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roll to top
© 2020, Startuprecipe theme by Rssow
Share

크리에이터들 알고리즘 기반 피드에 부정적


정용환 기자 - 2025년 2월 28일

패트리온이 크리에이터이코노미 최신 트렌드를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하고 알고리즘 기반 피드에 대해 비판했다. 1,000명의 창작자와 2,000명의 팬을 대상으로 조사한 보고서는 내부 데이터를 바탕으로 크리에이터 경제의 트렌드를 분석한 자료다.

보고서에 따르면 창작자의 53%가 팔로워에게 도달하기가 5년 전보다 어려워졌다고 응답했다. 이는 인스타그램의 알고리즘 변경으로 인해 심지어 유명인들도 팬과의 소통이 어려워진 상황을 대변한다. 심지어 카다시안조차 팬들에게 다가가기 어려워졌다. 팬들은 틱톡이 개척한 짧은 형식의 비디오와 “For You” 피드로의 소셜 플랫폼 전환에도 불만을 품고 있다.

패트리온 설문조사에 따르면 팬들은 소셜 미디어에서 긴 형식의 콘텐츠보다 짧은 형식의 콘텐츠를 더 많이 보고 있다고 말하지만 52%의 팬들은 긴 형식의 콘텐츠가 더 가치 있다고 생각하며 전반적으로 비용을 지불할 의향이 더 높다고 답했다. 또 틱톡 같은 플랫폼 덕분에 팬을 모으기는 쉬워졌지만 알고리즘에 의해 콘텐츠가 묻히면서 정작 팔로우한 콘텐츠를 볼 수 없다. 이에 크리에이터들은 이제 팔로워 수, 좋아요, 조회수와 같은 지표보다 팬과의 질적이고 더 깊은 관계를 우선시하며 이는 5년 전과는 다른 변화다.

이런 이유로 78%의 창작자가 알고리즘이 콘텐츠 제작에 영향을 준다고 답했으며 56%는 알고리즘이 창작의 자유를 제한한다고 느낀다. 패트리온 섭스택, 온리팬스 등 직접 수익화 플랫폼이 대안이 되고 있지만 알고리즘의 영향으로 크리에이터는 팬과 연결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보고서는 크리에이터들이 알고리즘의 영향에서 벗어나 팬과 직접 소통하고 자신의 콘텐츠에 대한 정당한 대가를 받을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Author avatar

정용환 기자

대기업을 다니다 기술에 눈을 떠 글쟁이로 전향한 빵덕후. 새로운 기술과 스타트업을 만나는 즐거움을 독자들과 함께 나누고 싶습니다.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