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엘, 언어 AI 글로벌 백서 발표…기업 72% “2025년 AI 도입”
글로벌 언어 AI 기업 딥엘(DeepL)은 최근 발표한 백서를 통해, 전 세계 기업의 AI 도입 현황과 언어 AI의 잠재력을 분석했다. 딥엘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글로벌 비즈니스 리더 절반 이상이 비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 문제를 겪고 있으며, 72%는 2025년 AI 도입을 계획 중이다. 특히 25%는 번역 등 전문 업무에 AI를 활용할 예정이다. 기업들은 AI 통합을 위한 예산을 확보하고 있으며, 언어 장벽 해소 및 협업 강화를 위해 AI 솔루션을 도입하고 있다. 딥엘 CEO 야렉 쿠틸로브스키는 “기업들은 AI 솔루션으로 커뮤니케이션 문제를 해결하고 있으며, 언어 AI는 글로벌 비즈니스 성장에 필수적이다”라고 강조했다.

킹덤스토리, 대규모 업데이트로 글로벌 역주행
소프트닉스의 모바일 전략 RPG ‘킹덤스토리’가 1월 대규모 업데이트 이후 태국 등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글로벌 매출 상승세를 기록하며 9년 만에 역주행하고 있다. 이번 업데이트에서는 신규 월드 ‘창천’ 오픈, 연회 시스템 개편, 장수 성장 시스템 완화, 전투 모드 개편 등 유저 편의성을 높이고 콘텐츠를 대폭 개선했다. 특히 신규 월드 오픈 기념 이벤트와 풍성한 보상 제공으로 신규 유저 유입과 기존 유저 만족도를 동시에 높였다. 소프트닉스는 유저 의견을 적극 수렴하여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진행, 더욱 발전된 킹덤스토리를 선보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베스핀글로벌, 스노우플레이크와 데이터 혁신 세미나 개최
베스핀글로벌이 스노우플레이크와 함께 오는 26일 양재 엘타워에서 ‘AI 시대를 선도하는 데이터 혁신 세미나’를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는 중소·중견 기업을 대상으로 클라우드 환경에서 AI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스노우플레이크 김진혁 이사, 펄스애드 최세윤 CTO, 데이터노우즈 김재구 상무, 베스핀글로벌 장익철 본부장 등이 연사로 나서 데이터 혁신 전략, AI/ML 기반 데이터 분석 사례, 클라우드 환경과 스노우플레이크의 연계 방안 등을 발표한다. 베스핀글로벌 장익철 본부장은 “데이터가 곧 경쟁력이 되는 AI 시대에, 이번 세미나가 기업들의 데이터 혁신을 실현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세미나는 26일 오후 2시에 진행되며, 사전 등록을 통해 무료로 참석할 수 있다.

틴더, 발렌타인데이 맞이 프로필 인증 캠페인 진행
글로벌 데이팅 앱 틴더가 안전한 인터넷의 날과 발렌타인데이를 맞아 “발렌타인데이에 너를 인증해줘” 캠페인을 진행한다. Z세대 인기 사진관 산호맨숀과 협업한 이번 캠페인은, 틴더 앱 내 ‘셀카 영상’ 기능으로 본인 인증을 완료한 이용자 중 20명을 추첨해 산호맨숀 프로필 사진 촬영권을 제공한다. 틴더는 한국 응답자 3명 중 1명이 프로필의 매력 요소로 ‘인증 여부’를 꼽았다는 자체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안전한 온라인 만남 환경 조성을 위해 셀카 영상, 데이트 일정 공유 등 다양한 안전 기능을 도입하고, 국내에서는 안전한 데이팅 가이드를 출시하는 등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다쏘시스템, PLM 컨설팅 기업 피앤피어드바이저리와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다쏘시스템은 어제(12일) PLM 전문 컨설팅 기업 피앤피어드바이저리와 C&SI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양사는 제조업을 중심으로 협력해왔으며, 이번 협약을 통해 새로운 산업 분야로 비즈니스 영역을 확장할 계획이다. 다쏘시스템은 버추얼 트윈 기반 PLM 솔루션 등을 제공하고, 피앤피어드바이저리는 PLM 컨설팅 역량을 제공하여 시너지를 극대화할 전망이다. 또한, 자동차, 방산 등 제조업 분야에 컨설팅과 솔루션을 결합하여 기술혁신을 지원할 예정이다. 다쏘시스템코리아 정운성 대표이사는 “피앤피어드바이저리의 컨설팅 역량과 자사 플랫폼을 통해 제조업계 생산 공정 최적화 및 효율 향상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네이버클라우드, 리벨리온과 손잡고 사우디 소버린 AI 구축 MOU 체결
네이버클라우드가 AI 반도체 스타트업 리벨리온과 함께 사우디아라비아의 AI 주권 확보를 위한 사업 협력에 나선다. 양사는 아랍어 기반 언어 모델(LLM) 구축, 현지 시장 공동 발굴, AI 밸류체인 생태계 조성 등을 협력하여 추진할 계획이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자체 개발 LLM 운영 경험과 AI 솔루션 역량을, 리벨리온은 아람코 투자 유치를 바탕으로 한 중동 시장 진출 경험을 토대로 협력을 이어갈 예정이다. 한편, 네이버클라우드는 ‘LEAP 2025’에서 팀네이버의 AI 밸류체인을 선보이며, 데이터센터-클라우드-AI 기술력을 바탕으로 사우디아라비아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전시관에는 약 1만 3천 명이 방문하며 현지에서 큰 호응을 얻었다.

스위트스팟, 팝업스토어 앱 ‘팝가’ 출시… 맞춤 정보 제공
스위트스팟이 팝업스토어 정보 앱 ‘팝가’를 정식 출시했다. 팝가는 사용자 맞춤 팝업스토어 추천, 실시간 위치 안내, 대기 상황 확인 및 줄서기 기능 등을 제공한다. 지난해 8월 웹 버전, 12월 모바일 앱 시범 운영을 거쳐 이번에 정식 출시된 팝가는 시범 운영 단 2개월 만에 사용자 3만 명을 확보하며 빠른 성장세를 보였다. 스위트스팟은 향후 SEO 최적화 및 데이터 분석을 통해 팝가의 접근성과 효용을 높여 소비자와 기업 모두에게 윈윈이 되는 플랫폼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신용보증기금, 은행과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협력
신용보증기금(이사장 최원목)은 국민, 기업, 농협, 신한, 우리, 하나, IM뱅크 등 7개 은행과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적합성 평가지원 협력체계’를 구축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신보는 K-택소노미 판단 시스템을 만들어 은행 대출금의 녹색성 평가 결과를 제공한다. 신보는 협약은행에 녹색여신 인증서를 제공하고, 은행은 이를 바탕으로 대출금에 최대 2%의 금리 감면 혜택을 부여할 계획. 신보는 2008년부터 녹색금융 지원을 이어오고 있으며, 올해는 새로운 녹색 금융 사업을 도입해 녹색금융 선도기관으로서의 역할을 강화할 예정이다.

나루씨큐리티, 청주대와 AI 보안 기술 협력 MOU 체결
나루씨큐리티가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과 제로 트러스트 및 인공지능(AI) 보안 기술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이번 협약으로 나루씨큐리티는 최근 출시한 구독형 제로 트러스트 보안 서비스 ‘제로티카(ZeroTiCA)’에 AI 기술을 접목하여 서비스 수준을 높일 계획이다. 청주대학교 디지털보안학과 정은수 교수는 제로 트러스트 아키텍처(ZTA) 환경에 AI 기술을 융합한 신뢰 알고리즘(Trust Algorithm)을 개발 중이며, 이를 통해 실시간 위협 탐지의 정확성과 효율성 향상을 기대하고 있다. 나루씨큐리티는 이번 협력을 통해 국내 시장에서의 실증을 강화하고, 글로벌 보안 시장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확보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전 세계 이커머스 앱 다운로드 65억 건, 테무 40개국 1위
센서타워는 ‘2024년 이커머스 앱과 브랜드 시장 인사이트’ 리포트를 발표했다. 2024년 전 세계 이커머스 앱 다운로드 수는 65억 건으로 2019년 대비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중남미와 동남아시아 시장 성장이 두드러졌다. 테무는 2024년 다운로드 수 5억 5천만 건으로 전 세계 1위를 차지했고, 한국을 포함한 40여 개국에서 다운로드 1위를 기록했다. 한국 시장에서는 테무가 1위, 알리익스프레스와 당근마켓이 각각 2, 3위를 차지했다. 중국 시장에서는 알리바바 도매 구매 플랫폼 ‘Alibaba (1688)’가 다운로드 수 1위를 기록했고, 일본 시장에서는 ‘마츠키요코코카라’ 앱이 다운로드 성장 순위 1위에 올랐다. 동남아시아 시장에서는 쇼피가 1위, 인도 시장에서는 미쇼가 1위를 차지했다.

배틀그라운드, 신규 모드 ‘1 대 1 아레나’ 추가
크래프톤은 배틀그라운드 34.1 업데이트를 통해 훈련장에서만 이용 가능했던 ‘1 대 1 아레나’를 아케이드에 추가했다. 1 대 1 아레나는 제한 시간 내 작은 전장에서 두 이용자가 세 라운드에 걸쳐 승부를 펼치는 모드다. 이번 업데이트에서는 건 플레이 밸런스 조정 및 탈 것 성능 개선도 이루어졌다. Mk12의 반동 및 피해량이 감소하고 7.62mm 탄약의 무게가 줄어들었다. 또한, 다양한 탈 것의 최대 속도와 가속도가 상향되고 일부 탈 것에는 트렁크 시스템이 추가되었다. 이외에도 사녹 맵 일부 지역 업데이트, 에란겔 및 태이고 맵 주유소 주유 기능 추가, 경쟁전 시즌 34 시작 등 다양한 업데이트가 진행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