어 완전성에 대해 단호한 입장을 밝힌 배경에는 미국 정부 측 움직임이 있다. 보도에 따르면 백악관은 고성능 AI 칩에 대한 중국 내 불법 유통을 막기 위해 칩 자체에 위치 추적 기술을 내장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기존 수출 규제만으로는 밀수를 완전히 막기 어렵다는 현실을 반영한 것으로 한 보고서에 따르면 단 3개월 만에 10억 달러 상당 엔비디아 GPU가 중국으로 밀반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AI 행동계획 공동 설계자이자 백악관 과학기술정책국(OSTP) 국장인 마이클 크라치오스는 칩 자체에 소프트웨어적 또는 물리적 수정을 가해 더 나은 위치 추적을 가능하게 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있다고 밝혔다. 이 아이디어는 지난달 발표된 AI 행동계획에 명시적으로 포함되어 있으며 미국 측 기술적 우위를 유지하기 위한 전략 일환이다. 다만 이런 추적 기술에는 여러 과제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GPS는 데이터센터 환경에서는 현실적인 사용이 어렵기 때문에 안전한 타임스탬프 신호를 활용한 지연 기반 검증 시스템 등이 대안으로 논의되고 있다.
엔비디아는 국가와 경제를 보호하기 위해 핵심 인프라를 의도적으로 약화시키는 선택은 결코 있어서는 안 되며 이는 미국의 경제적·국가 안보 이익에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입힐 수 있는 과도한 대응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신뢰할 수 있는 시스템은 엄격한 테스트, 독립적인 검증, 사이버보안 국제 기준의 완전한 준수를 통해 취약성을 제거해 구축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관련 내용은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AI서머리] 여성벤처협회, 기술창업 아이디어 공모‧K-Display 2025, 8월 코엑스 개최](https://startuprecipe.co.kr/wp-content/uploads/2025/08/250807_kocca_00346-75x75.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