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4월 공개된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시리즈 에테르나우타(Eternaute)에서 특정 장면 제작에 생성AI가 활용됐다고 밝혀졌다. 제작에 생성AI가 활용된 것은 넷플릭스 오리지널 작품으로는 처음이다.
넷플릭스는 7월 17일 2025년도 2분기(4~6월) 실적을 발표했다.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16% 증가한 110억 7,90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순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45.5% 증가한 31억 2,500만 달러를 달성했다.
넷플릭스의 2025년 2분기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16% 증가한 110억 7,900만 달러로 애널리스트 전망치를 웃돌았다. 영업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45% 증가한 37억 7,50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순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45.5% 증가한 31억 2,500만 달러였다.
넷플릭스에 따르면 모든 지역에서 환율 변동 영향을 제외한 실질 기준으로 두 자릿수 매출 성장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그 중에서도 미국·캐나다 지역은 가격 인상이 연간 전체에 영향을 미쳐 전년동기 대비 15% 증가하며 성장이 가속화되고 있다. 수익성 면에서는 영업이익률이 전년동기 27%에서 34%로 7포인트나 확대됐다. 이는 매출 증가와 더불어 비용 지출 시기를 조정한 효과도 포함된 것.
넷플릭스는 실적 개선을 다각적인 전략이 복합적으로 기능한 결과라고 평가하며 회원 수 증가, 구독료 가격 인상, 광고 수입 증가 등을 주요 요인으로 꼽았다. 다만 회원 수가 증가했다는 점은 명확히 했지만 구체적인 회원 수는 동년도 전 분기에 이어 공개하지 않았다.
광고 사업에 대해서는 2025년 연간 매출을 2배로 늘린다는 목표를 제시하며 기반이 되는 자체 개발 광고 기술 플랫폼 넷플릭스 광고 스위트(Netflix Ads Suite)의 모든 시장 진출을 완료했다고 보고했다.
또 시청자 참여도를 높이는 콘텐츠 전략도 실적 호조에 기여하고 있다고 넷플릭스는 분석했다. 2025년에만 세계적인 대히트를 기록한 오징어 게임 시즌 3을 필두로 인기 드라마 시리즈와 영화가 다수 배급됐다. 더구나 특정 국가나 지역에서 제작된 작품이 전 세계 시청자로부터 지지를 얻는 사례도 생겨나고 있으며 다양한 히트작이 참여도를 뒷받침하고 있다고 밝혔다. 넷플릭스는 시청자가 서비스에 소비하는 시간이 늘어나고 콘텐츠를 높게 평가하는 것이 고객 유지와 신규 확보로 이어져 최종적으로 수익화가 된다고 말했다.
더불어 제품 면에서의 혁신도 실적에 기여하고 있다고 넷플릭스는 전했다. 지난 5월에는 TV용 홈페이지 디자인을 10년 만에 전면 개편해 더 심플하고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도입했다. 사용자가 보고 싶은 작품을 더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설계해 참여도의 추가적인 향상이 기대된다고 넷플릭스는 밝혔다.
실적 발표와 함께 넷플릭스는 2025년 상반기(1~6월) 시청자 수 데이터도 공개했으며 이에 따르면 해당 기간 중 사용자가 시청한 동영상 총 재생 시간은 950억 시간이었다고 한다.

넷플릭스에서 2025년 상반기 영화를 제외한 가장 많이 재생된 작품 톱 10도 공개했다. 가장 많이 재생된 작품은 소년의 시간(adolescence. 1억 4,500만 회)이었으며 2위가 오징어 게임 2(1억 1,700만 회), 3위는 오징어 게임 3(7,200만 회)였다. 유튜브에서 인기인 동명 유아 학습 채널 넷플릭스 버전인 레이첼(Ms. Rachel)은 7위에 이름을 올렸다.

또 2025년 상반기 가장 많이 재생된 영화 톱 10에서 가장 인기를 얻은 작품은 백 인 액션(Back in Action)으로 재생 횟수는 1억 6,500만 회였다.
실적 설명회에서 넷플릭스 테드 사란도스 CEO는 에테르나우타에서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건물이 붕괴하는 장면을 생성AI로 제작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사란도스 CEO는 해당 장면은 기존 VFX 도구와 워크플로로 완성하는 것보다 10배 빠르게 완성됐다며 그 예산으로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건 도저히 불가능했을 것이라며 AI는 창작자가 영화나 드라마 시리즈를 더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더 나은 품질 작품을 만들 수 있는 훌륭한 기회를 제공한다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마침내 영상 제작에도 AI를 활용하기 시작한 넷플릭스는 지난 5월 모바일 앱용 AI를 활용한 새로운 검색 기능을 발표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뭔가 재미있고 즐거운 것 또는 댄서에 관한 이야기 같은 대화체 문구로 프로그램이나 영화를 검색할 수 있게 됐다. 관련 내용은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AI서머리] 이머티리얼랩, 팁스 선정‧솔트웨어, K-스마트팜으로 중동 사막 개척](https://startuprecipe.co.kr/wp-content/uploads/2025/07/250721_saltware.co_.kr_6003604-75x75.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