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메일로 만나보는 스타트업을 위한 레시피

- 문체부, K-콘텐츠 분야에 예산 1조 넘게 편성한다
2024년 K-콘텐츠 분야 예산안이 1조 125억 원으로 편성, 2023년 대비 20% 증가했다. 문화체육광관부 예산안 중 14.5%에 해당하는 규모다.
- 콘텐츠 정책금융= K-콘텐츠 펀드(2,900억 원), 전략 펀드(450억 원) 출자 등으로 정책금융 역대 최대 1조 7,700억 원 공급, 콘텐츠 제작업계 자금 조달 어려움 해소
- 콘텐츠 한류 확산=해외비즈니스센터 25개소로 확충, 관계부처 합동 K-박람회 횟수·권역 확대, 해외홍보관 UAE 신설, 해외 출원·등록 지원 강화 등 K-콘텐츠 수출 확대
- 지속성장 기반 마련=스타트업 성장단계별 프로그램 확대(120억 원), 스타트업 글로벌 역량 강화(33억 원), 콘텐츠 전문 인재 육성 강화 등 건강한 콘텐츠 생태계 조성
- 대표장르 육성=게임기업 수출 활성화, 영화발전기금 재원 확충, 웹툰 해외 진출 지원 강화, 음악 콘텐츠 개발 활성화 등 콘텐츠 4대 강국 도약
- 신기술 연구=글로벌 스타트업 육성 위한 기술개발(R&D),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콘텐츠 제작 사업 신설 등 콘텐츠산업 신시장 개척
- 벤처기업 48% “보수적 투자 심사에 어려움 느껴”
벤처기업협회가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벤처투자 현황, 투자유치 관련 애로, 투자 유치 활성화에 필요한 정책 지원 등을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는 308개사가 응답했다.
<주요 결과>
- 투자 유치 시 어려움으로 실적 위주의 보수적인 투자 심사(48.1%), 기업가지 저평가(20.5%), 투자유치 관련 지식, 노하우 부족 등 꼽아
- 투자 유치를 위해 필요한 지원으로는 응답자 31%가 정부의 벤처투자 예산 확대라고 답해
- 응답 기업 과반 이상이 상환전환우선주로 가장 많은 투자유치를 했고 이어 보통주(38.6%), 전환사채(5.4%) 순으로 투자 유치
- 응답 기업 36.8%는 투자자 사전 동의 조항으로 인해 어려움을 경험했다고 응답
- 최근 3년 이내 응답기업 대부분(96.4%)이 벤처 투자를 유치했으며 2022년에 가장 많이 투자 유치에 성공
- 투자 유치 기관은 벤처캐피털(벤처투자조합), 개인투자조합, 전문개인투자자, 액셀러레이터 순.
- 중기부, 로레알과 뷰티 스타트업 본격 육성
중소벤처기업부와 로레알 그룹이 뷰티테크 육성을 본격화하고 북아시아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인 로레알 빅뱅 프로그램 참여 스타트업을 이곳에 모집한다. 로레알이 제시하는 혁신과제(4개 분야)를 해결할 수 있는 기업을 선발, 서울 및 파리에서의 실증 및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공동 사업 기회, 파리 현지 입주 공간 등을 지원한다.
과제 | 주요내용 |
데이터 기반 자외선차단제 개인화 기술 | 기상정보, 주거 생활 등 환경 데이터에 따른 자외선 노출 정도와 개인별 피부 데이터에 기반한 맞춤형 자외선 차단 디바이스 |
혼합현실(MR)을 이용한 개인용 피부관리 디바이스 | 피부관리 디바이스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가이드가 적용된 MR 서비스 및 센싱 기술개발 |
약물전달을 위한 개인용피부개선 디바이스 | 이온영동, 초음파, 광, 마이크로니들 등 기존 피부흡수가 어려운 체형의 제품을 효과적으로 전달 |
피부 관련 작용 매커니즘과 성능 파악을 위한 도구 및 모델 | 고도화된 센서 및 AI 활용 신규 피부 측정 도구 및 기술, 또는 기존 인공피부보다 더 정밀한 새로운 인공피부 모델 구현 |
FUNDING
기업명 | 분야 | 투자금 | 단계 | 투자사 |
---|---|---|---|---|
클레 | 머신비전 카메라 | 35억원 | 프리시리즈A | 퓨처플레이, 신한캐피탈, KB인베스트먼트, IBK기업은행, 유니온투자파트너 |
클레
- AI 기반 3차원 머신비전 카메라 개발사 클레가 퓨처플레이, 신한캐피탈, KB인베스트먼트, IBK기업은행, 유니온투자파트너로부터 35억 원 프리시리즈A 투자를 유치.
GLOBAL NEWS
MORE NEWS
- 서울경제진흥원, 대학생 서포터즈 스토리텔러 7기를 9월 11일까지 모집. 서울경제진흥원 주요 지원 사업 현장 참관 할 수 있는 ‘취재미션’ 진행. 우수 콘텐츠는 서울시 대중교통 옥외광고(지하철 2호선 행선안내기 등)에 송출.
- 오토노머스에이투지, 대구 테크노폴리스 내에서 운영 중인 수요응답형 자율주행 모빌리티 서비스(달구벌자율차+) 범위를 확대. 자율주행 차량 활용한 여객 운송 서비스와 생활 물류 배송 서비스 도시 제공. 이용자는 6,000명 돌파
- 경기콘텐츠진흥원, AI가 확장한 콘텐츠의 미래를 탐구하는 ‘2023년 문화기술 콘퍼런스’를 9월 14일부터 15일까지 양일간 수원컨벤션센터에서 개최. 기조 연설에는 인공지능의 미래 저자 제리 카플란 스탠퍼드대 교수 등 참여.
- 식신, 기술 특례 상장을 위한 사전 기술평가를 통과. 모바일 식권 서비스인 ‘식신e식권’ 서비스와 맛집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며 올해 예상 거래액은 1500억 원으로 5월 월간 거래액 120억 원으로 손익분기점 돌파.
- 청년창업사관학교, 9월 18일까지 2023 강원 넥스트 유니콘 프로젝트 참가 기업을 모집. 청년창업기업을 강원지역으로 이전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3개사를 최종 선정 예정.
- 코리아스타트업포럼, 부산 영도에서 ‘컴업 2023 프리뷰&워크숍 인 부산 성료. 컴업스타즈 2023 중 참가 희망기업 27개사, 부산 및 동남권 소재 스타트업 15개사를 비롯해 컴업 2023 자문위원, 컴업하우스 소속 투자자, 부산시 관계자 등 약 100명이 참석.
- 여성스타트업 포럼, 제1회 대한민국 여학생 유니콘 콘테스트(걸스콘) 개최. 42개 팀 지원해 12개팀이 본선에 진출했으며 대상은 서울여대 테이렌, 최우수상은 한국공학대 스카이넷팀 등이 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