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넷플릭스가 자사 플랫폼에서 배급되는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자를 대상으로 생성AI 사용 시 준수해야 할 지침을 공개했다. 넷플릭스는 영상 제작진의 생성AI 사용을 환영하지만 민감한 분야이기 때문에 지켜야 할 지침이 있다고 밝혔다.
넷플릭스는 지난 2024년 공개된 제니 포플웰 감독의 범죄 다큐멘터리 제니퍼는 무슨 짓을 했는가(What Jennifer Did)에서 실제 사진 대신 AI로 생성한 이미지를 사용해 비판을 받았다. 문제가 된 사진에서는 피사체 여성 손이 엉망으로 표현되어 AI로 생성된 이미지라는 걸 알 수 있다. 범죄 다큐멘터리에서 인물 묘사에 사용된 사진이 AI로 생성된 것이어서 오락을 위해 허구를 꾸며내려고 이미지를 생성했다는 등 비판을 받았다.
생성AI 사용으로 비판을 받은 넷플릭스는 유사한 문제를 피하기 위해 파트너 헬프센터에 생성AI 사용에 관한 지침을 담은 페이지를 추가했다.
해당 페이지에서 넷플릭스는 생성AI에 대해 사용자가 새로운 독창적인 미디어를 빠르게 생성하는 걸 용이하게 하는 소중한 크리에이티브 툴이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생성AI가 맹렬한 속도로 진화하고 있어 넷플릭스는 파트너가 이런 도구를 사용할 때 존중해야 할 규칙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고 기술했다.
넷플릭스는 글로벌 제작을 지원하고 모범 사례를 준수하기 위해 모든 제작 파트너에게는 생성AI 사용 목적을 넷플릭스 담당자와 공유해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다양한 기능과 위험을 수반하는 새로운 도구가 잇따라 등장하고 있어 중요성이 더 커지고 있다며 가이드라인을 따르는 저위험 사용 사례 대부분은 법적 심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면서도 다만 최종 결과물, 탤런트 초상, 개인데이터 또는 제3자의 지적재산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작업을 진행하기 전에 서면 승인이 필요하다고 밝혀 생성AI로 생성한 콘텐츠에 관한 설명을 제작자에게 요구하는 방침을 명기했다.
넷플릭스는 생성AI 모범 사례에 대해 생성 워크플로를 채택할 때 책임감 있는 행동을 취하기 위해 불가결하다고 여기는 5가지 구체적 사례를 제시했다.
첫 번째는 출력은 소유하지 않았거나 저작권으로 보호된 소재에 대한 식별 가능한 특징을 복제하거나 실질적으로 재현하는 것이 아니며, 저작권으로 보호된 작품을 침해하는 것도 아니다. 2번째로 사용되는 생성 도구는 생성 데이터 입력 또는 출력을 저장, 재사용 또는 훈련하지 않는다. 3번째는 가능한 경우 입력을 보호하기 위해 기업에서 보호된 환경에서 생성 도구가 사용된다. 4번째 생성된 소재는 일시적인 것으로 최종 결과물 일부가 아니다. 마지막으로 생성AI는 동의 없이 새로운 탤런트 퍼포먼스나 조합의 대상이 되는 작업을 대체하거나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넷플릭스는 파트너 기업이 이러한 가이드라인을 준수하고 있다고 확신하는 경우 생성AI 사용 의사를 지정된 기업 담당자에게 전달하기만 하면 된다고 기술했다. 다만 파트너 기업이 가이드라인을 준수하지 않거나 준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서면 승인이 필요할 수 있어 절차를 진행하기 전에 넷플릭스 담당자에게 상세한 가이던스를 받아야 한다고 밝혔다.
넷플릭스는 파트너 기업이 다양한 형태로 생성AI를 활용하는 것에 전향적인 입장을 보이는 한편 사전에 경영진이나 법무팀에 계획을 보고하지 않아 발생할 수 있는 법적 위험을 염두에 두어달라고 반복해서 강조했다. 또 시청자는 화면상에서 보고 들은 것을 신뢰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더불어 생성AI가 픽션과 현실의 경계를 흐리거나 시청자를 의도치 않게 오해하게 만들 가능성을 고려해 파트너 기업에게 신중한 대응을 요구했다.
파트너 헬프센터 게시물에서는 제작비에 대해 언급되지 않았지만 넷플릭스 공동 CEO인 테드 사란도스는 이전에 AI는 크리에이터가 영화나 시리즈를 비용 절감 뿐 아니라 더 나은 작품을 제작하는 데 훌륭한 기회가 될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발언한 바 있다. 사란도스는 아르헨티나 발 SF 시리즈 에테르나우타를 AI를 활용해 예산 내에서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좋은 사례로 제시했기 때문에 넷플릭스가 다른 크리에이티브팀에게도 유사한 워크플로를 채택하도록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관련 내용은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