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메일로 만나보는 스타트업을 위한 레시피

- 1분기 벤처 투자 2.6조…역대 2번째 높아 회복 기대?
올해 1분기 벤처투자와 벤처펀드 결성이 모두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 투자 생태계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가 발표한 2025년 1분기 신규 벤처투자 및 벤처펀드 결성 동향에 따르면 벤처투자 금액은 전년 동기 대비 34.0% 증가한 2조 6,225억원, 벤처펀드 결성 규모는 20.6% 늘어난 3조 741억원으로 집계됐다.
<주요 내용>
- 벤처투자액은 2조 6,225억원(전년 대비 34.0%↑), 벤처펀드 결성액은 3조 741억원(전년 대비 20.6%↑)으로 이는 2022년 이후 역대 2번째 수준 실적
- 투자 증가는 딥테크 스타트업이 견인한 것으로 100억원 이상 대규모 투자 유치한 스타트업이 1분기에만 26개사로 이 중 AI·바이오 기반 기업이 10곳 (38.5%) 차지(뤼튼, 셀릭바이오 등)
- 초기 스타트업(업력 3년 이내) 투자가 급증해 전년 대비 81.7% 증가한 7,252억원 기록
- 업종별로는 ICT 서비스가 5,865억원, 바이오·의료가 3,630억원 (11.2%), 전기·기계·장비가 3,556억원, 화학·소재 분야는 20.1% 감소한 1,198억원
- 벤처펀드 결성은 민간 출자금액이 2조 5,664억원(31.1%↑)으로 전체 결성 금액 83.5% 차지하며 민간 출자 증가세
- 출자 주체별로는 연기금·공제회가 3,020억원(47.8%↑), 금융기관이 9,047억원(41.4%↑), 금융기관이 9,047억원(41.4%↑)
- 가상자산 투자자 1000만명 시대
국내 가상자산 투자자가 1,000만 명에 달하고 시가총액은 100조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위원회 산하 금융정보분석원(FIU)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4년 하반기 가상자산사업자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17개 거래소와 8개 보관·지갑업자 등 25개 가상자산사업자를 대상으로 삼았다.
- 국내 가상자산 투자자 수는 1,000만 명에 육박
- 가상자산 시가총액은 2023년 말 기준 107조 7,000억원(반년 전 대비 91% 증가)
- 하루 평균 거래금액은 14조 3,000억원으로 코스피 거래량(10조 8,000억원) 초과
- 원화 예치금은 10조 7,000억원으로 반년 전 대비 114% 증가
- 가상자산사업자 영업이익은 7,415억원, 작년 상반기 대비 28% 증가
- 가상자산거래소 종사자 수는 1862명, 전년 대비 18% 증가
- 국내 거래 가상자산 수는 1,357개, 전년 대비 12% 증가
- 해양수산 창업 콘테스트 참여자 모집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KIMST)은 6월 30일까지 제11회 해양수산 창업 콘테스트 참가자를 이곳에서 모집한다. 이번 콘테스트는 해양수산 분야애서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기술을 보유한 예비 창업자 및 초기 창업기업을 발굴하고 육성하는 자리로 2015년부터 매년 개최되며 올해로 11회를 맞았다.
창업 7년 이내 기업을 대상으로 아이디어 부문 일반부는 모든 국민, 아이디어 부문 학생부는 대학원생 이하 학생을 대상으로 한다. 수상팀에게는 해양수산부 장관상,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장상 등 권위 있는 상이 수여되며 총상금 4,700만 원이 주어진다. 상금 외에도 수상팀에게는 해양수산 창업 분야에서의 성공적인 진출을 위한 다양한 후속 지원을 제공한다.
FUNDING
기업명 | 분야 | 투자금 | 단계 | 투자사 |
---|---|---|---|---|
그레이박스 | CRM솔루션 | 비공개 | 프리시리즈A | 슈미트, 매쉬업벤처스 |
다겸 | 모션 비전AI | 150억원 | 시리즈A | |
맥케이 | AI 비디오 인텔리전스 | 비공개 | 시리즈A | |
스튜디오얌얌 | 광고 대행 서비스 | 비공개 | 시드브릿지 | 고려대학교기술지주 |
그레이박스
- CRM 마케팅 자동화 솔루션 노티플라이 운영사 그레이박스가 슈미트, 매쉬업벤처스로부터 프리시리즈A 투자를 유치.
다겸
- 모션 비전AI 전문 기업 다겸이 150억원 시리즈A 투자를 유치.
맥케이
- AI 비디오 인텔리전스 기업 맥케이가 시리즈A 투자를 유치.
스튜디오얌얌
- 웹세미나 플랫폼 스튜디오얌얌이 고려대학교기술지주로부터 시드 브릿지 투자를 유치.
GLOBAL NEWS
- AI 코딩 에이전트 공개한 오픈AI=오픈AI가 기능 개발, 코드베이스 관련 질문 응답, 버그 수정, 풀 리퀘스트 제안 등 여러 작업을 병렬로 실행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에이전트인 코덱스(Codex) 연구용 프리뷰 버전 출시. 코덱스는 챗GPT 프로, 엔터프라이즈, 팀 사용자에게 제공되며 플러스와 에듀 사용자에게는 곧 제공 예정. 사용자는 챗GPT 사이드바에서 코덱스에 접근하고 프롬프트를 입력해 코드(Code) 버튼을 클릭해 코딩 작업을 할당 가능.
- 샤오미, 독자 개발 스마트폰용 프로세서 발표 예고=샤오미가 독자 개발한 스마트폰용 SoC인 시링O1(XRING O1. 玄戒O1) 존재를 공개했다. 자세한 정보는 5월 말 발표될 예정. 현재 시링O1 정보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인터넷상에는 TSMC 4nm 공정으로 생산되며 UNISOC 5G 모뎀, 3.2GHz 프라임 코어 1개, 2.5GHz 퍼포먼스 코어 3개, 2.0GHz 효율 코어 4개를 탑재한다는 소문.
- 스레드, 링크인바이오 기능 도입…왜?=인스타그램 스레드가 링크트리와 같은 ‘링크 인 바이오(link-in-bio)’ 서비스 시도. 크리에이터는 자신의 쓰레드 프로필에 최대 5개 링크를 추가해 블로그, 뉴스레터, 웹사이트, 다른 소셜 프로필 등 다양한 온라인 활동을 팬들과 공유 가능. 링크 클릭 수 등 성과 분석 도구도 함께 제공.
MORE NEWS

- 벤처기업협회, 중국 연길시와 손잡고 기업들의 중국 시장 진출을 적극 지원. 현지 사무 공간 및 컨설팅 제공, 우수 인력 소싱, 주요 유통 플랫폼 연계 등 종합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올해 50개사를 지원할 계획.
- 경상남도, 2025년 글로벌 액셀러레이팅 지원사업 참여기업 6월 2일까지 이곳에서 모집. 12개사 선정, 베트남, 일본, 미국 진출 지원.
- 딜로이트그룹, AI 기반 스마트 도시 현황과 미래 보고서 발표. 전 세계 250개 도시를 대상으로 AI 계획, 투자 및 실행 현황 분석 결과 3년 안에 생성형 AI를 활용하는 도시 비율이 3배 이상 증가할 전망.
- 업무마켓9, 임직원을 위한 모바일상품권 구매 서비스 출시. 업무마켓9 고객사는 국내 주요 프랜차이즈 및 편의점 상품권을 전용몰에서 간편하게 주문 가능.
- 경남창조경제혁신센터, 2025년 G-콘텐츠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팅 지원사업 참여기업 10개사를 6월 9일까지 이곳에서 모집. 우수 기업은 운영사 비티비벤처스를 통해 1억원 이상 직접 투자 및 후속 투자 연계 기회 제공.
- 에이비제트, 21일 쿠팡파트너스와 소셜미디어 수익화의 모든 것을 주제로 온라인 웨비나 개최. 실제 성공 사례 분석과 함께 소셜미디어 채널 담당자를 위한 맞춤형 수익화 전략 공유.
-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 B.Startup PIE 배치 프로그램 5기 참여 기업을 6월 16일까지 이곳에서 모집. 스타트업에 대한 직접 투자 및 투자 연계를 통해 기업 성장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올해는 10개 기업을 선발해 투자 유치 연계, 멘토링 등 지원.
- 당근알바, 지난 1년간 성사된 일자리 연결 데이터를 분석해 발표. 조사 결과, 전체 공고 중 지원이 가장 활발한 거리는 1~2km로 나타나 지역 내에서 일자리를 찾는 경향 높아.
- 디캠프, 시디즈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스타트업 자립 기반 강화에 협력. 디캠프가 투자 및 보육하는 스타트업이 자체 사무공간을 마련할 때 시디즈가 사무용 의자를 지원하는 CHAIR-UP 프로젝트 일환.
- 바카티오, 글로벌 예약 플랫폼 아고다와 협업. 이를 통해 파인호스트는 아고다 글로벌 예약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연동하며 숙소 예약 관리 자동화 및 업무 효율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
- 서울디지털재단, AI연구/스마트시티 기술 교류를 위해 퀘벡 대표부와 스마트시티 엑스포 주최기관과 연계 협력을 강화. 스마트라이프위크(SLW)에 시장단을 초청하고 AI 연구기관과의 공동 연구를 추진하며 기술 기업 교류를 위한 협력 펀드 조성 논의.
- 경기콘텐츠진흥원, 2025 경기 메타버스 캠퍼스 정규 교육과정 교육생을 6월 20일까지 이곳에서 모집. 메타버스와 XR 콘텐츠, AI 기술을 융합해 산업 현장에서 즉시 활용 가능한 실무 인재 양성을 목표로 100시간 과정.
- 카카오모빌리티, 캠퍼스타운 기업성장센터와 오픈이노베이션 밋업 참여 기업을 모집. 캠퍼스타운 보육, 졸업기업, 대학 창업 기업 대상으로 주차, 물류, 외국인 등 분야에서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