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투자 시장 어렵다. 네이버D2SF가 스타트업 해외 진출을 위한 교두보를 만들고 더 큰 자원, 자본에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
네이버D2SF가 출범 10년을 맞아 13일 라운드 테이블 행사를 개최하고 지난 10년간의 투자 성과와 성장 경험을 공유하는 한편 네이버 D2SF의 향후 계획에 대해서도 공개했다. 네이버D2SF는 2015년 기술 스타트업 투자·협력을 통해 더 큰 성장을 만들겠다는 비전 아래 네이버 기업형 벤처캐피털(CVC)로 출범했다. 기존 CVC가 자회사 형태로 재무적, 전략적 투자와 성장 단계에 투자하는 것과는 달리 D2SF는 네이버 내부 조직으로 재무보다는 전략적 투자를 진행하며 투자의 99%가 초기 단계 스타트업에 집중돼있다.
양상환 네이버D2SF 센터장은 “이런 특징은 재정 부담과 압박 없이 장기적 관점으로 스타트업에 투자할 수 있고 단기 수익보다는 스타트업과 장기적으로 호흡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라고 말했다.
네이버D2SF는 10년간 총 115개 스타트업에 투자했으며 99%가 투자 당시 시드 또는 시리즈A 단계였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들의 기업가치는 현재 5.2조 원 규모로 2021년(70팀) 대비 약 4배 규모로 성장했고 이 중 64%가 네이버와 협업 중이다.

네이버D2SF는 앞서 언급한 것처럼 일반 투자사와는 차별화된 투자 철학을 갖고 있다. 먼저 초기 투자에 집중하면서 투자 개척자로써 프론티어 역할을한다.
양 센터장은 “네이버D2SF는 시장을 만드는 회사를 찾아 첫 투자에 나서는 개척자 역할을 하고있다”며 “이는 성장 단계 스타트업을 찾는 CVC와는 다른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대표적 프론티어 투자 사례로 AI 경량화 노타AI, AI 데이터 플랫폼 크라우드웍스, AI 반도체 퓨리오사AI, 산업 AI 마키나락스, 로봇 소프트웨어 클로봇 등을 꼽았다. 특히 최근 메타의 1조 이상의 인수 제안을 거절한 퓨리오사AI는 네이버D2SF가 2016년 법인 설립 전 첫 미팅을 진행하고 첫 투자를 포함 이후 두 차례 후속 투자를 집행한 바 있다.
초기 투자 기업의 분야로 보면 전체 투자 기업의 54%가 AI 분야다. 이어 이머시브, 헬스, 로보틱스/모빌리티 등 순으로 시장을 만들어갈 것으로 기대되는 스타트업에 첫 투자를 집행했다. 초기 투자라는 높은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96% 생존율과 시드에서 프리시리즈A까지 도달하는 기간이 18개월을 기록하는 등 투자 스타트업들은 성장하고 있다.

네이버D2SF는 스타트업과 관계 형성에도 주력하고 있다. 커뮤니티 형태로 밋업을 주기적으로 개최하며 밸류업 프로그램 200억 정도 투입하고 있다. 또 투자자와 간극을 좁히기 위해서 네이버 전문가 활용, 만남, 밸류업프로그램 제공, 스타트업간 교류, 대표들 커뮤니티 형성, 네이버 시너지 내기 등을 6가지 단계를 통해 커뮤니티 방식으로 운영되는 것도 특징이다. 양 센터장은 “실제로 네이버 D2SF 밸류업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한 스타트업과 그렇지 않은 스타트업의 성장률은 약 9배 차이가 났다“고 설명했다.
일단 투자를 하고 핏을 맞추는 투자 방식도 통상 CVC와는 차별화된다. 양 센터장은 “일반적으로 기업의 니즈를 확인하고 그에맞춰 스타트업을 찾는 대신 Fire to Fit 전략으로 이들을 아웃라이어로 칭하고 투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테크타카, 무빈 등 네이버D2SF가 투자한 2개 스타트업과 진행한 Q&A 세션에서는 국내 투자 시장 현황과 스타트업이 현재 느끼는 투자 환경에 대한 질문이 오갔다. 양 센터장은 “투자 시장 어렵다”며 “국내에 B2C 유니콘은 나오고 있지만 기술 유니콘이 없고 시장이 기술 경쟁으로 바뀌고 있어 이제는 그동안 통용된 플레이북이 달라져야한다고 생각한다. 한국 시장이 학습해야하는 상황이며 언젠간 정상화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현재 투자 시장을 평가했다.
양수영 데크타카 대표 역시 “옥석이 가려지고 있는 상황으로 시장이 좋다고 생각되진 않는다. 글로벌도 사실 어렵지만 테크타카는 K뷰티 성장을 기회로 보고 북미, 일본 진출에 투자하고 있다”고 밝혔다. 테크타카는 네이버쇼핑과 협력해 주7일 네이버배송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네이버 캠퍼스 공모로 시작해 학생 창업한 무빈의 최별이 대표는 “투자 호황기를 경험해보지 않았지만 네이버 투자를 받고 많은 것이 쉬워졌다” 말했다. 최 대표는 “3D콘텐츠는 한국보다는 미국, 일본 시장이 더 크고 애초부터 북미를 타깃, 출시도 북미에 먼저했다. 모션캡처 기술은 크리에이터 플랫폼 중요해서 네이버 치치직을 비롯해 글로벌 기업 협력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양 센터장은 의 향후 계획에 대해서도 공개했다. 현재 네이버 D2SF에서 투자한 스타트업의 81%가 글로벌 진출을 본격화 중이며 네이버 D2SF 역시 지난해 10월 미국 실리콘밸리로 활동 반경을 넓히기도 했다. 양 센터장은 “우리와 함께 성장해 온 수많은 스타트업들이 10년이 지난 현재, 국내를 넘어 글로벌로 진출해 성장해야만 생존할 수 있다는 위기의식을 가지고 있다”며 “스타트업들은 더 큰 시장과 더 큰 자본을 필요로 하고 있고 글로벌 고객이나 파트너 확보 등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는 만큼 지난 10년의 경험과 성과를 토대로 스타트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더 큰 성장을 이룰 수 있는 교두보가 되고자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며 발표를 마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