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산업 입법, 접근부터 달라야
한국인터넷기업협회는 ‘디지털을 담지 못한 디지털입법’을 주제로 제92회 굿인터넷클럽을 개최하여 국내 디지털산업 규제 입법의 현실과 문제점을 짚고, 합리적인 입법 절차와 제도 개선 방향을 모색했다. 패널들은 국회 및 정부의 입법 경쟁, 포퓰리즘적 입법 등 문제점을 지적하며, 디지털산업 규제 구조 전반 재검토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특히, 청부입법 관행, 정치적 효과 중심의 입법, 부처 간 협의 부족 등이 구조적 문제로 지적됐다. 이에 대한 개선 과제로, 입법영향평가 도입 및 제도화, 규제 체계 정합성 강화, 자율규제 활성화 및 인센티브 설계, 기술의 통합적 시각을 반영한 입법 설계 등이 제시됐다.

팁스 성공 주역, 함께 도약을 논하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오영주)는 8일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TIPS Family Day’를 개최했다. 팁스 운영사를 비롯해 선정기업, 지원기관, 전문가 등 4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팁스 프로그램의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논의했다. 행사에서는 2025년 팁스 정책 방향과 새롭게 도입되는 글로벌 R&D 트랙이 소개됐다. 신규 선정된 팁스 주관기관들이 운영 방향을 발표했으며, 운영사의 성공적인 지원 사례와 특화 프로그램을 공유하는 ‘리버스 피칭’도 진행되었다. 팁스는 정부와 민간이 협력해 창업기업을 선별·지원하는 대표적인 R&D 프로그램으로, 현재까지 3,700여 개 스타트업이 15조 8천억 원 규모의 후속 투자를 유치하는 성과를 거뒀다. 중기부는 팁스의 지속적인 성장과 글로벌 진출을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경기혁신센터-고양진흥원, 기업 육성 MOU 체결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와 고양산업진흥원이 기업 육성 활성화를 위한 MOU를 체결했다. 고양시 창조혁신캠퍼스 성사 내에 경기혁신센터 경기북부사무소가 개소될 예정이며, 양 기관은 이 협약을 통해 고양특례시 및 경기 북부 지역의 우수 기업을 공동 발굴 및 육성할 계획이다. 또한 컨설팅, IR 등 기업 지원 특화 프로그램의 공동 운영과 투자 유치 사업 홍보 등 다양한 협력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고양시를 중심으로 경기북부 지역의 창업 생태계에 실질적인 성장 동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예상되며, 지역 기업들이 더 많은 자원과 기회를 접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전망이다.

AI 중심 조직 전환 선언한 메가존클라우드
메가존클라우드가 ‘클라우드 네이티브에서 AI 네이티브로’라는 새로운 AI 비전을 선포했다. 염동훈 대표는 8일 미디어데이에서 AI 중심 조직 전환 전략과 신규 브랜드 ‘Megazone AIR’, ‘HALO’를 공개하며 기업의 모든 영역에 AI를 내재화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메가존클라우드는 AI-Ready Workforce, Business Process, Data Foundation 등 AI 네이티브 기업 전환의 핵심 요소들을 강조했다. AI 인력을 추가 채용하여 기존 200여명의 AI 전문가 및 AI 인증 획득 800여명과 함께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한편 메가존클라우드는 AI-Ready 솔루션을 통합한 ‘Megazone AIR’와 AI-Ready Security 솔루션을 통합한 HALO를 보안 브랜드로 공개했다.

온택트헬스, 신용보증기금 ‘프리아이콘’ 선정
의료·건강관리 AI 스타트업인 온택트헬스가 신용보증기금의 스케일업 지원 프로그램인 ‘프리아이콘’에 최종 선정되었다. 이번 선정으로 온택트헬스는 3년간 총 40억 원 규모의 보증 지원을 받게 되었다. 온택트헬스는 의료 AI 전문성, 균형 잡힌 사업 포트폴리오, 글로벌 시장 확대 가능성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장혁재 온택트헬스 대표는 기술 경쟁력과 미래 비전을 인정받은 결과라며,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2020년 설립된 온택트헬스는 AI 기술 기반의 헬스케어 기업으로, 건강평가·관리 AI와 의료영상 AI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매년 50% 이상의 매출 성장률을 기록해왔으며, 올해부터는 해외시장 진출도 본격화할 예정이다.

2025년 스케일업 팁스 기업 지원계획 통합공고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오영주)는 2025년 제1차 추가경정예산을 반영해 기술집약형 유망 중소벤처기업을 지원하는 민간주도 R&D 프로그램인 ‘2025년 스케일업 팁스 기업 지원계획’을 9일 통합 공고했다. 스케일업 팁스는 중소벤처기업이 운영사로부터 10억 원 이상의 투자를 유치하면 정부가 R&D를 최대 15억 원까지 지원하고, 성과를 창출한 기업에는 모태펀드를 통한 지분 투자로 최대 20억 원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이번 공고는 기존 지원계획과 추경으로 추가된 50개 과제, 글로벌 트랙 24개를 포함해 총 176개 과제에 대한 통합 지원계획을 담고 있다. 특히 AI 분야의 급격한 기술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신규 과제를 확대하고, 해외 진출을 목표로 하는 기업을 위한 글로벌 트랙을 신설했다. 중기부는 민관 협력을 통해 유망 기업을 신속히 발굴하고, R&D 지원을 강화해 성과 창출을 극대화할 방침이다. 자세한 내용은 5월 19일 열리는 사업 설명회에서 안내될 예정이다.
스케일업 팁스 운영사별 신청·문의처
구분 | 운영사 | 대표전화 | 이메일 |
1 | (투자) 엘앤에스벤처캐피탈 | 02-501-1249 | info@lnsvc.co.kr |
(R&D) 에트리홀딩스 | 042-860-0685 | jhjeon77@etriholdings.com | |
(R&D)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 – | – | |
(R&D) ㈜이디리서치 | 02-3016-5412 | jsyong@edresearch.co.kr | |
2 | (투자) 위벤처스 | 02-565-6671 | info@weventures.co.kr |
(R&D) 테크노베이션파트너스 | 02-6917-5500 | ys1218@tenopa.co.kr | |
3 | (투자) 이노폴리스파트너스 | 02-541-4858 | jipark@innollc.com |
(R&D) 한국자동차연구원 | 041-424-7016 | leehm@katech.re.kr | |
(R&D) 한국과학기술지주 | 042-862-8693 | tkpark@kstholdings.co.kr | |
4 | (투자) 인라이트벤처스 | 053-341-9222 | jyh7494@enlightvc.com |
(투자) 인탑스인베스트먼트 | 02-567-2500 | yunhyuk19@intops.co.kr | |
(R&D) 인비전아이피컨설팅 | 070-4070-3365 | nicejokers@envisionpat.com | |
(R&D) 대경지역대학공동기술지주 | 053-721-7055 | kwang7180@dgth.co.kr | |
5 | (투자) 케이그라운드벤처스 | 02-3443-4579 | info@kground.co |
(투자) DSC인베스트먼트 | 02-3453-3192 | seongmin.kang@dscinvestment.com | |
(R&D) 기술과가치 | 02-3479-5004 | wychung@technovalue.com | |
6 | (투자) 대덕벤처파트너스 | 042-485-9684 | jhjeong@dvpdvp.com |
(투자) 롯데벤처스 | 051-747-1530 | daewoo.lee@lotte.net | |
(R&D) 유에이드 | 042-476-1645 | benny@uaide.kr | |
7 | (투자) 디티앤인베스트먼트 | 02-6219-4100 | syoon@dtni.co.kr |
(R&D) 내비온 | 02-6407-7766 | jwjong@navion.biz | |
02-6407-7757 | shcho@navion.biz | ||
(R&D) 디티앤씨 | 031-326-2664 | shin@dtnc.net | |
8 | (투자) 아주IB투자 | 02-3451-9270 | sbhan930@ajuib.co.kr |
(R&D)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02-958-7282 | path@kist.re.kr | |
(R&D) 고려대학교 의료원 | 02-3407-4001 | wooju2014@korea.ac.kr | |
(R&D) 한국기술벤처재단 | 02-958-6694 | leebw@kist.re.kr | |
9 | (투자) 에이치비인베스트먼트 | 02-3448-5650 | yhko@hbvc.co.kr |
(투자) 엔브이씨파트너스 | 051-914-0938 | info@nvcp.kr | |
sdlee@nvcp.kr | |||
(R&D) 전략컨설팅집현 | 02-6475-5025 | yangsun@withwisers.com | |
10 | (투자) 캡스톤파트너스 | 02-575-1210 | biz@cspartners.co.kr |
(투자) 퓨처플레이 | 02-557-1805 | im@futureplay.co | |
(R&D)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 061-320-9541 | dwlee@kentech.ac.kr | |
(R&D) 스파크랩 | 02-2231-3014 | tips@sparklabs.co.kr | |
(R&D) 미래과학기술지주 | 042-349-3111 | tips@miraeholding.com | |
11 | (투자) BSK인베스트먼트 | 02-538-0460 | bbsnew@bskinvest.com |
(투자) 동문파트너즈 | 02-2265-0566 | hyung@egpartners.co.kr | |
(R&D)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031-789-7914 | sbheo@keti.re.kr | |
(R&D) 한국발명진흥회 | 02-3759-2863 | biwaco@kipa.org | |
(R&D) 선영파트너스 | 02-6105-7132 | best@sypartners.co.kr | |
12 | (투자) SK증권 | 02-3773-8534 | sch0726@gmail.com |
(투자) 티인베스트먼트 | 02-568-8581 | shbae@tinvestment.co.kr | |
(R&D) 연세대학교기술지주 | 02-2123-5144 | worry1004@yonsei.ac.k | |
(R&D) NICE평가정보 | 02-2124-6822 | st_service@nice.co.kr | |
(R&D) 에이치앤피파트너스 | 02-571-9977 | spkim@hannp.com | |
13 | (투자) 하이투자파트너스 | 02-761-8600 | jyyang@hi-investment.com |
(R&D) 타임웍스인베스트먼트 | 02-6956-8083 | pjt0915@twinv.co.kr | |
(R&D) 네오리서치 | 02-571-1616 | hwkhang@ipuone.com | |
14 | (투자) 플래티넘기술투자 | 02-6246-3118 | sn@pltic.co.kr |
(투자) 유비쿼스인베스트먼트 | 070-7770-9935 | jmlee@ubinv.com | |
(R&D) 부산지역대학연합기술지주 | 051-717-0417 | yjpark@buholdings.co.kr | |
(R&D) 특허법인 지원 | 02-6268-4862 | joanna@g1pat.com | |
(R&D) 한국기계연구원 | 042-868-7921 | csk0804@kimm.re.kr | |
15 | (투자) 데일리파트너스 | 02-6953-5895 | sumin@dayli.partners |
(R&D)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 053-790-5732 | ahnyoungtae@kmedihub.re.kr | |
16 | (투자) 세마인베스트먼트 | 02-3484-7072 | leecj@semainv.com |
(투자) 마그나인베스트먼트 | 02-554-2222 | yelee@mgni.co.kr | |
(투자) 케이투인베스트먼트파트너스 | 070-4468-8761 | hs.jung@k2investment.co.kr | |
(R&D) 에스와이피 | 070-8644-9053 | ysh@sypip.com | |
(R&D) 글로벌디지털혁신네트워크 | 031-8039-6738 | kbs@gdinfoundation.com | |
17 | (투자) 스케일업파트너스 | 02-551-2090 | admin@supartners-cg.com |
(투자) 엠씨파트너스 | 02-555-3747 | bheum@mcpartners.co.kr | |
(R&D) 고려대학교기술지주 | 02-3290-5894 | tigergyun@korea.ac.kr | |
(R&D) 애니파이브 | 02-2082-2600 | yilee@anyfive.com | |
(R&D) 이크레더블 | 02-6309-4690 | jykim@ecredible.co.kr | |
(R&D) 제타플랜인베스트 | 02-561-6698 | bitcamp@daum.net | |
02-538-4801 | |||
(R&D) KIC Washington | +1-571-405-6220 | kic@kicdc.org | |
18 | (투자) 원익투자파트너스 | 02-6446-7170 | hyoon@wonik.com |
(투자) 이앤벤처파트너스 | 02-569-3459 | jgjung@envp.co.kr | |
(R&D) 윕스 | 042-862-6014 | pjn77@wips.co.kr | |
(R&D) 한국전기연구원 | 062-606-7342 | jobk21@keri.re.kr | |
(R&D) 한양대학교기술지주 | 02-2220-4072 | jhkim511@hyuholdings.com | |
19 | (투자) 유진투자증권 | 02-368-6173 | psh0070@eugenefn.com |
(투자) 안다아시아벤처스 | 02-569-6705 | wy.jang@andaasiavc.com | |
(R&D) 특허법인 다나 | 02-6957-9902 | lhoiof7i@danapat.com | |
(R&D)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 02-2164-0162 | b2k82@ktr.or.kr | |
(R&D)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041-589-8304 | kht0423@kitech.re.kr | |
(R&D) 키프론바이오 | 043-210-7799 | minyoung.kim@keyfronbio.com | |
(R&D) 드림씨아이에스 | 02-2010-4507 | jae-beom.lee@tigermedgrp.com | |
20 | (투자) 삼성벤처투자 | 02-2255-0299 | Eshinyoung.stan.lee@samsung.com |
(R&D) 다래전략사업화센터 | 02-3475-7745 | ksm@daraebiz.com | |
(R&D) 성균관대학교기술지주 | 031-290-5083 | seung2@skku.edu | |
(R&D)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042-865-3516 | jhjeong86@kbsi.re.kr | |
21 | (투자) 에코프로파트너스 | 02-6920-6508 | vitamink@ecopro-partners.com |
(투자) 현대차증권 | 02-3787-2169 | KYT1041@hmsec.com | |
jw@hmsec.com | |||
CYKIM@hmsec.com | |||
(R&D) 한국스마트컨설팅협회 | 02-553-3808 | yclee@korsca.kr | |
(R&D) 한국콤파스 | 02-2200-0800 | jin@kompass.co.kr | |
(R&D) 네모아이씨지 | 031-781-7060 | minkyun@nemoicg.com | |
22 | (투자) 엘에스케이인베스트먼트 | 02-553-9631 | dc@lski.co.kr |
(투자) 엔에이치벤처투자 | – | office@nhvic.com | |
(R&D)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042-860-4114 | syshin@kribb.re.kr | |
(R&D) 준성특허법률사무소 | 02-557-9955 | js.lee@joonsungip.com | |
23 | (투자) 우리벤처파트너스 | 070-4377-2019 | eunb@woorivp.com |
(투자) 교보증권 | 02-3771-9106 | kyobovc@iprovest.com | |
(R&D) 인포뱅크 | 031-628-1500 | startup@infobank.net | |
(R&D) 티비즈 | 02-6405-3271 | tbiz@tbizip.com | |
(R&D) 킬사글로벌 | business@kilsaglobal.com | ||
24 | (투자) 컴퍼니케이파트너스 | 02-568-8512 | harry0629@kpartners.co.kr |
(R&D) 대전테크노파크 | 042-930-4891 | kyj1984@djtp.or.kr | |
(R&D) 카이스트청년창업투자지주 | 02-6494-7773 | info@kaist.vc | |
(R&D) 한국원자력연구원 | 042-868-2000 | arioh@kaeri.re.kr | |
(R&D)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042-868-5416 | jongwon.kim@kriss.re.kr |
경콘진, 콘텐츠 스타트업 성장 지원 강화
경기콘텐츠진흥원이 주최한 ‘2025년 경기 레벨업 프로그램’ 사업설명회가 5월 8일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경기도 내 콘텐츠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한 이번 설명회에서는 사업 주요 내용을 소개하고, 예비 참여 기업들을 위한 질의응답이 진행됐다. 특히, 이날 행사에서는 6개 신규 투자사와의 업무협약이 체결됐다. 새롭게 합류한 G-VIP(경기레벨업인베스트파트너스)들은 참여 스타트업에 멘토링과 투자 연계 등 밀착형 지원을 제공할 예정이다. 경콘진은 콘텐츠 스타트업의 성장을 위해 민간 투자사들과 협력하며 글로벌 시장 진출을 돕는다는 계획이다. 경기 레벨업 프로그램은 현재 참여 기업을 모집 중이며, 신청 마감은 5월 15일까지다. 자세한 내용은 경콘진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일 바이오 협력 강화… 글로벌 시장 진출 확대
중소벤처기업부는 8일 서울 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한-일 바이오 협력 네트워킹’ 행사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지난 2월 일본 도쿄에서 열린 ‘한일 바이오 에코시스템 라운드테이블’의 후속 조치로, 한국 바이오벤처기업과 일본 글로벌 제약사의 협력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에는 한국의 혁신적인 바이오벤처 9개 사와 일본 주요 제약사 8개 사가 참석해 투자설명회(IR)와 네트워킹을 진행했다. 기업들은 단백질 신약 설계 AI, 면역항암제 등 혁신기술을 소개하며 협력 가능성을 논의했다. 중기부는 바이오벤처 기업 육성을 위해 ‘바이오 전담팀’을 구성하고, 앞으로도 한·일 기업 간 교류와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한국모바일게임협회, 더불어민주당 게임특위에 정책제안서 전달
한국모바일게임협회가 지난 5월 7일 더불어민주당 게임특별위원회에 게임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제안서를 전달했다. 이번 제안서에는 게임산업 진흥 기금 신설, 게임산업발전위원회 설립, 웹3 기반 NFT·블록체인 게임 제도화 등 다양한 정책 방안이 제시됐다. 또한, 근로환경 개선 기업 세제 혜택, 게임 스타트업 육성 펀드 운영, 해외 전시회 지원 확대 등 업계의 염원이 담긴 내용도 전달됐다. 한국모바일게임협회 황성익 회장은 이번 정책 제안이 대한민국 미래 먹거리를 책임질 고부가가치 사업인 게임산업 진흥에 기여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데이터센터 시장, 폭발적 수요 증가로 부동산 지형 변화
클라우드 컴퓨팅과 AI 워크로드의 급성장으로 글로벌 데이터센터 시장이 폭발적인 수요 증가를 보이며 부동산 시장에 큰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의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97개 시장을 분석한 결과, 데이터센터 개발에 있어 전력 수급, 토지 확보, 인프라 환경이 입지 선정과 개발 방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미주 지역은 계획된 데이터센터 용량에서 선두를 차지하며, 버지니아는 15.4GW에 달하는 대규모 개발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는 중국 베이징이 운영 시장 규모에서 버지니아에 이어 2위를 기록했으며, 뭄바이는 건설 중인 데이터센터 파이프라인에서 전 세계 6위를 기록하며 데이터센터 허브로서의 빠른 성장세를 입증했다.

구글, 국내 대학과 AI 협력 선언
구글이 연세대, 아주대와 손잡고 국내 인공지능(AI) 인재 육성에 나선다. 8일, 구글은 양 대학과 AI 연구 및 교육 협력을 위한 공동 선언을 발표했다. 이번 협력을 통해 구글은 양 대학에 첨단 AI 기술과 전문성을 공유하고, 공동 과제 추진, 교육과정 개발, 워크숍 기회 제공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원할 예정이다. 구글 관계자는 이번 협력이 책임감 있는 AI 개발과 글로벌 AI 생태계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한 양 대학 관계자는 이번 협력을 통해 AI 분야의 교육, 연구 및 심화 담론을 발전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파네시아, K-클라우드 기술 개발 사업 수주… AI 인프라 혁신 주도
AI 인프라 솔루션 개발 기업 파네시아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이 기획한 ‘AI 반도체를 활용한 K-클라우드 기술개발사업’ 과제를 수주했다. 파네시아는 AI 서비스 확산에 따라 높아지고 있는 AI 인프라 성능 요구와 구축·운영 비용 절감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이번 과제를 통해 차세대 AI 인프라 솔루션 개발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파네시아는 이번 과제를 통해 칩렛 기반 반도체 칩 개발, 컴퓨테이셔널 메모리 기술 개발, CXL 연결 기술 도입 등 AI 인프라 관련 핵심 기술들을 개발한다. AI 인프라의 자원 활용도를 높이고, 불필요한 전력 소모는 최소화하며, 동시에 인프라 구축·관리 비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이번 과제의 목표다. 이번 과제는 파네시아를 중심으로 KAIST,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 한양대학교, 중앙대학교, POSTECH, UNIST 등 주요 대학들과 한국전자기술연구원을 포함한 4개 산업계 기관으로 구성된 산학연 컨소시엄이 협업하는 형태로 수행된다. 중앙대학교 병원 등의 외부기관과 협력해 실증도 진행할 예정이다. 파네시아는 그간 CXL 기술 개발을 선도하며 쌓아온 기술력을 바탕으로 이번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해 AI 인프라 분야 핵심 기술의 국산화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