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메일로 만나보는 스타트업을 위한 레시피

- R&D 비용 최대 2억 지원…매출 20억 미만 中企 찾는다
정부가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도약R&D에 참여할 스타트업을 이곳에서 모집한다. 7년 이하(신산업 분야 창업 10년 이하)이면서 매출액 20억 원 미만의 중소기업이 참여할 수 있다. 올해는 과제당 최대 1.5년당 2억원 확대 지원하고 초격차 스타트업, 민관협력 OI연계 스타트업, 이노폴리스캠퍼스 등 연계 지원한다.
세부 지원구분 | 신규과제(지원규모) | 사업내용 |
여성참여활성화 | 20개(13억원) | 여성 스타트업 등 기술개발 지원을 통해 여성의 R&D 참여 및 경제활동 활성화 유도 |
글로벌 | 40개(27억원) | 제한된 국내 시장을 벗어나 세계진출이 목적인 글로벌 중소기업의 R&D 및 사업화 지원 |
연계 지원 | 30개(20억원) |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 및 민관협력 OI 연계를 통한 유망기업 R&D 지원 |
부처 연계 | 10개(7억원) | 과기부 등 타 부처 지원사업 연계를 통해 우수 중소기업 선별 지원 |
소부장 | 10개(5억원) | 소재·부품·장비분야 중소기업에 대한 전략적 R&D 및 사업화 지원 |
- 강원 활성화하는 관광 스타트업 15곳
강원창조경제혁신센터가 2025 강원 BRIDGE 관광컬처 지원사업과 2025 강원특별자치도 관광콘텐츠 스타트업 지원사업을 통해 관광 분야 유망 스타트업 15개사와 협약을 체결하고 본격적인 지원에 나선다.
- 포페런츠=액티브시니어 대상 프리미엄 국내여행 서비스 ‘Honored’
- 스타드론 = 드론 라이트 쇼를 활용한 야간 관광 콘텐츠 제공
- 코드리스 = 강원 해안 수상레저용 친환경 유·무인 전기 레저보트 개발
- 위드더레이크 = 앱 설치 없이 진행되는 감성 웰니스 투어 ‘힐링로드’
- 오갱코리아 = 일본 관광객 대상 숏폼 기반 드라마 투어 큐레이션 솔루션 ‘오갱가이드’
- 코랄랩스 = 3D 스캔 기반 뷰어/팜플렛 및 지역 이벤트 정보 제공 ‘팡팜뷰3D’
- 세이퍼스콘텐츠이노베이션 = 스마트 줄서기·축제 주차장 알림·AIoT 데이터 기반 축제 플랫폼
- 로컬링크 = 디지털 관광지도 기반 강원 로컬 콘텐츠 확산 플랫폼
- 브링엔지니어링 = AI 기반 강원 관광터널 눈부심 제어 장치
- 업타운 = 홍천 농촌 자원을 활용한 청년형 농촌 테마파크 콘텐츠
- 일단쏴봐 = 자연지형 활용 미디어파사드 실감형 콘텐츠 개발 및 투사
- 코스탈리카 = 도자기와 미식을 결합한 라이프스타일 복합문화공간
- 영비사 = ‘독서여행’을 테마로 한 영월 웰니스 체험 콘텐츠 개발
- 버디파이 = 일본인 방한 여행자를 위한 로컬 중심 관광 플랫폼 ‘Budify’
- 상금 총 4억 6400만원…청년골목창업 경진대회 개최
서울시가 2025 청년 골목창업 경진대회에 참여할 청년을 5월 16일까지 이곳에서 모집한다. 4억 6,400만원 규모로 예비/초기 창업가(창업 3년 이내)를 발굴해 창업 자금과 융자지원, 전문가 컨설팅을 포함한 맞춤형 창업보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1차는 오디션 방식으로 진행된다.
1차에서 예비창업가 20개 팀(500만원), 초기창업가 20개 팀(600만원) 총 40개 팀을 선발하고 2차에서 예비창업가, 초기창업가 구분없이 30개 팀(차등 지급 700~1,100만원)을 최종 선발해 지원한다.
FUNDING
기업명 | 분야 | 투자금 | 단계 | 투자사 |
---|---|---|---|---|
파우치 | 반려동물 전문 보험사 | 60억원 | 시리즈A | 시그나이트파트너스, 한국투자엑셀러레이터, HGI, 땡스벤처스 |
구하다 | 크로스보더 이커머스 | 81억원 | 시리즈B브릿지 | 한국산업은행, 코로프라넥스트코리아(CNK), 한국투자파트너스 |
엠스토리허브 | 콘텐츠 제작 | 비공개 | 네이버웹툰 | |
닷츠코퍼레이션 | H&B 스타트업 | 32억원 | 프리시리즈A | 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와 신한투자증권, 대교인베스트먼트, 씨엔티테크, 한국기능성화장품연구센터 |
비나우 | K뷰티 기업 | 30억원 | CJ온스타일 |
파우치
- 반려동물 전문 보험사 파우치가 시그나이트파트너스, 한국투자엑셀러레이터, HGI, 땡스벤처스로부터 시리즈A 60억원 투자를 유치.
구하다
- 크로스보더 이커머스 플랫폼 구하다가 한국산업은행, 코로프라넥스트코리아(CNK), 한국투자파트너스로부터 81억원 시리즈B브릿지 투자를 유치.
엠스토리허브
- 웹툰,웹소설 기반 콘텐츠 제작사 엠스토리허브가 네이버웹툰으로부터 투자를 유치.
닷츠코퍼레이션
- H&B 스타트업인 닷츠코퍼레이션이 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와 신한투자증권, 대교인베스트먼트, 씨엔티테크, 한국기능성화장품연구센터로부터 32억원 프리시리즈A 투자를 유치.
비나우
- K뷰티 기업인 비나우가 CJ온스타일로부터 30억원 투자를 유치.
GLOBAL NEWS
- 국제우주정거장으로 간 메타표 AI=메타가 자사 오픈소스 AI 모델인 Llama를 국제우주정거장용으로 미세 조정해 우주로 보냈다고 발표. 국제우주정거장에 배치된 스페이스 라마(Space Llama)에는 생성형 AI와 멀티모달 AI가 모두 탑재되어 있어 우주비행사가 프롬프트를 바탕으로 콘텐츠를 생성하거나 문장, 이미지, 음성을 인식시켜 데이터를 처리 가능.
- EU, 스마트폰에 내구성‧배터리 수명 등 라벨 표시 의무화=EU가 역내에서 판매되는 스마트폰과 태블릿에 에코디자인 요건과 에너지 라벨 요건을 부과 발표. 이에 따라 제조사는 EU가 요구하는 라벨 표시 등 실시 의무. 이런 규칙을 바탕으로 생산되는 스마트폰과 태블릿은 2030년까지 연간 14TWh 에너지를 절약하며 현재 에너지 소비량 3분의 1에 해당. 또 중요한 원자재를 올바르게 재활용하는 데도 도움. 에코디자인 요건과 에너지 라벨 요건은 6월 20일부터 적용.
- 쓰레드, 광고 기능 전세계로 확대=메타가 인스타그램 쓰레드(Threads) 앱의 광고 기능을 전 세계 광고주에게 확대 도입 발표. 미국, 일본 등 일부 국가에서 시범 운영을 시작한 지 21개월만으로 이 전 세계 광고주가 월간 활성 사용자 3억 2,000만 명 이상인 쓰레드 사용자에게 도달 가능.
MORE NEWS

-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 부산 대표 기업 삼진식품, 윌로펌프, 조광페인트와 함께하는 스타트업 오픈이노베이션 챌린지 in 부산 2025’를 개최. PoC(사업 검증) 매칭 및 지원금 1,000만원 등 지원.
- 세컨신드롬, 셀프스토리지 업계에서 처음으로 기업공개(IPO)를 추진하며 주관사로 신한투자증권을 선정.지난 2016년 ‘다락’을 선보이고 현재 전국에 180여 개 지점 운영, 국내 1위 점유율 유지.
- 토스, 온라인 디자인 컨퍼런스 ‘심플리시티(Simplicity)’ 4번째 시즌 공개. 사용자 경험 개선 사례 공유하는 14개 세션, 디자이너 등 다양한 직군 참여 예정. 각 세션은 심플리시티 시즌 4 웹사이트에서 확인 가능.
- 산업통상자원부, 기후테크 기업의 해외 진출 비즈니스 성공모델을 발굴하고 확산을 지원하는 ‘생태산업개발 해외진출지원 사업 참여기업을 5월 26일까지 이곳에서 모집. 선정 기업에게는 2억원 지원
- 보건복지부, K-바이오·백신 4호 펀드(운용사 솔리더스인베스트먼트)가 정부 400억원과 민간 400억원 출자를 통해 800억원 규모로 우선 결성해 투자 개시. 현재까지 20개 기업에 928억원 투자 집행 1, 2호 펀드 3,866억원 결성.
- 강원창조경제혁신센터, 2025 강원 BRIDGE 관광컬처 지원사업 및 ‘2025 강원특별자치도 관광콘텐츠 스타트업 지원사업’을 통해 관광 분야 유망 스타트업 15개사와 협약을 체결.
- 밀리의서재, ‘2025 밀리의서재 테크 집중 채용’을 실시하고 데이터 엔지니어, 앱·백엔드 개발자 등 12개 테크 직군 모집.
-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신규 프로그램 ‘2025 우주항공 오픈그라운드 프로그램을 출범하고 참여 기업 모집. 부스터 트랙과 빌더 트랙으로 모집해 입주공간, PoC 자금 1,000만원, 투자 등 후속 지원.
- 신용보증기금, 현대자동차그룹, 6개 은행과 미래 모빌리티 글로벌 진출 활성화를 위한 금융지원 업무협약 체결. 특별출연금 160억원을 재원으로, 협력기업에 총 2,400억원 규모 자금 지원.
- 서울새활용창업지원센터, 5월 23일까지 새활용, 재활용 및 ESG, 도시문제해결분야 우수기술 및 서비스역량을 보유한 7년 이내 입주 스타트업을 이곳에서 모집.
- 스타트업레시피, 코리아스타트업포럼과 공동으로 2025 스타트업 행사 인지도 조사 실시. 국내 대표 행사를 중심으로 행사 인지도 및 스타트업 행사에 대한 의견 수렴. 이곳에서 참여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