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하이퍼리온(Project Hyperion)은 세대 우주선 실현 가능성을 평가하는 디자인 컨페티션. 수 세기에 걸쳐 우주선 내에서 폐쇄 사회를 구축하게 될 세대 우주선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과연 어떤 장비가 필요한지를 건축 디자이너나 엔지니어, 사회과학자 등 복수 분야 전문가가 탐구하고 있다.
프로젝트 하이퍼리온은 항성간 우주선이나 세대 우주선에 의한 유인 항성간 비행 실현 가능성을 탐구하는 디자인 컨페티션이다. 세대 우주선이란 장기간에 걸친 항성간 비행을 위해 설계된 가상 우주선으로 여행 완료에는 몇 세기가 걸릴 가능성이 있다. 세대 우주선 구상은 첫 승무원이 선내에서 생활·번식하고 사후에는 후손이 목적지에 도달할 때까지 여행을 계속할 수 있다는 우주선이다. 농업, 거주, 복수 세대에 걸친 생존을 확보하기 위한 기타 필요한 생명유지 시스템을 갖춘 자립적인 생태계로 구상된다.
프로젝트 하이퍼리온 주최자인 항성간 연구 이니셔티브(i4is)는 이 컨페티션은 학제간 팀에 세대 우주선 그러니까 거주 가능한 행성으로의 250년간 여행을 목적으로 설계된 유인 성간 우주선 구상을 요구하는 획기적인 국제 콘테스트라고 밝혔다.
프로젝트 하이퍼리온에서는 건축 디자이너, 엔지니어, 사회과학자가 협력해 몇 세기에 걸쳐 폐쇄 사회로서 기능하는 세대 우주선에 필요한 요소를 구상하는 게 요구된다. 서로 다른 분야 간의 연계는 복잡한 요건에 부합하는 포괄적인 솔루션을 찾는 열쇠가 된다고 한다.
세대 우주선에 요구되는 요소로는 수 세기에 걸쳐 1000±500명이 거주 가능한 공간, 회전에 의한 인공중력, 주거, 의복, 기타 기본적인 필요 등의 필수적 구비를 포함한 양호한 생활조건을 보장하는 사회, 식료, 물, 폐기물, 대기를 위한 견고한 생명유지 시스템, 문화와 기술을 유지하기 위한 지식전달 메커니즘을 들 수 있다.

컨페티션에서 상위 3위를 획득한 작품을 보면 먼저 Chrysalis. Chrysalis는 시스템 레벨 일관성과 모듈식 거주 구조라는 혁신 설계에 더해 우주에서의 제조나 남극에서의 미션 전 승무원 준비의 가치 등 전체적인 세밀한 디테일로 심사위원을 놀라게 했다. 모듈식 셸 설계는 유연성과 접속성을 촉진하며 기능성과 확장성 모두를 지원한다. 거대한 돔 구조는 SF 고전을 연상시키는 드라마틱하고 영화적인 질감을 더하며 건축 뿐 아니라 선체 건조 방법도 망라한 시스템 레벨의 전체 계획은 강력하다. 방사선 방호 전략은 견실하며 실용적인 구조 접근도 적절하다. 심사위원은 문화 시스템은 더 발전시킬 여지가 있지만 이 콘셉트는 매력적인 출발점을 제공한다. 프레젠테이션은 풍부하고 시각적으로 매력적이며 우주의 랑데뷰 같은 상징적인 작품과 비교되어 디자인과 스토리텔링 양쪽에 대한 명확한 열정을 보여주고 있다며 우주선 전체 디자인은 1980년대 거대 우주선 콘셉트에서 영감을 얻은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다음 작품인 WFP Extreme은 종합적인 우수성이 높이 평가된 작품이다. 의복이나 정신적인 공간이라는 개념을 포함한 문화적·사회적 측면에 힘을 쏟고 있으며 심사위원은 문화적·사회적 배려에서 탁월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이 분야에서 가장 사려깊고 연마된 아이디어라고 평했다. 건축 디자인에는 방사선 방호 등 첨단기술이 도입되어 있으며 택시 캡슐이나 승무원 전용 의복 등 독창적인 연구가 응축되어 있다. 심사위원은 인공중력에서의 시스템 레벨 일관성과 인테리어 디자인에는 더 발전할 여지가 있지만 구조적인 어프로치는 궤도상에서의 사용에 적합하다고 밝혔다.

다음은 Systema Stellare Proximum. Systema Stellare Proximum은 장기간에 걸친 우주 거주에서의 사회적·기술적·문화적 측면을 사려깊게 엮어 넣은 상상력이 풍부한 이야기를 제시하는 콘셉트다. 심사위원은 이 콘셉트가 기술적·사회적·문화적인 측면을 매끄럽게 결합하는 몰입형 스토리텔링에 의해 돋보이고 있다고 평했다. 스토리텔링은 매력적이며 커뮤니티 다이내믹스에서 정신성까지 탐구하는 독창적인 시나리오가 되어 있으며 회복력이 높은 세대간 사회 구축에서 공유 가치관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심사위원은 얇은 껍질을 가진 소행성의 물리적인 실현 가능성에는 더 개선의 여지가 있지만 이 콘셉트는 우주 방사선 과제에 대한 확실한 이해를 보여주고 있으며 시스템 레벨 계획은 면밀하게 연마되어 있으며 프레젠테이션은 상세하고 시각적으로 다이내믹하며 예술적인 일러스트에 의해 더 돋보이고 있다고 밝히며 심우주 생활에의 포괄적인 비전과 시적인 접근이 강한 인상을 남긴다고 평했다. 관련 내용은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AI서머리] 무협-관세청, 한미 관세협상 수출기업 설명회‧라플라스×ETRI 투자 포럼 9월 개최](https://startuprecipe.co.kr/wp-content/uploads/2025/08/250818_sba.seoul_.kr_060457-75x75.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