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카이브(arXiv)는 물리학·수학·컴퓨터 사이언스·통계학 등 분야에서 세계 최대 프리프린트 그러니까 심사 전 논문 서버로 논문 업로드와 다운로드가 무료이기 때문에 전 세계 과학자가 활용하고 있다. 이런 아카이브에 발표된 논문을 AI를 사용해 더 자세히 탐색하고 이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asXiv다.
asXiv가 어떤 도구인지는 페이지 내 항목(Example:/pdf/1706.03762(Attention Is All You Need)을 클릭하면 알 수 있다. 클릭하면 논문(Attention Is All You Need)이 열리고 우측에 AI어시스턴트(AI Assistant)라는 탭이 표시된다. 논문은 대규모 언어모델 분야 돌파구가 된 트랜스포머(Transformer)라는 딥러닝 모델에 관한 것이다.
asXiv에서 논문을 열면 우측 AI어시스턴트 탭에 간단한 논문 개요가 표시된다. 또 아래에는 추천 질문(Suggested questions) 항목이 있어 AI어시스턴트에게 던지면 학습이 깊어질 것으로 생각되는 질문 예시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아래 입력 폼에 질문을 작성하고 전송(Send)을 클릭해 질문할 수도 있다.
이처럼 asXiv에서는 특정 논문에 대한 질문이나 궁금한 점을 AI에게 던져 이해를 깊게 할 수 있다. 참고로 asXiv에서 사용 가능한 AI 모델은 gemini-2.5-flash-lite, gemini-2.5-flash, gemini-2.5-pro 중 하나다.
asXiv 도입 방법에 대해서는 깃허브 페이지에서 해설하고 있다. 관련 내용은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AI서머리] 제주창경, 팝업스토어 ‘온:동네’ 성료‧신보, 안전경영 우수기업 지원 협력체계 구축](https://startuprecipe.co.kr/wp-content/uploads/2025/10/251001_SBVA_50050325-75x75.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