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메일로 만나보는 스타트업을 위한 레시피

기업명 | 분야 | 투자금 | 단계 | 투자사 |
---|---|---|---|---|
클라우다이크 | 클라우드 파일 공유 | 37억원 | 네이버클라우드, NVC, 중소기업진흥공단 | |
에이플라 | 고품질 3D 모션 데이터 생성 솔루션 | 비공개 | 시드 | 서울대기술지주 |
브라이튼코퍼레이션 | 초소형 광학 엔진 | 비공개 | 씨엔티테크-디비드림빅 투자조합 | |
부릉 | 배달대행 플랫폼 | 300억원 | 신한투자증권 | |
액티브온 | 화장품 소재 | 100억원 | IBK기업은행, 한국투자파트너스, IBK캐피탈, 키움캐피탈, CL파트너스 | |
퀀텀에어로 | 방산 AI | 37억원 | 시드 | ST캐피탈, 오픈워터엔젤스 |
아티스트그룹 | 매니지먼트 | 180억원 | MBN | |
링크솔루텍 | 의료코팅 기술 | 비공개 | 프리시리즈A | 포스텍 홀딩스 |
플렉셀스페이스 | 우주항공 태양전지 | 50억원 | 엘케이켐, 인터베스트, L&S벤처캐피탈, 쿼드벤처스 | |
엔비티 | 모바일 포인트 플랫폼 | 비공개 | 인수합병 | 모멘토 |
메디쿼터스 | 패션뷰티 브랜드 플랫폼 | 100억원 | 시리즈D | KB증권 |
무브 | 모빌리티 시스템 | 50억원 | KB증권, 화푸그룹 | |
무빈 | AI 기반 실시간 모션캡처 | 비공개 | 프리시리즈A |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 네이버 D2SF, 크루캐피탈 |
에이치메딕기어 | 복강경 수술 보조 로봇 | 비공개 | 더인벤션랩 | |
더케이컴퍼니 | 화장품 임상 디지털 전환 솔루션 | 비공개 | 더인벤션랩 | |
어반데이터랩 | 암 진단 보조 솔루션 | 비공개 | 더인벤션랩 | |
더마레 | 해조류 기반 고순도 비건 PDRN | 비공개 | 더인벤션랩 | |
카본앤네이처 | 굴패각 자원화 | 비공개 | 더인벤션랩 | |
옥토브 | 무인 자동 전기차 충전 인프라 시스템 | 비공개 | 씨엔티테크 |
#스타트업 투자 유치
- 배달대행 플랫폼 부릉이 300억원 규모 투자를 유치. 2023년 hy에 인수됐으며 투자 유치를 통해 라이더, 크라우드소싱 플랫폼 부릉프렌즈, 제휴 네트워크 등 인프라 확충, R&D 투자를 확대해 기술 역량 강화.
- 화장품 소재 기업 엑티브온이 100억원 투자를 유치. 화장품 소재와 산업용 기능성 소재를 개발하며 피부에 안전한 방부대체제와 유효성분 안정화 캡슐 소재 개발. 투자 유치 통해 소재 연구 개발, 신시장 개척, 2026년 상장 계획.
- 종합 엔터테인먼트 기업 아티스트그룹이 180억원 투자를 유치. 투자사인 MBN과의 협력을 통해 콘텐츠 제작부터 유통, 방송까지 아우르는 시스템 구축 예정. 투자를 통해 글로벌 K-콘텐츠 시장 공략 본격화 계획.
- 패션·뷰티 브랜드 및 플랫폼 메디쿼터스가 100억원 투자를 유치. 기업가치는 3,000억원 인정. 일본에 패션 커머스 플랫폼 ‘누구’를 운영하며 마하그리드·더바넷·나이스고스트클럽 등 브랜드 보유. 이번 투자금은 기업 인수 등에 활용 계획.
- 25년 3월 3주차 위클리 스타트업 리포트 무료 다운로드하기
#트렌드
올해 컨슈머테크 투자 방향은?
지난해 국내 벤처 투자 시장은 전반적으로 어려웠습니다. 그 중에서도 컨슈머테크는 투자 환경이 가장 암울했던 분야 중 하나였는데요. 수년간 투자자 선호도 상위권을 지켜왔던 컨슈머테크는 투자 우선순위에서 밀려났고 B2C 플랫폼의 기업 가치 회복 역시 쉽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올해 들어 컨슈머테크 투자 시장은 점진적인 회복세를 보이며 긍정적인 신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1분기 마감을 앞둔 시점에서 컨슈머테크 기업이 유치한 투자 금액은 1,316억원인데요. 전년 동기 대비 소폭 줄었지만 100억원 이상 투자를 받은 기업 수가 작년 2곳에서 올해 6곳으로 증가한 점은 주목할 만합니다. 게다가 투자 분야 다양성이 확대되고 여러 성장 단계에 걸쳐 투자가 이뤄지고 있다는 점 역시 긍정적인 흐름으로 볼 수 있죠.
푸드/뷰티/패션 여전히 강세=컨슈머테크 투자 분야 중에서도 푸드테크와 뷰티/패션 플랫폼은 여전히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푸드 분야는 가장 많은 투자 자금을 유치했고 뷰티/패션 분야는 투자 건수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이는 소비자 라이프스타일 변화와 맞물려 해당 시장 성장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는 투자자 관점이 반영된 결과인데요. 예를 들면 1인 가구 증가 추세에 따라 1인 가구 맞춤형 푸드 배달 앱 두잇이 306억원 투자를 유치한 건 이런 흐름을 잘 보여줍니다.
글로벌 전문브랜드 주목=최근 컨슈머테크 시장에서는 특정 요구를 충족하는 전문 브랜드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명품, 화장품, 향수, 탈모, 민감성 피부 등 자신을 가꾸는 소비 트렌드가 확산되면서 특정 문제 해결에 특화된 제품이나 독특한 콘셉트를 가진 브랜드가 투자 유치에 성공하는 사례가 늘고 있는 것인데요. 프리미엄 에스테틱 브랜드 베스트이노베이션, 명품 온라인 플랫폼 발란 등도 전문성과 더불어 글로벌 성장 가능성을 인정받으며 투자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또 앳홈, 이스턴에디션 등 라이프스타일과 K-리빙 분야에서도 투자가 이뤄지는 새로운 흐름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는 뷰티 뿐 아니라 한국적 감성을 담은 다양한 제품과 브랜드가 글로벌 시장으로 확장될 수 있다는 잠재력이 높게 평가받고 있다는 걸 보여줍니다. 과거에는 특정 대형 플랫폼 위주로 투자가 집중됐지만 최근에는 세분화된 소비자 요구를 충족시키고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하는 브랜드가 주목받고 있는 것이죠.
특정층 노린 플랫폼 성장=특정 연령이나 관심사를 가진 사용자를 겨냥하는 플랫폼에 대한 투자 유치 성공 사례도 눈에 띕니다. 3040 남성 패션 커머스 플랫폼인 바인드, 외국인 대상 서비스 케이워크파트너스, 중장년층 대상 플랫폼 미션드리븐, 액티브 시니어 대상 플랫폼 포페런츠 등 특정층을 명확히 설정하고 그들의 요구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이 투자를 유치했습니다. 대학생 캘린더 플랫폼 네티는 타임트리에 인수되기도 했습니다.
초기 투자 단계에서는 반려동물 서비스가 줄 곳 강세입니다. 펫팜, 벳플레이스, 케어식스, 피피엠아이 등 반려동물 헬스케어를 중심으로 반려동물 관련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투자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습니다.
투자 단계를 보면 초기 투자가 여전히 다수를 차지하고 있지만 시리즈A 투자가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하면서 본격적인 스케일업을 위한 자금 확보가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또 프리시리즈A 투자 역시 비교적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성장 가능성을 인정받은 초기 기업의 후속 투자를 기대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습니다.
<투자 TOP10>
기업명 | 분야 | 투자금 | 투자 단계 |
두잇 | 1인 푸드 배달 앱 | 306억원 | 시리즈A |
베스트이노베이션 | 프리미엄 에스테틱 | 230억원 | 시드 |
앳홈 | 홈 라이프스타일 솔루션 | 180억원 | 시리즈A |
발란 | 명품 온라인 플랫폼 | 150억원 | 비공개 |
부스터즈 | 브랜드 액셀러레이터 | 104억원 | 비공개 |
메디쿼터스 | 패션뷰티 브랜드 플랫폼 | 100억원 | 시리즈D |
바인드 | 3040 남성 패션 커머스 | 40억원 | 시리즈A |
이스턴에디션 | K-리빙 | 36억원 | 시리즈A |
피피엠아이 | 반려동물 헬스케어 | 30억원 | 프리시리즈A |
본작 | 뷰티 스타트업 | 25억원 | 프리시리즈A |
#국내 스타트업 주요 소식
- 정부가 2025년 오늘전통 창업기업 지원사업에 참여할 전통문화 창업기업을 4월 18일까지 이곳에서 모집. 청년 초기창업기업 6기 31개사, 도약기업 2기 5개사 등 36개사를 선정해 최대 1억을 지원.
- 서울시가 올해 서울 소재 20개 대학을 대상으로 한 캠퍼스타운 사업에 212억원을 투입해 창업기업 1,000개를 육성.
- 정부가 국내 AI 디지털 신생기업들의 미국 동부 진출을 지원하는 AI·디지털 사업 동반관계 상반기 참여 기업 10개사를 4월 11일까지 이곳에서 모집.
- 정부가 2024년 1인 창조기업 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 2022년 기준 1인 창조기업은 100만 7,769개로 전년 대비 2.0% 증가해 처음으로 100만개가 넘었으며 주로 40대 초반 중장년 창업 비중 높아.
- 거리형 혁신 창업 클러스터인 대전 스타트업 파크 개소. 스타트업 파크를 중심으로 주변 부속동 9개동을 포함해 10개동, 100여개 입주 공간으로 구성.
- 중소벤처기업부가 외국인 창업가와 해외 스타트업의 국내 창업을 지원하는 ‘2025년 글로벌 스타트업 창업사업화 지원사업’ 참여 기업을 3월 19일부터 4월 11일까지 이곳에서 모집
#지원사업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가 2025년 가치키울 창업스타 발굴전 참가자를 모집. 장애인 예비 창업자 또는 창업 7년 미만 기창업자 대상으로 대상 1명, 최우수상 2명, 우수상 2명, 장려상 6명 등 총 11명을 선발해 총상금 3,200만원 제공.
# 정부사업 공고
전국 | 시설ㆍ공간ㆍ보육 서초구 방배동 1인 창조기업 지원센터 입주기업 3인실 수시모집 (주)오퍼스이앤씨 | 대상: 1인 창조기업 | 연령: 전체 2025-03-24 ~ 2025-03-2816:00 |
경기도 | 사업화 2025. 청년 창업 RUN팀 모집 성남시청소년청년재단 | 대상: 청소년, 대학생, 대학 | 연령: 만 20세 이상 ~ 만 39세 이하 2025-03-24 ~ 2025-04-0600:00 |
전국 | 사업화 2025년 영천시 창업정착 지원사업 공고(~4.11.(금) 마감) (재)경북자동차임베디드연구원 | 대상: 일반인 | 연령: 만 20세 이상 ~ 만 39세 이하 2025-03-24 ~ 2025-04-1118:00 |
경기도 | 멘토링ㆍ컨설팅ㆍ교육 ('25년 2분기) 공공조달시장 진출지원 컨설팅 희망기업 모집 인천지방조달청 | 대상: 전체 | 연령: 전체 2025-03-24 ~ 2025-04-0418:00 |
전국 | 사업화 [한국콘텐츠진흥원x광운대학교] 2025 아이디어 사업화 지원사업 예비창업자 모집(~04.09) 광운대학교산학협력단 | 대상: 전체 | 연령: 전체 2025-03-21 ~ 2025-04-0911:00 |
#이벤트#웨비나
마이크로소프트가 마이크로소프트 AI 투어 서울(Microsoft AI Tour Seoul) 개최.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 이사회 의장 겸 CEO와 토마스 돔케 깃허브(GitHub) CEO가 ‘AI 혁신의 시대, 변화 주도하기’를 주제로 기조 연설. 실시간 기조연설 시청 이곳에서 신청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