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더스랩, AI 검색엔진 최적화 기반 마케팅 에이전트 개발 착수
AI 에이전트 전문기업 원더스랩이 커뮤니케이션 전문기업 도모주식회사와 협력하여 GEO(Generative Engine Optimization) 기술 기반 마케팅 특화 AI 에이전트 개발에 본격 착수했다. 양사는 AI 기반 검색 시대에 발맞춰 기업의 마케팅 전략과 콘텐츠 운영 방식을 혁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GEO는 챗GPT나 제미나이 등 AI 검색 플랫폼이 답변 시 자사 콘텐츠를 활용하도록 구조화하는 핵심 기술이다. 개발 중인 AI 에이전트는 브랜딩 전략 수립, 콘텐츠 기획, 문서 초안 작성 등 마케팅 전반의 반복 업무를 자동화하여 실무자들이 전략 수립과 창의적인 업무에 집중하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원더스랩 한의선 대표는 AI 에이전트가 조직의 전략과 판단 체계를 반영해 함께 일하는 ‘동료’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日 여성 전용 한국 여행 앱 ‘언니‘ 론칭
일본 기업 링크미가 한국 여행을 준비하는 일본 여성들을 위한 전용 커뮤니티 앱 ‘언니(ONNI)’를 공식 출시했다. 이 앱은 한국 ‘혼행’을 앞둔 일본 여성 이용자들이 앱 내 ‘한국 방문일 캘린더’에 일정을 등록하고, 같은 시기 한국을 방문하는 다른 동행자를 찾아 더욱 즐겁고 안전한 여행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플랫폼이다. 사용자들은 매칭된 상대와 함께 식사, 미용 클리닉, 관광지, 쇼핑 명소 등 다양한 한국 체험을 함께할 수 있으며, 앱 내에서 혜택과 예약 기능도 제공된다. 여행 일정이 확정된 이용자들을 중심으로 운영되어 효과적인 연결이 특징이다. 링크미는 향후 한국 현지 기업과의 적극적인 협업을 통해 브랜드 팝업, 체험형 타이업 등 다양한 오프라인 접점을 확대하고 한국에서의 경험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 계획이다.

고스트패스, CES 3년 연속 혁신상으로 글로벌 핀테크 입지 강화
핀테크 보안 기업 고스트패스가 CES 2026에서 ‘GhostPass CityFlow’ 기술로 핀테크 부문 혁신상을 수상하며 3년 연속 CES 수상 기록을 이어갔다. 2024년 스마트시티 부문, 2025년 핀테크 최고혁신상에 이어 올해도 기술력을 인정받은 셈이다. 고스트패스는 온디바이스 생체인식 기반 인증·결제 솔루션을 통해 서버 저장 없이 사용자 단말기에서 모든 인증을 처리하며 개인정보 보호를 극대화했다. 이 기술은 대중교통, 병원, 금융 등 다양한 오프라인 환경에 적용 가능하며, 스마트폰 분실 시 생체정보 삭제 기능도 탑재됐다. 삼성금융그룹 C랩 아웃사이드에서 삼성카드 최우수기업으로 선정된 데 이어, 산업통상자원부의 ‘초격차1,000+ 사이버보안 네트워크’에서도 1위 기업으로 이름을 올리며 기술력과 시장성을 동시에 입증했다.

Tech-Connect Day, 호남 기업 협력의 장 열다
광주창조경제혁신센터와 산업은행이 공동 주관한 ‘호남지역 Tech-Connect Day’가 11월 6일 광주 스테이지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이번 행사는 광주광역시와 중소벤처기업청이 주최하고, 지역 중소·중견기업과 스타트업 간 기술 협력과 공동 사업 발굴을 위한 밋업 프로그램으로 마련됐다. 총 41개 기업이 참여해 현장 중심의 교류가 활발히 이뤄졌으며, G-유니콘 육성기업을 포함한 스타트업들이 IR 발표와 실무 협의를 통해 성장 가능성을 제시했다. 광주창업페스티벌에서 조성된 개방형 협력 분위기를 실질적 네트워크로 확장한 이번 행사는 지역 오픈이노베이션 생태계의 지속성과 확장성을 확인하는 계기가 됐다.

케이트렌드, 슬로우에이징 K-뷰티로 투자 유치
프리미엄 스킨케어 브랜드 ‘bohicare’를 운영하는 케이트렌드코퍼레이션이 클러스트벤처스로부터 초기 투자를 유치했다. ‘bohicare’는 K-뷰티 제조 기술과 슬로우 에이징 철학을 결합해 과학·미학·지속 가능성을 추구하는 브랜드로, 유럽 시장 진출에 필수적인 CPNP 및 Vegan 인증을 선제적으로 확보하며 글로벌 확장 기반을 다졌다. 창립자 Svetlana Son은 글로벌 뷰티 인플루언서 출신으로, 실제 소비자 니즈를 반영한 제품 기획으로 브랜드 경쟁력을 강화했다. 2024년 생산량은 전년 대비 5배 이상 증가했고, 국내 매출도 240% 성장하며 시장 반응을 입증했다. 케이트렌드는 이번 투자를 계기로 2030년까지 글로벌 슬로우에이징 대표 브랜드로 도약할 계획이다.

X, ‘X for Brands 2025’ 컨퍼런스 성료
글로벌 소셜 미디어 X가 디지털 플랫폼 파트너 알레프(Aleph)와 함께 ‘X for Brands 2025’ 컨퍼런스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지난 7일 웨스틴 조선 서울에서 열린 이 행사에는 380여 명의 국내외 업계 관계자들이 참석해 글로벌 마케팅 트렌드와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논의했다. 컨퍼런스에서 X의 국내 월간 이용자 수가 1,000만 명을 돌파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는 사실이 공개되었다. X는 알레프와의 리셀러 파트너십 강화를 통해 한국 시장 내 고객 지원 범위와 서비스를 더욱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행사는 X가 제시하는 ‘트렌드의 시작, 브랜드의 성지’ 비전에 참석자들이 공감하며 디지털 마케팅 혁신을 모색하는 장이 되었다.

나라지식정보, 국사편찬위와 근대 자료 AI 솔루션 개발 착수
AI 솔루션 및 데이터 구축 전문업체인 나라지식정보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이 추진하는 2025년 공공 AX 프로젝트 사업 수행에 착수했다. 사업명은 ‘한국 근대 다문자 자료 활용 지원 AI 솔루션 개발 및 실증’이며, 지난 11월 6일 국사편찬위원회 본관에서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나라지식정보는 자체 AI OCR 엔진인 ‘Ancient Document Cube’를 활용하여 국사편찬위가 보유한 한자, 일어, 국한문 등 복잡한 근대 자료를 AI가 자동으로 인식, 번역, 요약 및 검색하는 통합 플랫폼을 개발할 예정이다. 2026년 사업 완료 시 근대 자료의 지식 콘텐츠 접근성이 활성화되어 연구 및 한류 콘텐츠 산업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미니쉬테크놀로지–모아치과, 합병 후 첫 ‘골든옥토버‘ 개최
미니쉬테크놀로지와 모아치과그룹이 지난 8일 서울 강남구 미니쉬치과병원에서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합병 후 첫 연례행사인 ‘2025 골든옥토버’를 개최했다. 이 행사는 모아치과의 핵심 이념인 ‘환자 중심 진료’를 재확인하고, 전국 원장들이 경험을 나누며 시너지를 모색하는 자리였다. 강정호 미니쉬테크놀로지 대표는 강연을 통해 원장들을 단순한 회원 이상인 브랜드의 주인이자 진정한 비즈니스 파트너로 강조했다. 이어 경영관리(ERP), 고객관리(CRM) 등의 IT 시스템 개발 현황을 공개하며, 궁극적으로 AI 기반 플랫폼 구축을 통해 의료진이 경영 부담 없이 진료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현재 모아치과 브랜드 치과는 전국 40여 곳이다.

![[AI서머리] 콘진원, 폴란드 비즈니스센터 개소‧2024년 바이오산업, 생산·수출·투자 모두 성장](https://startuprecipe.co.kr/wp-content/uploads/2025/11/251111_Busan-Metropolitan-City_500305235-350x250.jpg)
![[AI서머리] 경기도·융기원, AI 스타트업 글로벌 진출 성과‧더품, 버트온 1.1 정식 공개](https://startuprecipe.co.kr/wp-content/uploads/2025/11/251111_aict.snu_.ac_.kr_000004-350x250.jpg)
![[AI서머리] 스마트해양AX위원회 출범‧서울시 중장년 창업데모데이 성료](https://startuprecipe.co.kr/wp-content/uploads/2025/11/251111_Busan-Center-for-Creative-Economy-Innovation_0000634-350x250.jpg)
![[AI서머리] 김밥롤 마스크팩 ‘리써’ 시드 투자 유치‧더핑크퐁컴퍼니, 일반청약 경쟁률 846.9:1](https://startuprecipe.co.kr/wp-content/uploads/2025/11/251111_bespinglobal.com_605065346-350x250.jpg)
![[AI서머리] 러닝 플랫폼 ‘클투’, 전략적 투자 유치‧리벨리온, 시리즈C 마무리](https://startuprecipe.co.kr/wp-content/uploads/2025/11/251110_cntt.co_.kr_00000534-350x250.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