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스트, 메타버스 포털 서비스 ‘맥스버스’ 출시
메타버스 플랫폼 전문 기업 맥스트(코스닥 377030)가 메타버스 포털 서비스 ‘맥스버스’ 애플리케이션을 정식 출시했다. 맥스버스는 XR 기술과 AI를 결합한 메타버스 개발 플랫폼으로, 서울, 부산 등 26개 지역의 관광지와 문화 공간을 XR 메타버스 공간지도로 제작했다. 이번 통합 앱은 일반 대중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으며, 다양한 메타버스 서비스와 연동이 가능하다. 통합인증 서비스 ‘패스포트’를 통해 하나의 계정으로 여러 메타버스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아바타 설정 기능도 제공된다. 맥스트는 메타버스 산업의 지속가능성을 키워 나가는 포털 서비스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RWS 코리아, 번역 및 AI 데이터 서비스 웨비나 개최
RWS 코리아는 9월 10일 ‘번역 및 AI 데이터 서비스를 활용한 현지화 전략 가이드’ 웨비나를 개최한다. 이번 웨비나는 RWS의 차별화된 번역 서비스와 AI 데이터 수집 및 콘텐츠 제작 서비스를 소개하며, 160개국의 전문 인하우스 링귀스트와 프리랜서 번역가로 구성된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한 다양한 번역 요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RWS의 번역 서비스는 기계 번역, 포스트에디팅, 전문 번역 등 다양한 옵션을 제공하며, AI 데이터 서비스 솔루션 ‘Train AI’도 함께 소개된다. 웨비나는 RWS 홈페이지에서 사전 신청할 수 있으며, 참석이 어려운 경우 다시 보기 링크가 제공된다.

텐센트 클라우드, 한국 디지털 전환 위한 AI 비전 제시
텐센트 클라우드는 27일 최신 클라우드 및 AI 혁신 솔루션을 선보이는 ‘텐센트 클라우드 데이’ 행사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텐센트 클라우드의 플래그십 이벤트로, 130여 명의 고객사 임직원과 산업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텐센트 클라우드는 AI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이를 통한 비즈니스 및 산업 변혁의 가능성을 강조했다. 특히, AI 기반 클라우드 서비스와 솔루션을 통해 국내 제조업의 생산 공정 최적화와 비용 절감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텐센트 클라우드는 앞으로도 한국 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쇼피코리아, 태국 마켓 성장세 주목
동남아와 대만 최대의 이커머스 플랫폼 쇼피코리아가 올해 1~7월까지 쇼피 태국에서 한국 셀러들의 주문 건수가 전년 동기 대비 약 191% 상승했다고 밝혔다. 태국은 동남아시아에서 두 번째로 큰 이커머스 시장으로, 높은 소득 수준과 한국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맞물려 K셀러의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특히 뷰티와 패션 카테고리에서 높은 주문 건수를 기록했으며, 쇼피코리아는 현지 풀필먼트 서비스를 통해 빠른 배송을 지원하고 있다. 쇼피코리아는 내년까지 태국 시장에서 매출 성장률 300%를 목표로 하고 있다.

딜, SAP와 연동 개시
글로벌 HR 서비스 딜(Deel)이 SAP와의 서비스 연동을 발표했다. 이번 연동으로 SAP의 HR 데이터와 딜의 급여 데이터를 통합해 기업이 급여 및 인사 관련 의사결정을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내릴 수 있게 된다. SAP의 클라우드 기반 인사 정보시스템과 딜의 글로벌 급여 지급 서비스 간의 데이터 동기화로 업무 효율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동은 SAP 스토어에서 제공되며, 기업은 고유 API 등록과 인증을 통해 연동을 활성화할 수 있다.

테슬라, ‘W랭킹’ 자동차 부문 1위
아시아브랜드연구소는 ‘W랭킹’ 자동차 부문에서 테슬라가 1위를 차지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랭킹은 2024년 7월 한 달간의 온라인 빅데이터 1억 9천만 건을 분석해 산출됐다. 기아가 2위, 현대자동차가 3위를 차지했으며, 벤츠, BMW, 제네시스 등이 상위권에 올랐다. 아시아브랜드연구소는 전기차와 자율주행차의 성장으로 자동차 시장이 계속 확장될 것으로 전망했다. 테슬라는 2023년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차량인 모델Y로 높은 판매량을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다.

콘진원, Z세대 콘텐츠 이용 트렌드 보고서 발간
한국콘텐츠진흥원(콘진원)은 Z세대의 콘텐츠 이용 실태를 조사한 <Gen Z 콘텐츠 이용 트렌드> 연구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번 보고서는 중앙그룹과 협업하여 전국 15~69세 약 1,500명을 대상으로 선호 콘텐츠 주제, 장르, 소통 방법, 이용 시간, AI 콘텐츠 인식 등을 조사했다. Z세대는 개연성보다 재미를 중시하며, 초 단위로 콘텐츠를 소비하고 타인의 리뷰와 반응을 중요하게 여긴다. 또한, AI 콘텐츠에 대해 높은 기대치를 가지고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콘진원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코스포, 중기부 2025년 예산안 환영
코리아스타트업포럼(코스포)은 중소벤처기업부가 발표한 2025년 예산안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이번 예산안은 스타트업 및 벤처기업의 혁신 성장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하며, 예산 증액을 통해 지역 활성화와 글로벌화를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중기부는 2025년 예산을 전년 대비 3,423억 원 증액한 15조 2,920억 원으로 편성했으며, 창업벤처 지원 예산이 약 2,000억 원 증가했다. 코스포는 이번 예산안이 스타트업 생태계의 스케일업과 글로벌 진출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다우기술 뿌리오, 소상공인 대상 문자 제공 이벤트
다우기술의 메시징 브랜드 뿌리오는 9월 명절을 맞아 소상공인을 위한 특별한 문자 제공 이벤트를 진행한다. 이번 이벤트는 소상공인들이 효과적인 마케팅을 손쉽게 시작할 수 있도록 최대 2000건의 문자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신규 가입 소상공인에게는 1000건의 문자가 제공되며, 스마트문자(RCS)를 이용할 경우 추가로 1000건이 제공된다. 스마트문자는 이미지, 동영상, 버튼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전달해 고객과의 소통을 강화하는 서비스다. 이벤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뿌리오 공식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