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취·창업허브센터서 성장한 12개 스타트업은?
강남 취·창업허브센터가 입주기업 성과를 공유하는 2025년 강남 취·창업허브센터 데모데이 1회를 28일 코엑스 스타트업브랜치에서 개최했다. 강남 취창업서브센터는 초기 스타트업을 위한 맞춤형 액셀러레이팅,...
이메일로 만나보는 스타트업 가이드
투자, 행사, 정부사업 등 스타트업 생태계 소식을 이메일로 편하게 받아보세요.
새로운 스타트업을 만났을 때 가장 설렙니다. 스타트업에게 유용한 기사를 쓰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강남 취·창업허브센터가 입주기업 성과를 공유하는 2025년 강남 취·창업허브센터 데모데이 1회를 28일 코엑스 스타트업브랜치에서 개최했다. 강남 취창업서브센터는 초기 스타트업을 위한 맞춤형 액셀러레이팅,...
구글코리아가 27일 창구 프로그램 미디어 라운드 테이블을 개최했다. 창구는 중소벤처기업부와 창업진흥원이 구글플레이와 협력해국내 모바일 앱, 게임 개발사들을 발굴하고 해외 시장...
스타트업이 혁신적인 기술과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주목받는 가운데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매년 수많은 스타트업 행사가 개최되고 있다. 수도권은...
관광 스타트업이 규제나 기술 편의성 부족 등으로 글로벌 여행객을 확보하거나 해외로 진출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코리아스타트업포럼이 관광 스타트업...
“국내 투자 시장 어렵다. 네이버D2SF가 스타트업 해외 진출을 위한 교두보를 만들고 더 큰 자원, 자본에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 네이버D2SF가...
“법정기금 투자 의무화를 통해 벤처투자 50조 확대 추진할 것” 송병준 벤처기업협회회장은 4월 29일 여의도 페어몬트 앰배서더에서 열린 첫 기자간담회에서 “공적 연기금의 벤처 투자 허용을 통해 벤처...
스타트업얼라이언스가 24일 프레스데이를 개최했다. 프레스데이는 매 회차별 하나의 산업 분야를 선정해 관련된 스타트업과 스타트업 출입 기자들이 만나는 네트워킹 행사다. 이날...
“서핑에 파도가 필요하듯 스타트업 성장에도 웨이브가 필요하다. 그리고 지금 가장 큰 웨이브는 바로 AI다.” 김민주 스톰벤처스 이사는 10일 판교 창업존에서...
“고객도 인지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합니다.“ 양정호 앳홈 대표는 9일 성수동 본사에서 열린 미디어 컨퍼런스 ATHOME NEXT, 2025에서 “앳홈의 모든 의사결정의 기반은...
서울시가 4일 서울창업허브 공덕 컨퍼런스홀에서 서울 소재 혁신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2025년 서울시 창업지원 사업 통합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번 설명회는 오픈이노베이션...
투자, 행사, 정부사업 등 스타트업 생태계 소식을 이메일로 편하게 받아보세요.
Copyright 2020 © Media Recipe. All Rights Reserved.
스타트업레시피는 최초 회원 가입 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이용자로부터 아래와 같은 개인 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이용자는 본 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서에 따른 동의를 하면 ‘필요한 최소한의 정보 외에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하지 아니할 권리가 있습니다.
개인정보 취급 및 처리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사이트 하단에 공개한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참조하십시오. 다만 본 동의서 내용과 상충되는 부분은 본 동의서의 내용이 우선합니다.
1.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및 이용목적
1) 수집항목 및 목적 (필수)
□ 뉴스레터 수신: 이메일
※ 귀하께서는 필수항목 수집·이용에 대한 동의를 거부하실 수 있으나, 이는 서비스 제공에 필수적으로 수집해야 하는 정보이므로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뉴스레터 구독을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2.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회원의 개인정보는 뉴스레터 수신을 거부하면 자동으로 파기됩니다.
다만, 스타트업레시피는 관련법령의 규정에 의해 개인정보를 보유할 필요가 있는 경우, 해당 법령에서 정한 바에 의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보유할 수 있습니다.
– 계약 또는 청약철회 등에 관련 기록 : 5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 신용정보의 수집/처리 및 이용 등에 관한 기록 : 3년
– 표시/광고에 관한 기록 : 6개월
– 이용자의 인터넷 등 로그기록/ 이용자의 접속지 추적자료 : 3개월
– 그 외의 통신사실 확인 자료 : 12개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