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도시 미래를 볼 수 있는 Smart Life Week 2025(SLW 2025)가 30일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막했다. 올해 2회째인 이번 행사에는 80개국 121개 도시와 330개 기업· 기관이 참여했으며 지난해보다 전시 규모는 두 배 가까이 확대돼 스마트 시티부터 AI․로봇․기후테크까지 최첨단 미래 기술을 10월2일까지 사흘간 선보인다.

30일 열린 개막식에는 “문명은 한 줄기 빛에서 시작되었습니다”라는 내레이션과 함께 디지털 휴먼 AI 오세훈 시장이 등장해 눈길을 끌었다. AI 오세훈 시장은 80초간 불·문자·네트워크 등 인류사의 전환점을 보여주며 기술은 목적이 아니라 사람을 향해야한다는 서울형 AI 철학을 강조했다.
기조연설은 포브스 30세 이하 아시아 리더 30인에 선정된 뤼튼테크놀로지스 이세영 대표가 맡았다. AI는 거대 담론이 아니라 실제 시민 삶에 가까워야 한다는 SLW 철학을 보여주기 위해 젊은 혁신가를 기조 연설자로 선정했다. 이 대표는 서울시 7대 AI 산업 육성 전략을 언급하며 “서울이 만들어갈 AI 중심 도시의 비전에 깊이 공감하며 적극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개막식 후에는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디지털 포용과 AI 정책을 주제로 메이어스 포럼이 열렸다. IBM 페트라 플로리존느 퀀텀 총괄임원의 기조연설을 시작으로 모로코 라바트, 미국 뉴욕,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시 대표들이 스마트도시의 비전과 경험을 공유했다. 포럼은 세계 디지털 격차 해소를 다짐하는 디지털 포용 서약식으로 마무리됐다.
SLW 2025의 중심 전시는 AI 쇼룸이다. 아침에 눈을 뜨는 순간부터 밤에 잠들기까지 하루 일상의 흐름을 따라가며 인공지능이 생활 전반을 어떻게 바꾸는지 보여준다. 스마트홈 학습 서비스, AI 은행원, 방송 취재용 AI 로봇, 무인 자율차 등 다양한 기술을 직접 체험할 수 있다.

올해 SLW에는 330개 기업과 기관이 참여해 전년보다 두 배 가까이 늘어나며 한층 풍성한 전시 규모를 자랑했다. 글로벌 기업은 로보틱스․초거대 AI 솔루션을 선보였고 국내 ICT 기업과 스타트업은 교통․환경․복지․기후테크 분야 생활밀착형 기술을 전시했다.
또 CES 혁신상을 받은 웨어러블 재활로봇, AR 독서 플랫폼, 스마트 생체 인증 솔루션, AI 기반 스마트 체온계, IoT 신용카드 등은 시민의 일상에 곧 적용될 수 있는 기술로 주목을 받았다. 해외도시와의 협력을 위한 비즈니스 프로그램 PYC(Present forYour City)도 눈길을 끌었다. 올해는 31개 도시(27개국)와 국내기업 32개사가 참여해 맞춤형 솔루션을 발표, 지난해(10개 도시, 10개기업)보다 세 배 이상 확대됐다.

올해 처음 신설된 로봇 전시·체험관에는 시민들이 AI 로봇의 진화를 직접 보고 즐길 수 있다. 국제 로봇 스포츠 경기 휴머노이드로봇 스포츠대회(FIRA Invitational Cup)에서는 양궁, 스프린트, 역도, 비석치기 등 속도와 정확성을 겨루는 실제 스포츠 종목을 로봇이 수행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또 시민 친화형 프로그램이 마련돼 도슨트 투어는 국문·영문으로 하루 13회 운영되며, 전문 해설사의 알기 쉬운 설명과 함께 전시를 돌아볼 수 있다. 현장에서는 QR코드를 통한 오디오 도슨트 서비스도 제공돼 자유로운 관람이 가능하다.
SLW 2025 전시장은 매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개방되며 마지막 날인 2일에는 오후 4시 종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