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roll to top
© 2020, Startuprecipe theme by Rssow
Share

[경기도: 연천군, 포천시, 동두천시] 2025년 시군구연고산업육성사업 [사업화 지원] 공고

경기-시군구연고산업-01

[경기도: 연천군, 포천시, 동두천시] 2025년 시군구연고산업육성사업 [사업화 지원] 공고

지속가능한 친환경·High-Tech 섬유 소재로의 전환 및 기술 고도화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촉진을 위해 2025년도 중소벤처기업부와 경기도, 연천군, 포천시, 동두천시가 지원하는 시군구 연고산업 육성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연천군, 포천시, 동두천시 지역 중소기업의 많은 신청 바랍니다.

2025년 04월 28일
중소벤처기업부장관, 경기도지사, 연천군수, 포천시장, 동두천시장,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 경기대진테크노파크원장, 한국섬유소재연구원장, 경기섬유산업연합회장

신청방법 및 대상

  • 신청기간

    2025.04.28(월) 15:00 ~ 2025.05.26(월) 18:00 까지

  • 신청방법

    온라인 접수 : 접수 바로가기

    <!– 접수 바로가기 –>

  • 신청대상

    인구감소(관심)지역으로 지정된 연천군, 포천시, 동두천시에 소재하는 섬유·패션·관련 임가공 기업

  • 제외대상

    – 신청하는 과제가 기선정 과제 또는 유사한 과제로써 국가·지자체 등에 선정되어 수혜 받은 경우 심사에서 제외
    – 전년도(2024) 신청기업의 단순 포기 등으로 인한 사업 중단 기업
    – [붙임 제3호] 신청자격 적정성 확인서 참조

  • 신청 시 요청하는 정보(개인정보포함)는 사업운영기관에서 관리되오니 이점 반드시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제출서류

  • 사업 신청서 및 사업계획서 (필수)

    신청서식 참조

  • 개인정보 이용 동의서 (필수)

    신청서식 참조

  • 신청자격 적정성 확인서 (필수)

    신청서식 참조

  • 중복지원 금지사항 확약서 (필수)

    신청서식 참조

  • 성실의무 이행 서약서 (필수)

    신청서식 참조

  • 사업자등록증명원 (필수)

    ※ 사업자등록증은 불인정
    ※ 국세청 온라인 홈페이지(https://www.hometax.go.kr)에서 공고일(2025.4.28.) 이후 발급분 제출

  • 최근 2개년 재무제표 (필수)

    ※ 표준재무제표 증명(국세청 발급분) 또는 제무제표 확인 (회계사세무서 확인본) 원본 제출

  • 4대보험 사업장 가입자명부 (필수)

    ※ 공고일(2025.4.28.) 이후 발급분 제출

  • 납세증명서(국세, 지방세) (필수)

    ※ 공고일(2025.4.28.) 이후 발급분 제출

  • 최근 3년간 과세표준증명원 (해당 시)

    ※ 공고일(2025.4.28.) 이후 발급분 제출

  • 제출하신 서류는 사업운영기관에서 관리되오니 서류 반환 등 문의는 해당 기관으로 하시기 바랍니다.

선정절차 및 평가방법

  • 사전검토 및 현장실태조사

    – 내부 검토 (중복지원, 사업참여 제한 등 형식요건 심사)
    – 신청자격, 제출 서류, 과업달성 가능 여부 등 미 충족 시 탈락

  • 선정평가

    – 1차 서류심사(지원 계획서 평가)
    – 2차 필요 시 대면평가 진행(발표심사)
    – 평가점수 70점 이상인 기업 중 평점 높은 순서대로 선정함.

  • 선정결과 확정

    – 선정평가 결과 서류 검토
    – 관리/전문기관 최종 승인 후, 선정 결과 통보 및 협약 체결

지원내용

  • 지원 프로그램

    – 지원규모 : 총 7개사, 기업별 최대 20,000천원 지원
    – 지원내용 : 시제품 제작 지원, 인증 및 특허 지원(국내/외), 전시회(국내/외), 마케팅(국내), 시장조사(국내/외)
    ※ 프로그램별 최대 10,000천원 및 최대 3개 프로그램 지원
    ※ 지원금의 10% 이상 기업 부담금으로 발생함. 단, 전년도 매출액이 10억 이하인 경우는 지원금의 5% 이상 적용함.

문의처

  • (재)경기대진테크노파크

    특화사업본부 지역산업팀 031-539-5056 (또는 mnr@gdtp.or.kr)
    ※ 통화량이 많아 전화 연결이 어려울 수 있으니 가급적 e-mail로 문의바랍니다.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 참조 및 문의처로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