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하우스, 소상공인의 날 맞아 ‘신박한 경고문 제보대회‘ 개최
온라인 디자인 인쇄 커머스 ‘비즈하우스’를 운영하는 미리디가 5일 소상공인의 날을 기념해 ‘신박한 경고문 제보대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소상공인들이 겪는 매장 관리의 어려움을 유머러스하게 공유하며 공감대를 형성하고 소통하기 위해 기획됐다. 화장실 사용, 불법주차, 잔반 처리 등 일상적인 고충을 담은 유쾌한 경고문 사진이나 문구를 이달 30일까지 비즈하우스 이벤트 페이지를 통해 제보할 수 있다. 소상공인, 아르바이트생, 소비자 누구나 참여 가능하며, 선착순 소상공인 500명에게는 비즈하우스 제작 경고문 포스터 1종이 무료 증정된다. 당선작에는 대상 100만원 등 총 300만원 규모의 시상금이 수여될 예정이다. 비즈하우스는 앞으로도 소상공인을 위한 다양한 지원 활동을 이어갈 계획이다.

한국가사돌봄플랫폼협회 출범…초대 협회장에 생활연구소 연현주 대표
국내 주요 가사돌봄 플랫폼 기업들이 참여한 한국가사돌봄플랫폼협회가 출범했으며, 초대 협회장으로 라이프케어 플랫폼 ‘청연’ 운영사 생활연구소의 연현주 대표가 선임되었다. 협회는 가사돌봄 산업의 제도화와 일·가정 양립 지원을 위한 민간 연대체로, 산업 종사자의 권익 보호와 서비스 품질 향상, 저출생·고령화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 논의의 장을 마련하고자 설립되었다. 생활연구소(청연)를 비롯해 맘편한세상(맘시터), 보살핌(보살핌) 등 주요 플랫폼이 참여하며, 향후 학계·연구기관·사회적기업으로 협력 범위를 확대할 예정이다. 주요 과제로는 가사돌봄 서비스 활성화, 표준화된 서비스 품질 관리, 플랫폼 종사자 처우 개선, 여성·시니어 일자리 창출, 정부 정책 연계 및 제안 등이 있다. 협회는 11월 14일 ‘2025 인구미래포럼 특별 토론회’를 개최하여 AI 기반 가사돌봄 서비스의 경제적 효과와 발전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세이지, 사우디 정부 사절단 초청 AI 기술 시연 및 협력 논의
산업 특화 비전 인공지능(AI) 기업 세이지(SAIGE)는 지난 10월 28일 서울 본사에서 사우디아라비아 정부 사절단을 초청해 AI 기술을 시연하고 향후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방문은 중소벤처기업부와 사우디 정부의 스타트업 교류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사우디 투자부, 국부펀드, 데이터인공지능청 등 핵심 정부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세이지는 박종우 대표와 김승현 본부장이 사절단을 맞이해 회사 시설 투어와 AI 기술 및 사업 현황을 소개했으며, 특히 사우디 측이 관심을 보인 실제 적용 가능한 AI 솔루션을 중점적으로 시연했다. 세이지 박종우 대표는 이번 방문이 양국 AI 생태계 협력의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며, 세이지의 기술력과 사우디의 투자 역량이 결합되면 글로벌 시장에서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세이지는 앞으로도 사우디를 비롯한 중동 지역과의 협력을 확대하며 글로벌 AI 시장 진출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농심과 펫 산업 스타트업 2개사 선정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는 농심과 함께 추진한 ‘2025 펫 산업 오픈그라운드 프로그램’을 통해 2개 스타트업을 최종 선정했다. 선정된 기업은 ‘벨아벨팜 주식회사’와 ‘엔엔비이(NNBE)’로, 제주 원물을 활용한 비육류 펫푸드 개발 및 펫 식품 콘텐츠 제작·마케팅 협력을 진행한다. 이들 스타트업은 1천만 원 규모의 PoC 자금 지원과 함께 성장 단계별 액셀러레이팅, 해외 판로 개척 등 다각적인 후속 지원을 받으며, 펫 산업 혁신을 이끌어갈 것으로 기대된다.

강원창조경제혁신센터, ‘강원창업주간‘ 맞아 지역 창업 열기 확산
강원창조경제혁신센터는 11월 5일 ‘강원창업주간’을 기념하여 두 개의 주요 행사를 성공적으로 개최하며 지역 창업 생태계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강원대학교 KNU스타트업 큐브에서는 헬스케어 및 로보틱스 분야 6개 기술 스타트업이 참여한 ‘강원 BRIDGE 10월 월간 데모데이’가 열려 유력 벤처캐피탈과 SK텔레콤 관계자들의 주목을 받았다. 같은 날 춘천ICT벤처센터에서는 ‘2025 강원BRIDGE DEMODAY [G-스타트업 X 푸드테크]’가 개최되어 12개 참여기업이 기술력과 사업 비전을 선보였다. 이날 행사에는 더밀크 손재권 대표의 특별 강연과 1:1 투자 상담이 진행되어 지역 스타트업의 투자 유치 기회를 확대했다. 이해정 강원혁신센터 대표이사는 이번 데모데이가 지역 스타트업의 기술력과 가능성을 전국에 알리는 뜻깊은 자리였다고 강조하며, 앞으로도 투자·육성·글로벌 진출 전 과정을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강원혁신센터는 중소벤처기업부, 강원특별자치도와 함께 다양한 창업지원 프로그램을 추진 중이다.
모티프, 7주만에 독자 LLM ‘Motif 12.7B’ 완성
AI 모델 개발 기업 모티프테크놀로지스가 독자적으로 구축한 대규모 언어 모델(LLM) ‘Motif 12.7B’를 허깅페이스에 오픈소스로 공개했다. 이 모델은 127억 개의 매개변수를 기반으로 하며, 모티프테크놀로지스가 모델 구축부터 데이터 학습까지 전 과정을 직접 수행한 순수 국산 기술의 집약체이다. 특히, 모티프테크놀로지스는 최고 수준의 GPU 활용 역량과 LLM 개발 노하우를 바탕으로 단 7주만에 Motif 12.7B를 성공적으로 선보이며 기술적 혁신을 입증했다. 벤치마크 결과 Motif 12.7B는 추론 능력 평가 과제에서 알리바바 큐원 2.5(72B)와 구글 젬마 3 동급 모델을 능가하는 성능을 보였다. 모티프테크놀로지스는 독자적으로 고안한 ‘그룹 단위 차등 어텐션’과 ‘뮤온 옵티마이저 병렬화 알고리즘’ 기술을 통해 모델 성능과 학습 효율을 혁신적으로 향상시켰다.

SAP, AI 기능·데이터 생태계 확장으로 비즈니스 AI 혁신 가속
SAP는 연례행사 SAP 테크에드 2025에서 개발자 중심의 비즈니스 AI 혁신을 가속화하는 새로운 AI 기능과 파트너십을 발표했다. SAP는 개발 프로세스 전반에 AI를 도입하고, 스노우플레이크와의 협업을 포함해 데이터 활용 및 AI 자율성 구현을 위한 혁신을 선보였다. 특히 SAP 빌드의 신규 AI 기능과 쥴 에이전트는 개발자가 비즈니스 데이터를 실제 성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2030년까지 전 세계 1,200만 명에게 AI 역량을 제공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SAP는 개발자 생태계 개방, 데이터 활용 강화, AI 자율성 구현을 통해 개발자들이 AI 시대에 주도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구글 클라우드, 2026년 사이버 보안 전망 보고서 발표
구글 클라우드의 Google Threat Intelligence Group(GTIG)이 2026년 사이버 보안 전망 보고서를 발표하며 다가오는 해의 위협 트렌드와 과제를 제시했다. 2025년 사이버 위협 동향을 기반으로 한 이 보고서는 인공지능(AI), 사이버 범죄, 국가 주도 공격 세 가지 핵심 영역을 집중 조명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6년에는 AI를 적극 활용하는 공격자가 새로운 표준으로 자리 잡을 것이며, 멀티모달 생성형 AI를 이용한 소셜 엔지니어링, 정보 작전, 멀웨어 개발 등이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랜섬웨어와 데이터 탈취 및 갈취는 여전히 전 세계적으로 가장 큰 경제적 피해를 야기하는 사이버 범죄 유형으로 지목됐다. 또한, 조직의 승인 없이 배포되는 AI 도구인 ‘섀도우 에이전트’의 위험 증가와 가상화 인프라에 대한 표적 공격 증가도 주요 위협으로 언급됐다. 국가 지원 위협 그룹의 동향도 분석됐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전쟁을 넘어 장기적 글로벌 전략 목표를 추구하며 사이버 역량을 강화할 것이고, 북한은 수익 창출을 위해 암호화폐 조직 및 사용자를 표적으로 하는 고효율 작전을 확대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은 은밀한 작전 수행과 규모 극대화에 주력하며 엣지 디바이스와 제로데이 취약점을 공격적으로 노릴 것으로 보인다. 이란은 정권 안정과 지역 영향력 유지를 목표로 사이버 스파이 활동, 교란 공격, 정보 작전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는 외교관을 표적으로 한 정치적 스파이 활동 증가와 차량 탑재형 가짜 기지국 사기가 지속될 것으로 예측된다. 한국과 일본은 주요 보안 사고 이후 공급망 사이버 보안 의무를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 핵심 분야의 사이버 방어 태세를 전면 개편하고, 일본은 2026 회계연도까지 사이버 보안 대책 평가 시스템을 도입하여 공급망 보안 상태를 시각화하고 검증할 예정이다.
마이크로칩, 우주 산업용 고신뢰성 CAN FD 트랜시버 ‘ATA6571RT’ 출시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가 우주 산업에 최적화된 고신뢰성 통신 인터페이스 솔루션인 ATA6571RT CAN FD 트랜시버를 선보였다. 이 제품은 내방사선 설계를 기반으로 최대 5Mbps의 유연한 데이터 속도를 제공하며, 위성 및 우주선 등 고성능 통신이 필수적인 다양한 우주 시스템에 활용된다. 기존 CAN 솔루션의 대역폭 한계를 극복하고, 프레임당 최대 64바이트의 페이로드를 지원하여 통신 효율성을 높였다. 또한, CRC 기반의 향상된 오류 감지 기능으로 세이프티 크리티컬 애플리케이션의 신뢰성을 강화했다. ATA6571RT는 극한 우주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보장하며, 크기, 비용, 전력 소비 면에서 최적화를 달성했다.

플랙스, AI 기반 아동 정서돌봄 실증 착수
AI 멘탈케어 스타트업 플랙스가 발달지연 아동 조기개입 실증사업 ‘아이마음 탐사대’의 SPACE ZERO 단계에 최종 선정됐다. 이 사업은 현대해상 후원으로 세브란스병원, 세이브더칠드런, 임팩트스퀘어가 공동 주관하며, 선정 조직은 2년간 3단계에 걸쳐 실증과 임상을 진행한다. 플랙스는 자사 솔루션 ‘키즈다이어리’를 통해 아동의 감정·행동 데이터를 AI로 분석하고 보호자·전문가와 연계해 중도 개입을 지원한다. 향후 SPACE ONE 진입을 위한 소규모 임상 계획서를 제출할 예정이며, 베트남 유치원 1200곳과의 계약을 통해 해외 확장도 추진 중이다. 이번 선정은 기술 기반 정서돌봄 모델의 사회적 확산 가능성을 높이는 계기로 평가된다.

![[AI서머리] 케이-아츠 온더고, 해외 진출 지원 확대‧경기도, CES 2026 참관단 모집](https://startuprecipe.co.kr/wp-content/uploads/2025/11/251105_kocca_000002-350x250.jpg)
![[AI서머리] 배민, ‘2025 배민파트너페스타’ 개최‧아자스쿨, 베트남 주요 대학과 국제 교육 협력](https://startuprecipe.co.kr/wp-content/uploads/2025/11/251105_fast-track.asia_50005235-350x250.jpg)

![[AI서머리] 토스애즈 ‘광고 측정 리포트’ 공개‧네이버, 3분기 매출액 3조 1,381억 기록](https://startuprecipe.co.kr/wp-content/uploads/2025/11/251105_rapa.or_.krr_0000132-350x250.jpg)
![[AI서머리] 케이-아츠 온더고, 해외 진출 지원 확대‧경기도, CES 2026 참관단 모집](https://startuprecipe.co.kr/wp-content/uploads/2025/11/251105_kocca_000002-75x75.jpg)
![[AI서머리] 프리미엄 자산보관 서비스 ‘볼트1932’ 투자 유치‧부산창경, 팁스 운영사 선정](https://startuprecipe.co.kr/wp-content/uploads/2025/10/251030_asan-nanum.org_0502053-350x250.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