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토프 비아르노 아프리카레나(AFRICARENA) 대표는 23일 강남구 디캠프 선릉에서 개최된 아프리카레나 서울 서밋 2025 기조연설에서 아프리카가 단순한 개발 도상국을 넘어 글로벌 기술 혁신의 차세대 프론티어로 빠르게 부상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과의 협력 기회가 무궁무진하다고 강조했다. 아프리카레나는 아프리카 스타트업 투자사로 한국과 아프리카, 특히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케냐를 잇는 다리 역할을 하며 아프리카 스타트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과 한국 기술 기업의 아프리카 시장 안착을 돕고 있다.

비아르노 대표는 아프리카의 현재 경제 규모가 약 3조 달러로 한국 GDP의 약 1.5배에 달한다고 밝혔다. 54개국으로 이루어진 아프리카는 소규모 경제부터 나이지리아, 이집트,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같은 대규모 경제까지 다양한 스펙트럼을 가지고 있다.
가장 주목할 점은 인구 통계학적 변화다. 아프리카 인구는 현재 13억 명에서 2050년까지 25억 명 이상으로 두 배 가까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 이는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른 성장세다. 이러한 인구 증가는 대규모 도시화를 동반해 2075년에는 13개 아프리카 도시가 뉴욕보다 큰 메가시티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비아르노 대표는 이러한 인구 및 도시화의 폭발적인 성장은 막대한 투자 기회를 창출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2024년 기준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20개 경제 중 12개가 아프리카에 있다“며 ”이는 인프라, 모바일 및 디지털 기술, 통신, 교육, 헬스케어, 그리고 물과 에너지 솔루션 등 필수 서비스 및 인프라 분야에서 엄청난 수요로 이어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아프리카의 기술 부문은 최근 몇 년간 놀랍게 성장 중이다. 비아르노 대표에 따르면 아프리카는 현재 전 세계 벤처 투자의 0.6%만을 차지하지만 지난 10년간 기술 스타트업 투자는 무려 77배 증가하며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벤처 캐피탈 시장으로 부상했고 이는 향후 아프리카 기술 생태계의 기하급수적인 성장을 기대할 수 있는 부분이다. 이미 아프리카에는 8개의 유니콘 기업이 탄생한 바 있다.

비아르노 대표는 아프리카 시장에 진출하기 위한 최적의 거점으로 남아프리카 공화국, 케냐, 이집트, 나이지리아 4개국을 꼽았다. 이들 국가는 각 지역의 허브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비즈니스 기회를 제공한다는 이유에서다. 그는 “특히 한국의 강점인 딥테크, 하드웨어 제품, 그리고 기후 변화 적응 및 완화 솔루션 분야는 아프리카가 현재 가장 필요로 하는 기술과 완벽하게 맞아떨어진다”며 “핀테크가 여전히 강세지만 에너지 및 기후 기술 분야는 아프리카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섹터로 한국 기업에게 가장 큰 기회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아프리카레나 서울 서밋 2025은 한-아프리카 기술 협력을 위한 네트워킹 행사로 기획돼 아프리카 진출 한국 스타트업들의 패널 토론과 파이어사이드챗, 투자 인사이트 등이 공유됐다. 피칭 세션에는 한국아프리카재단과 아프리카레나가 함께 육성한 그리너랩, 키자니테이블 등 3개사가 참여했다.
이번 행사를 주관한 아프리코코퍼레이션 진유하 대표는 “첫 행사임에도 100여명 이상이 참여해 아프리카 비즈니스에 대한 관심이 한국 내에서 많이 높아졌다고 느꼈다”며 “국내 스타트업, 중소기업, 여러 기관들이 서로 시너지를 창출하며 사업 협력을 해나갈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