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이메일로 만나보는 스타트업 가이드

투자, 행사, 정부사업 등 스타트업 생태계 소식을 이메일로 편하게 받아보세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이 여성에서 혈관 노화를 5년 앞당길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혈관은 나이가 들면서 점진적으로 경화되지만 코로나19가 이 과정을 가속화시킬 가능성이 시사되고 있다.

프랑스 파리시립대학 연구팀은 2020년 9월부터 2022년 2월까지 모집된 16개국 피험자 2,390명을 대상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이력 유무와 심혈관계 건강 상태 간 연관성을 조사했다.

피험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된 적이 없는 사람, 최근 감염됐지만 입원하지 않은 사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 일반 병동 입원 이력이 있는 사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 중환자실 입원 이력이 있는 사람으로 분류됐다.

연구진은 경동맥(목)과 대퇴동맥(다리) 간 혈압파 전파속도를 측정하는 장치를 사용해 각 피험자 혈관 나이를 측정했다. 이 측정값은 경동맥-대퇴동맥 맥파전파속도(PWV)라고 불리며 수치가 높을수록 혈관 경직도가 증가하고 혈관 나이가 높다는 걸 의미한다.

연구진은 환자 성별, 나이, 기타 심혈관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 등 인구통계학적 정보도 기록하고 연관성을 면밀히 조사했다.

이런 요인을 고려한 결과 경증 코로나19 환자를 포함한 모든 감염자 그룹이 감염되지 않은 환자와 비교해 동맥 경직도가 증가한 걸 발견했다. 이 영향은 남성보다 여성에서 더 크게 나타났고 감염 후 숨가쁨이나 피로감 등이 지속되는 롱코비드 증상을 경험한 이들에게서 더 뚜렷했다.

경증이면서 여성인 환자 PWV 평균 증가량은 0.55m/초였고 입원한 여성은 0.60m/초, 중환자 치료를 받은 여성은 1.09m/초였다. 연구진은 0.5m/초 증가는 5세 노화에 해당하며 60세 여성의 경우 심혈관 질환 위험이 3% 상승한다고 설명했다.

백신 접종 이력이 있는 사람은 미접종자와 비교해 동맥 경직도가 일반적으로 낮았고 장기적으로는 감염에 따른 혈관 노화가 안정되거나 조금 개선되는 경향이 관찰됐다.

연구팀은 코로나19 혈관에 대한 영향에는 몇 가지 설명이 가능하다. 코로나19는 혈관내피에 존재하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2라는 특정 수용체에 작용하고 이 수용체를 이용해 세포 내에 침입해 감염을 일으키는데 이로 인해 혈관 기능 장애나 혈관 노화 가속화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또 감염 방어를 담당하는 체내 염증 반응이나 면역 반응도 관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남녀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 중 하나는 면역 시스템 차이에 있을 가능성이 있다. 여성은 남성보다 빠르고 강력한 면역 반응을 보이며 감염으로부터 몸을 보호하려 하지만 이 반응으로 초기 감염 후 혈관 손상이 증대되기도 한다.

연구팀은 앞으로 수년에 걸쳐 피험자를 추적 조사해 이번에 확인된 혈관 노화 가속화가 향후 심장마비·뇌졸중 위험 증가로 이어지는지 밝혀나갈 예정이다. 연구팀은 코로나19는 조기 혈관 노화라고 부르는 상태를 야기한다고 생각된다. 이는 혈관이 실제 나이보다 노화되어 심장병에 걸리기 쉬워지는 상태다. 혈관 노화는 측정이 용이하며 생활습관 개선, 혈압강하제나 콜레스테롤 저하제 등 널리 이용 가능한 치료법으로 대처할 수 있다. 혈관 노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이들에게는 심장마비나 뇌졸중 위험을 가능한 한 낮추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관련 내용은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뉴스 레터 구독하기

Related Posts

No Content Available
Next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