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리마 살롱’ 개최, 에너지·기후 전문가 한자리에
딥테크 액셀러레이터 블루포인트가 에너지·기후 산업의 지속가능 전환을 위한 커뮤니티 ‘클리마 살롱’을 개최했다. 이 행사는 블루포인트와 HD현대일렉트릭,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이 공동으로 기획하고 운영에 참여했다. 5월 2일 구글 스타트업 캠퍼스에서 ‘전력망 혁신과 스마트 그리드’라는 주제로 열린 첫 행사에는 70여명의 전문가 및 업계 관계자가 참석하여 열띤 논의를 벌였다. 전문가 발표에서는 전력망과 스마트그리드 시장 동향 및 기업 주요 전략, 분산에너지 & 스마트크리드 신사업, 인버터기반 전력망 유연화 기술 등 에너지 분야의 혁신을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가 공유됐다. 특히 전력망 현대화가 지속적인 메가트렌드로 부상하고 있으며, AI 기반 예측 모델의 수요가 빠르게 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또한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한 전력망 유연성 확보의 필요성과 이를 위한 스마트 인버터와 그리드 포밍 인버터의 중요성도 강조되었다. 주요 발표 이후에는 참석자 간 활발한 소통과 네트워킹이 진행되어 에너지·기후 분야의 협력과 협업을 유도했다. 블루포인트 관계자는 “클리마 살롱은 기후위기 해결을 위한 협력의 장을 만들고자 새롭게 구성한 네트워킹 이벤트”라며 “정기적인 포럼을 통해 산업 전반의 연결과 협업을 촉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시, ‘제15회 부산 마이스 콘텐츠 공모전’ 개최
부산시가 오는 5월 26일부터 6월 27일까지 ‘제15회 부산 마이스 콘텐츠 공모전’을 진행한다. 이 공모전은 창의적인 마이스 콘텐츠를 발굴해 도시 경쟁력을 강화하고 업계를 선도할 대표 행사를 육성하기 위해 마련됐다. 공모 분야는 ▲인공지능 및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행사 기획 ▲부산의 유니크베뉴를 활용한 특색 있는 행사 ▲마이스 참가자를 위한 맞춤형 관광 프로그램 제안 등 총 3개다. 개인 또는 4인 이하 팀이라면 누구나 참가할 수 있으며, 신청은 (사)부산관광마이스진흥회로 전자우편 제출 방식으로 진행된다. 7월 중 심사를 통해 총 8개의 수상작을 선정하고, 총 1,100만 원 규모의 상금과 상장을 수여할 예정이다. 수상작은 상품화 컨설팅을 지원받으며, 향후 행사 개최 시 우대 혜택이 제공된다. 자세한 사항은 부산관광마이스진흥회에 문의하면 된다.

울산시, ‘2025년 자동차 분야 신규 기반조성 사업’ 공모 선정
울산시가 산업통상자원부의 2025년 자동차 분야 신규 기반조성 사업에서 ‘보행자 충돌안전성 확보지원 기반구축’ 과제로 최종 선정됐다. 이번 사업은 울산과 전남이 협력해 진행하는 광역 연계 협력사업으로, 울산은 보행자 안전성 확보, 전남은 탑승자 안전성 강화를 담당한다. 총 69억 원 규모로 추진되는 이 사업은 강화되는 자동차 충돌안전기준에 대응할 수 있도록 시험평가 장비 구축과 분석 지원을 통해 중소·중견기업의 기술 경쟁력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춘다. 울산시는 2029년까지 신규 시험 장비 11종을 도입해 국내외 안전기준에 부합하는 충돌안전성 평가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자동차부품 기업들이 안전성과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세계 시장에서 품질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전망이다. 울산시는 지속적인 기술 지원 체계를 구축해 자동차 산업의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계획이다.
산업부, 2025년 추가경정예산안 9,814억원 확정
산업통상자원부가 2025년 추가경정예산안을 총 9,814억원 규모로 확정했다. 이번 예산은 급변하는 통상환경과 기술 패권 경쟁에 대응하기 위해 통상 리스크 관리 및 첨단산업 경쟁력 강화를 중점으로 편성됐다. 통상 리스크 대응에는 6,704억원이 증액됐으며, 관세 대응 바우처, 무역보험기금, 공급망 안정성 확보 등이 포함됐다. 특히 미국 관세조치로 인한 수출 중소·중견기업 지원을 위해 888억원이 추가 편성됐다. 방산과 조선업체의 해외 수주를 지원하는 예산도 확대됐다. 첨단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3,110억원이 증액됐다. 반도체와 이차전지 특화단지의 기반시설 구축, 팹리스 기업 지원, 반도체 인력 양성 확대 등이 주요 내용이다. 또한 산업단지 환경 개선과 탄소중립 선도 모델 구축을 위한 예산도 반영됐다. 산업부는 이번 예산을 신속히 집행해 기업들의 경쟁력 강화와 국가 경제 안정에 기여할 계획이다.
2025년 산업부 추가경정예산안 관련 사업(단위 : 억원)
구분 | 세부사업명 | 2025년도 | ||
본예산(A) | 추경(B) | 최종(A+B) | ||
1 | 수출지원기반활용 | 914 | 888 | 1,802 |
2 | 무역보험기금출연 | 800 | 3,000 | 3,800 |
3 | 투자유치기반조성 | 3,642 | 396 | 4,038 |
4 | 산업기술국제협력R&D | 2,172 | 10 | 2,182 |
5 | 소부장공급망안정종합지원 | 45 | 860 | 905 |
6 | 한국광해광업공단출자 | 2,007 | 2,147 | 4,154 |
7 | 해외자원개발조사 | 37 | 10 | 47 |
8 | 통상기반조성및역량강화 | 31 | 19 | 50 |
9 | 무역기술장벽대응지원 | 67 | 74 | 141 |
10 | 용인·평택반도체클러스터전력공급지원 | – | 626 | 626 |
11 | 첨단전략산업특화단지기반시설구축지원 | 252 | 1,170 | 1,422 |
12 | 산업단지환경조성 | 3,314 | 561 | 3,875 |
13 | 팹리스기업첨단장비공동지원사업 | 72 | 23 | 95 |
14 | 반도체아카데미구축 | 47 | 10 | 57 |
15 | 친환경차보급촉진을위한이차보전사업 | 55 | 20 | 75 |
합계 | 13,455 | 9,814 | 23,269 |
경기도, 생성형 AI·공공데이터 활용 창업경진대회 참가자 모집
경기도가 생성형 인공지능(AI)과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혁신 창업 아이디어를 발굴하기 위해 ‘2025년 경기도 생성형 AI·공공데이터 활용 창업경진대회’ 참가자를 모집한다. 모집 기간은 5월 2일부터 30일까지이며, 개인 또는 4인 이하 팀 단위로 참여할 수 있다. 이번 대회는 ▲아이디어 기획 ▲제품 및 서비스 개발 ▲대학생 대상 기획 등 3개 부문에서 진행된다. 총 9개 수상팀에는 경기도지사상 등 상장과 최대 600만 원의 상금이 수여되며, 총 상금 규모는 2,650만 원으로 확대됐다. 경기도는 선정팀에 빅테크 전문가 멘토링을 제공하고, 공공데이터 및 민간기업 개방 데이터를 활용한 창업 아이디어 구체화를 지원할 계획이다. 이번 대회는 범정부 창업경진대회의 경기도 예선 역할도 하며, 일부 수상팀은 9월 통합본선 진출 후보로 추천된다. 참가 신청은 경기기업비서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으로 접수할 수 있다.

전북자치도, 5월 중소기업 온라인 특가전 집중 추진
전북특별자치도가 5월 한 달 동안 도내 중소기업 제품의 온라인 판로 확대를 위해 대형 온라인 플랫폼과 연계한 특가전과 라이브방송을 집중 추진한다. 특가전은 G마켓과 옥션에서 시작해 오아시스 채널, 우체국쇼핑, 11번가로 확대되며, 총 80여 개 기업이 참여한다. 올해 온라인 판매 지원사업은 22회에 걸쳐 진행되며, 현재까지 1,072개 기업이 참여해 260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또한 도는 도내 식품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큐레이션 마케팅 지원’을 시행하며, 라이브방송을 통해 실시간 소비자 소통을 활성화했다. 향후 입점 플랫폼 확대와 물류비 지원 등을 통해 중소기업의 온라인 시장 진입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전남도, 목포서 상반기 일자리박람회 성료… 1,100여 명 참여
전라남도가 지난 4월 30일 목포실내체육관에서 개최한 ‘2025 상반기 전남 일자리박람회’에 1,100여 명의 구직자가 참여하며 취업 열기를 보였다. 이번 박람회에는 전남도와 지자체, 공공기관, 중소기업 등 28개 기업이 참여해 148명 채용을 목표로 현장 면접을 진행했다. 또한 해경정비창, 한국농어촌공사 등 공공기관이 채용 정보를 제공하고, 산업계 전문가들이 취업 전략 강의를 펼쳐 구직자들의 실질적 지원을 강화했다. 특히 취업설명회와 기업홍보관을 운영해 참가자들의 진로 설계를 돕고, 도내 특성화고 학생 400여 명이 직접 취업 현장을 체험하며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전남도는 하반기에도 일자리박람회를 이어가며 구직자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AI 분야 추경 1.9조 확정… 글로벌 AI G3 도약 기반 마련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국회 본회의에서 1조 9,067억 원 규모의 AI 분야 추가경정예산을 확정했다. 이는 정부안 대비 618억 원 증액된 것으로, 국가 AI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 사업 추진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번 추경은 AI 컴퓨팅 인프라 확충, 국산 AI 반도체 실증 지원, 차세대 AI 모델 개발 및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우선 클러스터링 기반 첨단 GPU 1만 장을 연내 확보하고, 민간이 보유한 GPU를 추가 임차할 예정이다. AI 반도체 실증사업 예산도 대폭 확대되며, 글로벌 수준의 AI 모델 개발을 위한 ‘World Best LLM 프로젝트’가 진행된다. 또한 AI 스타트업 지원을 위해 ‘AI 혁신펀드’ 규모를 확대하고, AI·디지털 취약계층을 위한 배리어프리 기술 보급에도 예산을 편성했다. 정부는 신속한 예산 집행을 통해 글로벌 AI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2025년 추경예산 국회 심의 결과(단위:백만원)
사업명 | 유형 | 회계 | ’25년예산(a) | 정부안 | 최종안(b) | 합계(a+b) |
< 합 계 > | 318,863 | 1,845,184 | 1,906,997(+61,813) | 2,225,860 | ||
AI 컴퓨팅 자원 활용 기반 강화 | 비R&D | 일반 | – | +1,619,438 | +1,619,438 | 1,619,438 |
AI산업육성(고성능컴퓨팅지원) | 비R&D | 정진 | 19,800 | +14,680 | +23,493(+8,813) | 43,293 |
AI 챔피언 프로젝트 지원 | R&D | 일반 | – | +10,000 | +10,000 | 10,000 |
최고급 AI 해외 인재 유치 지원(WBL) | R&D | 일반 | – | +5,000 | +5,000 | 5,000 |
생성 AI 선도인재 양성 | R&D | 일반 | 5,200 | +3,500 | +3,500 | 8,700 |
정보통신방송혁신인재양성(인공지능핵심인재양성) | R&D | 방발 | 20,000 | +10,000 | +10,000 | 30,000 |
AI 국가대표 양성(InnoCORE) | R&D | 일반 | – | +30,000 | +30,000 | 30,000 |
AI스타펠로우십지원 | R&D | 일반 | 6,000 | +3,000 | +3,000 | 9,000 |
디지털전문‧융합인재양성(이노베이션아카데미) | 비R&D | 정진 | 5,059 | +5,000 | +5,000 | 10,059 |
World Best LLM 데이터 활용 지원(WBL) | 비R&D | 일반 | – | +30,000 | +50,000(+20,000) | 50,000 |
AI 혁신펀드 | 비R&D | 정진 | 45,000 | +55,000 | +55,000 | 100,000 |
AI반도체 실증 지원 | 비R&D | 일반 | 24,370 | +40,000 | +44,000(+4,000) | 68,370 |
융합서비스 글로벌시장 진출지원(AI반도체 해외 실증) | 비R&D | 일반 | 17,263 | +5,400 | +5,400 | 22,663 |
AI기반 방송미디어 혁신 융합인재 양성 | 비R&D | 일반 | – | – | +1,000(+1,000) | 1,000 |
블록체인활용기반조성 | 비R&D | 정진 | 12,182 | – | +4,800(+4,800) | 16,982 |
AI 글로벌 빅테크 육성(연구개발특구육성) | R&D | 지특 | 106,104 | +5,000 | +10,000(+5,000) | 116,104 |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기술개발 및 보급지원 | 비R&D | 일반 | – | +9,166 | +9,166 | 9,166 |
AI 융합 OTT글로벌 진출확산 | 비R&D | 일반 | – | – | +8,000(+8,000) | 8,000 |
AI반도체 기반 마이크로데이터센터확산 | R&D | 일반 | – | – | +3,500(+3,500) | 3,500 |
기타 | 비R&D | 일반 | 57,885 | – | +6,700(+6,700) | 64,585 |
해운대관광고, ‘잡톡톡’ 프로그램 성황리에 마쳐
해운대관광고등학교가 지난 1일, 재학생들을 위한 진로 멘토링 프로그램 ‘잡톡톡 선배와의 만남’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이 행사는 졸업생 8명이 강사로 나서 보험, 창업, 요식업, 제과제빵, 조리, 부사관, 호텔 등 7개 분야에 대한 생생한 경험과 조언을 후배들에게 전달했다. 특히 졸업생들은 현장에서 겪은 성공과 실패 경험을 공유하며 진로 선택에 대한 현실적인 시각을 제시해 학생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학교 측은 앞으로도 다양한 분야의 졸업생들과의 연계를 통해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에즈웰에이아이, AI 솔루션 고객 세미나 개최
에즈웰에이아이가 최근 주요 고객사를 대상으로 AI 솔루션 세미나 ‘Azwell AI Day’를 성공적으로 개최하며 AI 소프트웨어 기업으로의 본격적인 행보를 알렸다. 이번 세미나는 Dataiku와 공동으로 주최되었으며, 기업의 AI 도입 및 활용 전략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세미나에서는 전사적 AI 전략 수립, 데이터 거버넌스 운영 방안, 금융 산업 내 성공 사례 등 실질적인 인사이트가 제공되어 참석자들의 높은 관심을 받았다. 에즈웰에이아이는 업스테이지와의 협력을 통해 중소기업 맞춤형 Agentic AI 서비스 확대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AI 인프라부터 데이터 전략까지 통합적으로 지원하는 토털 AI 파트너로서의 비전을 제시했다. 에즈웰에이아이는 앞으로도 AI 인프라, 플랫폼, 솔루션을 아우르는 Full Stack 역량을 기반으로 종합 AI 전문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카카오, ‘2025 찾아가는 시니어 디지털 스쿨’ 교육기관 모집
카카오임팩트가 시니어들의 디지털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2025 찾아가는 시니어 디지털 스쿨’을 운영하며, 교육기관 모집과 교재 배포 신청을 시작했다. 이 사업은 카카오와 복지기관 협력으로 진행되는 ESG 프로그램으로, 올해는 전국 150곳에서 교육을 실시하며 맞춤형 교재 10만 부를 배포할 계획이다. 교육은 카카오톡·카카오맵 활용법을 익히는 생활교육과 금융사기 예방을 배우는 금융교육으로 나뉘며, 5월 21일까지 신청 가능하다. 선정된 기관에는 전문 강사진, 맞춤형 교재, 교육 운영 지원금이 제공되며, 개인 학습용 교재도 별도 신청을 통해 배포된다. 카카오임팩트는 디지털 교육의 확대를 위해 강사진 육성 및 콘텐츠 강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