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메일로 만나보는 스타트업을 위한 레시피

- 2025년 추경 13.8조 확정…벤처·스타트업 지원은?
국회 본회의에서 2025년도 추가경정예산안이 13.8조원으로 확정됐다. 추경안은 민생안정에 중점을 둔 한편 통상/AI 경쟁력 제고 등에 예산을 투입한다.
부처 중에서 중소벤처기업부는 정부안보다 1,845억원 감액(긴급경여안정자금 2,000억 감액)된 4조 8,267억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정부안 대비 618억 원 늘어난 1조 9,067억 원 규모 인공지능 분야 추경안을 확정했으며 산업통상자원부는 통상대응·첨단산업을 위한 9,814억원을 확정했다.
<주요 부처 예산 책정>
중소벤처기업부(4조 8,267억원)
- 통상 리스크 대응 지원(7,698억)=통상리스크 대응(1,000억), 신시장진출지원자금(1,000억) 등
- 민생 회복 지원(4조 201억)=소상공인 부담경감크레딧(1조 5,660억), 상생페이백(1조 3,700억)
- AI 등 신기술 대응 지원(368억)=스케일업팁스(100억), ICT융합스마트공장보급확산(268억)
과학기술정보통신부(1조 9067억원)
- AI컴퓨팅 인프라 확충 1조 6341억원 투입해 첨단 GPU 1만 장 분을 연내 확보
- 국산 AI반도체 조기 상용화를 위해 실증 사업 예산을 871억원으로 확대
-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을 위해 2136억원을 GPU, 데이터, 인재 등 필요한 자원에 투입
산업부(9,814억원)
- 통상 리스크 대응 분야(6,704억)=수출지원기반활용(888억), 무역보험기금(3,000억) 등
- 첨단 산업 경쟁력 강화(3,110억)=반도체/이차전지 특화단지 구축(1,170억), 전력공급지원(626억), 팹리스 기업 장비 구입(23억) 등
- 중기부, K-뷰티 기업 경쟁력 강화 방안 내놨다
정부가 변화하는 무역 환경 속 K-뷰티 중소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3가지 핵심 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3가지 방안은 지난해 발표된 강화 방안을 보완하고 미국 관세 조치에 대한 선제적 대응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 맞춤형 상담·대응 : 미국의 관세 부과에 대응해 관세 전문가 자문단 및 AI 챗봇 상담을 도입하고 현지 인플루언서 활용 온라인 마케팅, 미국 특화 전시회 참가 지원 등 맞춤형 프로그램 제공.
- 신시장 개척 역량 강화 : 해외 빅바이어 초청 상담회 개최, 신시장 온라인 플랫폼 진출 지원, 해외인증 지원 확대 및 패스트트랙 적용,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 및 R&D 투자 확대를 통해 수출 다변화 및 경쟁력 강화
- 수출 유망기업 발굴·육성 : ‘K-뷰티 크리에이터 챌린지’ 플랫폼 확대, 글로벌 K-뷰티 펀드 조성 및 M&A 활성화 지원, 청년창업사관학교 내 ‘K-뷰티 글로벌 트랙’ 신설 등을 통해 미래 성장 동력을 발굴하고 글로벌 진출 기반 마련
- 4월 스타트업 투자 올해 들어 최저 기록
4월 투자리포트가 발간됐다. 4월은 올들어 가장 낮은 금액인 2,550억원이 유입되면서 처음으로 3,000억원 아래로 떨어졌다. 대규모 투자 증가로 간신히 1분기를 상승세로 마무리했지만 전년 동기 대비로도 하락해 부진한 흐름을 보였다.
분야별로는 컨슈머테크 영역이 상승세다. 투자 금액과 건수 모두 가장 많았으며 푸드테크, 펫, 팬덤, 뷰티 등 다양한 플랫폼 기업이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AI 기업은 초기에도 큰 자금을 끌어가는 곳이 나오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 타깃, 재창업/전문가 설립 특징을 보였다. 부동산/프롭테크 분야도 투자금은 적었지만 매달 투자 건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헬스케어는 4월에는 유독 주목을 받지 못했다.
리포트는 이곳에서 무료로 내려받을 수 있다.

FUNDING
기업명 | 분야 | 투자금 | 단계 | 투자사 |
---|---|---|---|---|
루북 | 호텔/컨벤션 공간 세일즈 자동화 솔루션 | 비공개 | 시드 | 현대투자파트너스, 스트롱벤처스 |
루북
호텔/컨벤션 공간 세일즈 자동화 솔루션 루북이 현대투자파트너스, 스트롱벤처스로부터 시리즈A 투자를 유치.
GLOBAL NEWS
- 아카데미상 “생성형 AI, 영화 내 사용 여부는…”=아카데미상 선정 및 수여를 담당하는 영화예술과학아카데미가 새로운 조항을 추가한 영화 응모자격 가이드라인을 발표. 추가된 규칙에는 생성 AI에 관한 언급이 있어 처음으로 생성 AI에 관한 규칙 문서화. 생성 AI를 비롯한 영화 제작에 사용된 디지털 도구에 관해서는 노미네이트 가능성을 높이는 것도 손상시키는 것도 아니라는 문구 추가. AI 사용 여부 공개가 의무화되지 않고 AI 사용 자체는 아카데미상 노미네이트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명시한 것.
- IBM, 대규모 언어 모델 오픈소스로 공개했다=IBM 리서치가 카네기멜론대학, 프린스턴대학, 일리노이대학과 공동으로 오픈소스 대규모 언어 모델 밤바를 구축해 오픈소스로 출시. 밤바는 97.8억 파라미터를 가진 대규모 언어 모델로 트랜스포머 아키텍처와 상태 공간 모델이라는 아키텍처를 결합하면서 메모리 역할을 하는 KV 캐시 관리를 트랜스포머 아키텍처에서 근본적으로 바꾼 모델. 동일 크기 트랜스포머 기반 모델과 비교해 동등한 정확도를 유지하면서 최소 2배 속도로 작동.
- 윈드서프, 가격 인하 단행…커서 의식?=AI 코딩 어시스턴트 스타트업 윈드서프(Windsurf)가 가격 인하를 단행. 기존에 사용하던 플로우 액션 크레딧 제도를 없애고 팀 요금제를 월 35달러에서 30달러로 인하했으며 기업 요금제 역시 더 저렴하게 조정.
MORE NEWS

- 머쉬앤, 아시아·태평양 지역 최고 권위 푸드테크 스타트업 경연 대회 Future Food Asia 2025에서 Top 10 파이널리스트로 선정. 자체 개발한 버섯 균사체 기반 지속 가능한 식품 소재와 수직형 스마트팜 솔루션으로 미국 진출 본격화.
- 아산나눔재단, 차세대 사회혁신 리더를 양성하는 교육 프로그램 아산 프론티어 아카데미(Asan Frontier Academy) 14기에 수강생 35명을 선발. 사회혁신 프로젝트, 캡스톤, 글로벌 스터디 등 7개월간 교육 실시
- 에이블리, 자사 남성 패션 플랫폼 사구일공 2030 사용자 수가 8배 이상 급증. AI 개인화 추천 기술을 활용해 취향 기반 남성 패션 쇼핑 서비스를 제공, 차별화된 쇼핑 경험 제공을 원동력으로 분석.
- 블루포인트파트너스, 에너지·기후 산업의 지속가능 전환을 위한 커뮤니티 ‘클리마 살롱'(Clima Salon) 개최. 전력망 혁신과 스마트 그리드’라는 주제로 에너지 분야 혁신을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 공유.
- 우리금융그룹, 충청권 스타트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디노랩 충북 2기 발대식을 개최. 디지털뉴트리션, 린솔, 못난이마켓, 바맘, 빅토리지, 포네이처스, 프레쉬아워 등 선발, 지원.
- 한국정신문화재단, 안동지역 및 지역 예비사업자 청년을 대상으로 2025년 청년 스타트업 관광기업 참여 기업을 모집. 사업화 자금 최소 1,000만원에서 3,000만원 차등 지원.
- 한국벤처투자, 한국벤처투자 신임 대표이사로 이대희 전 중소벤처기업부 기획조정실장 선임.
- 미래에셋벤처투자, 1,220억원 규모 미래에셋 AI프론티어 투자조합을 결성. 펀드를 통해 AI 인프라(AI반도체, 메모리, 서버·데이터센터)와 모델(파운데이션 모델), 응용서비스(로봇·모빌리티, 바이오·헬스케어)와 같은 AI 밸류체인에 집중 투자 계획.
- 인천항만공사(IPA), 인천항 두드림(Do-Dream), 인천항 바다 길잡이(I-Navigation), 사내벤처 분사 창업기업 지원사업(I-Scale Up)에 참여할 기업 6개사를 5월 19일까지 이곳에서 모집.
WEEKLY BILL Info.
의안명 | 일자 | 처리구분 | 진행상태 |
---|---|---|---|
충청권산업투자공사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안(장철민의원 등 10인) | 2025-04-28 | 접수 | 계류의안 |
지방세특례제한법 일부개정법률안(박정하의원 등 14인) | 2025-04-28 | 접수 | 계류의안 |
조세특례제한법 일부개정법률안(박정하의원 등 14인) | 2025-04-28 | 접수 | 계류의안 |