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블런 “직장인 AI 활용, ‘멀티툴 조합‘과 ‘결과물 판단력‘이 고수 비결“
AI 리터러시 전문기업 에이블런이 직장인 23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GenAI World Report’를 12일 발표했다. 직장인 99.1%가 AI를 업무에 활용하는 보편화 시대로 진입했으나, AI 활용의 진정한 ‘고수’는 직무별로 챗GPT, 클로드, 제미나이 등 여러 도구를 조합하는 ‘멀티툴 스택’을 구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AI 시대의 핵심 역량 1위로 ‘AI 결과물 판단력'(33.9%)을 꼽으며, AI가 제공하는 답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업무에 맞게 재가공하는 AI 리터러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흥미롭게도 AI 활용에 가장 적극적인 집단은 부장 이상 임원급(54.0%)으로, 사원급(39.5%)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

BTQ 테크놀로지, 큐퍼펙트 인수… 풀스택 양자 기업 도약
나스닥 상장사이자 글로벌 양자 보안 기업 BTQ 테크놀로지가 프랑스 스트라스부르 기반의 중성 원자 양자 컴퓨팅 전문 기업 큐퍼펙트 인수를 완료했다. BTQ는 큐퍼펙트에 약 200만 유로(약 34억 원)를 전략적으로 투자하고, 약 3000만 유로(약 507억 원) 규모의 인수 계약 옵션을 행사했다. 이번 인수로 BTQ는 기존 양자 암호화 기술에 중성 원자 기반 양자 컴퓨팅 기술까지 확보하며 양자 컴퓨팅 전 주기 기술을 아우르는 풀스택 양자 기업으로 발돋움하게 됐다. BTQ 테크놀로지는 향후 큐퍼펙트와 함께 산업계의 양자 전환을 위한 차세대 양자 기술 실증 프로젝트를 추진하며 글로벌 시장 선도 지위를 강화할 방침이다.

지그재그, 뷰티 디바이스 ‘거래액 34배 폭증‘ 힘입어 ‘셀프 케어 페스타‘ 개최
스타일 커머스 플랫폼 지그재그가 오는 23일까지 2주간 ‘셀프 케어 페스타’를 진행한다. 자기 관리에 대한 관심 증가로 ‘홈 케어’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기획됐다. 실제로 최근 한 달간 지그재그 빅데이터에 따르면 뷰티 디바이스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34배(3374%) 이상 폭증했으며, 마사지기와 구강세정기 등 건강 관련 상품 거래액도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그재그는 페스타 기간 동안 인기 홈 케어 상품을 최대 97% 할인하고, 최대 25% 쿠폰팩 등 풍성한 혜택을 제공한다.

전북 기후테크 성장 견인 ‘SWITCH’ 성장트랙 성과공유회 성료
전북특별자치도와 전북테크노파크가 주최하고 소풍커넥트가 주관한 ‘2025 SWITCH: Growth Stage(성장트랙)’ 성과공유회가 지난 11일 군산새만금컨벤션센터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기후테크 산업 거점 도약을 위한 민관 협력 모델로 주목받는 이번 행사에서는 윈텍글로비스, 코솔러스 등 5개 유망 스타트업이 성일하이텍과의 오픈이노베이션 실증(PoC) 결과를 공유했다. 폐배터리 및 환경 오염 저감 등 핵심 분야에서 기술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입증하며 산업 확장의 발판을 마련했다는 평가다. 전북테크노파크 이규택 원장은 “SWITCH 성장트랙은 도내 스타트업의 실질적 기술 검증과 시장 진입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밝혔다. 소풍커넥트는 오는 12월 10일 ‘SWITCH: Ground Stage’ 데모데이를 통해 기후테크 분야 혁신 스타트업을 지속적으로 조명할 예정이다.

부산창경, CES 2026 혁신상 성과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가 육성한 스타트업 3개사가 내년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2026에서 최고혁신상과 혁신상을 동시에 거머쥐며 성과를 올렸다. 수상 기업은 블록체인 기반 신원인증 기술을 선보인 크로스허브, AI 활용 선박식별·탄소배출 모니터링 플랫폼을 개발한 데이터플레어, 반도체 패키징용 초평단 구리 증착 유리 기술을 확보한 씨아이티다. 특히 크로스허브와 데이터플레어는 부산창경의 ‘BOUNCE 스마트해양·핀테크 액셀러레이팅’ 지원을 통해 글로벌 홍보, 투자 전략, IR 고도화 등 맞춤형 지원을 받아 경쟁력을 강화했다. 씨아이티는 예비창업패키지와 초격차 액셀러레이팅을 거쳐 2년 연속 CES 혁신상을 수상하며 기술력과 시장성을 입증했다. 부산창경은 2024년부터 전략산업 기반 스타트업을 집중 지원해왔으며, 불과 2년 만에 글로벌 무대에서 실질적 성과를 창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또한 Pre-BOUNCE 플랫폼을 통해 연중 창업자 발굴과 멘토링을 이어가며 스타트업의 지속 성장을 지원하고 있다.

인디스땅스 10주년, 열정의 무대
경기콘텐츠진흥원이 인디 뮤지션 발굴 프로그램 ‘인디스땅스’ 10주년을 맞아 기념 공연을 성황리에 개최했다. 지난 11월 9일 열린 이번 공연은 지난 10년간의 성과를 돌아보고 새로운 도약을 다짐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2016년 출범한 인디스땅스는 지금까지 6,000팀 이상이 참여하며 국내 인디 음악계의 저변 확대와 산업 활성화에 기여해왔다. 기념 무대에는 역대 우승팀과 관객 투표로 선정된 뮤지션들이 함께 올랐으며, 터치드·윤마치·신인류·심아일랜드·향·다다다 등 6팀이 개성 넘치는 공연을 선보였다. 사전 신청 단계부터 3,000명 이상이 참여 의사를 밝히며 뜨거운 관심을 모았고, 공연 당일 현장은 관객들의 열정적인 호응으로 가득 찼다. 인디스땅스는 앞으로도 창작 뮤지션들의 성장을 지원하며 인디 음악이 더 많은 이들에게 공감과 감동을 전할 수 있도록 활동을 이어갈 예정이다.

토스 ‘B주류경제학‘ 시즌3 공개, K-POP 첫 주제
토스(운영사 비바리퍼블리카)가 자사 유튜브 채널 ‘머니그라피’의 대표 콘텐츠 ‘B주류경제학’ 시즌3를 13일 공개한다. ‘소비문화 디깅 토크쇼’를 콘셉트로 하는 이번 시즌에는 기존 호스트 외 유튜버 육식맨, 장석종 등 새로운 출연진들이 합류해 금융, 문화, 산업을 아우르는 이야기를 다룬다. 특히 동네 친구와 대화하듯 편안한 ‘B주류초대석’ 코너를 신설해 기대를 모은다. 13일 공개되는 첫 주제는 K-POP으로, 음악평론가 김윤하 등이 출연해 음악 산업 이면에 숨은 경제 구조를 해부할 예정이다. 머니그라피 채널은 현재 구독자 43만 명을 보유하며 기업 오리지널 콘텐츠의 성공 사례로 꼽히고 있다.

러닝스푼즈,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진행… B2G 확장 가속
실무 중심 교육 플랫폼 러닝스푼즈가 크라우드펀딩 플랫폼 크라우디에서 증권형 크라우드펀딩을 진행하며 B2G 영역 확장에 나선다. 2018년 창업 후 키움인베스트먼트 등으로부터 누적 25억 원의 투자를 유치한 러닝스푼즈는 네이버, 토스 등 현직 실무진 강사진을 통해 현장 중심 교육을 제공해왔다. 이창민 대표는 최근 급증하는 정부와 대학의 ‘AI 인재 양성’ 수요에 발맞춰 B2G 스케일업을 가속하기 위해 자금을 조달한다고 밝혔다. 현재 연세대와 AI 리더십 과정을 공동 운영 중이며, 고용노동부 사업에도 참여하는 등 공공 협력을 확대하고 있다. 청약 모집 금액은 1억 2천만 원을 넘어섰다.

충남콘텐츠진흥원, ‘BIBAN 2025’서 2억 달러 수출 협약 성과
충남콘텐츠진흥원이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열린 중동 최대 규모 스타트업 전시회 ‘BIBAN 2025’에 참가해 충남 천안 복합형 스타트업파크 10개 사의 글로벌 진출을 지원했다. 진흥원은 이 행사를 통해 약 2억 달러(한화 약 2,700억 원) 규모의 수출 협약을 달성하며 지역 스타트업의 중동 시장 진출 가능성을 입증했다. 특히 사우디 액셀러레이터 느무헙(Nmohub)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입주기업 ㈜지앤티(GnT)가 중동 내 친환경 자동차 전문 기업과 약 7,500만 달러(약 1,030억 원) 규모의 업무협약(MOU)을 체결하는 성과를 거뒀다. 진흥원은 앞으로도 사우디를 중심으로 한 글로벌 네트워크 확장을 통해 지역 기업의 성장을 지속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퀀텀에이아이, ‘스케일업 팁스’ 선정… 3년간 12억 R&D 자금 확보
AI 기반 비정형 데이터 전문기업 퀀텀에이아이(대표 최성집)가 중소벤처기업부의 ‘스케일업 팁스’ 프로그램에 최종 선정되는 쾌거를 거뒀다. 기존 포스트 팁스 최우수 과제로 인정받은 것에 이어, 퀀텀에이아이는 이번 선정을 통해 3년간 최대 12억 원의 R&D 자금을 확보했다. 확보한 자금은 바이오 시약 유통 전문기업 한국BTB와의 협력을 통해 ‘도메인 특화 경량 언어모델(sLLM) 기반 지능형 논문·시약 검색 및 e-커머스 통합 플랫폼’ 개발에 집중 투입된다. 이 플랫폼은 연구자들이 논문 검색과 시약 구매를 한 번에 해결하게 하여 R&D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것으로 기대된다. 퀀텀에이아이는 2028년까지 플랫폼 상용화를 완료하고 북미와 유럽 시장 진출을 통해 글로벌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할 계획이다.

![[AI서머리] 엑스크루, 러닝앱 ‘Paceful’ 美 시장 출시‧웨이브 2025, 울산 미래산업 박람회 개막](https://startuprecipe.co.kr/wp-content/uploads/2025/11/251112_kocca_00004653466346-350x250.jpg)
![[AI서머리] 페스터, 시드 투자 유치‧레드윗 ‘구노’ 활용 창업교육](https://startuprecipe.co.kr/wp-content/uploads/2025/11/251112_cncorp.kr_0503346346-350x250.jpg)
![[StartupRecipe] ‘나스닥 고래’ 소프트뱅크, 비전펀드2 방향은?](https://startuprecipe.co.kr/wp-content/uploads/2020/09/20200911_softbank.png)
![[AI서머리] 에어빌리티, 사우디와 무인기 합작법인 설립 MOU‧품고, 용인 비엠센터 오픈](https://startuprecipe.co.kr/wp-content/uploads/2025/11/251112_airbility.co_.kr_0000006-350x250.jpg)
![[AI서머리] 에어빌리티, 사우디와 무인기 합작법인 설립 MOU‧품고, 용인 비엠센터 오픈](https://startuprecipe.co.kr/wp-content/uploads/2025/11/251112_airbility.co_.kr_0000006-75x75.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